• Title/Summary/Keyword: 태양광발전

Search Result 2,387, Processing Time 0.08 seconds

결정질 실리콘 컬러 태양광 모듈 기술 동향

  • Song, Hyeong-Jun
    • Bulletin of the Korea Photovoltaic Society
    • /
    • v.5 no.1
    • /
    • pp.38-45
    • /
    • 2019
  • 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시장의 증가에 따라 미적(Aesthetic) 요소가 결합된 태양광 모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런 시장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색상을 가지고 있는 컬러 태양광 모듈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여러 제안된 컬러 태양광 모듈 기술 중 결정질 실리콘(crystalline-silicon) 기반 태양광 모듈에 컬러 유리 혹은 컬러 층을 도입하는 기술은 기존 실리콘 모듈의 장점인 신뢰도와 가격 측면에서 다른 방식 대비 큰 장점이 있다. 결정질 실리콘 모듈에 컬러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현재 크게 세가지 방식이 제안되고 있다. 가장 먼저 제안된 방식은 태양전지 전면에 반사 방지막 형성 시 특정 파장만 반사할 수 있는 층이 도입된 컬러 태양전지(color photovoltaic cell)를 이용하여 색상을 구현하는 방식이다. 다른 한 방식은 일반 검정색 태양전지에 반사가 가능한 입자 혹은 박막층을 태양광 모듈 전면에 도입하는 반사형(Reflective) 컬러 태양광 모듈 기술이다. 마지막으로 특정 파장을 흡수하여 다른 파장으로 발광하는 염료 혹은 안료를 이용한 발광형(Luminescent)방식에 대한 연구도 진행 중이다. 본고에서는 각 방식의 동작 특성 및 기술 동향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 PDF

An Optimum Power Rating Selection of a Photovoltaic-Wind Hybrid Generation System Utilizing Least Square Method (최소 자승법을 이용한 태양광.풍력 복합 발전 시스템의 최적 용량 선정)

  • Kim, Si-Kyung;Yu, Gwon-Jong;Song, Jin-So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1996.07a
    • /
    • pp.379-381
    • /
    • 1996
  • 본 논문에서는 그리드 독립형 태양광 풍력 복합 발전 시스템에 대한 최적의 태양광 어레이 사이즈 및 풍력 발전 시스템을 결정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연구에 사용되어진 풍력 및 태양광 일사량에 대한 데이터는 제주도 지역에서 1년간 실측되어진 데이터를 기준으로 하였으며, 이러한 실측되어진 데이터는 풍속 및 태양광의 확률 밀도 함수(Probability Density Function)를 결정하는데 사용되어 졌다. 풍속 및 태양광 일사량의 확률 밀도 함수와 태양광 어레이 및 풍력 발전기의 여러 파라미터는 복합 발전 시스템의 평균 발생 전력을 계산하는데 사용하였고, 도서지역에서 1년간 계측되어진 부하의 변동에 대하여 최적의 태양광 어레이, 풍력 발전 용량을 선정 하기 위하여 최적 자승의 법칙이 사용되었다.

  • PDF

The application of Photovoltaic System using reservoir water (저수지 수면을 활용한 태양광발전 시스템 적용에 관한 연구)

  • Choi, Hyungcheol;Lee, SungHun;Jang, Jeongho;Lee, Eunchu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6a
    • /
    • pp.102.2-102.2
    • /
    • 2010
  • 저수지 수면을 이용한 태양광발전 시스템은 저수지, 연못 등의 유휴수면에 부유체를 이용하여 태양광발전 시스템을 수면에 설치하는 발전방식이다. 수면의 환경조건은 지상조건에 비해 장애물이 없고 모듈의 온도가 낮기 때문에 일조량 및 발전효율의 증가 등이 예상되고 있다. 지상 태양광 발전은 농지 또는 임야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산림훼손 등을 유발하는 단점이 있으나, 수면태양광 발전은 유효 수면을 적극 활용함으로 국토가 협소한 우리나라에 매우 적합한 발전 방식이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한국수자원공사에서 관리하고 있는 주암 다목적댐에 수면태양광 실증플랜트를 설치한 사례로 설계 및 시공 방법에 대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 PDF

Reliability evaluation of grid-connected photovoltaic systems (계통 연계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신뢰도 평가)

  • Seo, Jeong-Min;Bae, In-Su;Shim, Hun;Kim, Jin-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5.07a
    • /
    • pp.133-135
    • /
    • 2005
  • 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환경오염을 최소화하고 송 배전선에 손실을 줄이는 등 여러 가지 이점으로 많이 연구되고 있다. 지금까지의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 대한 연구는 독립형 소규모 발전에 적용되어 연구되었다. 하지만 본 논문에서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이 계통에 연계되었을 시 전체적인 신뢰도를 평가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11년치($1992{\sim}2002$) 일사량 데이터를 가지고 확률밀도 함수를 생성하여 배터리 저장상태에 따른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발전 확률을 계산하였다. 또한 태양광발전 시스템이 계통 연계시에 대해 Markov Chain 모델을 적용하여 해석하였으며, 이 값을 모의법을 통해 비교 확인하였다.

  • PDF

Mini Solar Generator on the ICT convergence (ICT 융합형 미니 태양광 발전시스템)

  • Hwang, Jae Ok;Seo, Beom Geun;Lee, Seong Ryong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6.07a
    • /
    • pp.465-466
    • /
    • 2016
  • 소규모 태양광 발전시스템은 개인 사용자가 손쉽게 설치 및 운용할 수 있는 250~500[W]규모의 미니 태양광 발전시스템이다. 미니 태양광 발전시스템에서 기존의 Boost Converter 사용으로 인한 효율저하에 대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Multiplied Boost Conveter를 채택하였고, PSIM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ICT 의 융합을 통해 각 가정에 설치되는 미니 태양광 발전시스템과 인버터 상태 및 고장 이력 등을 파악하여 유지 보수를 위한 웹기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 PDF

Reactive Power Control using Single Phase Grid-Connected PV Power System (단상 계통 연계형 태양광 발전을 이용한 무효전력 제어)

  • Kim, Seung-Tak;Kang, Byung-Kwan;Park, Jung-Woo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9.07a
    • /
    • pp.509_510
    • /
    • 2009
  • 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그 특성에 따라 주로 주택, 빌딩 등 비선형 부하를 지니는 장소에 단상 계통으로 연결되는 경우가 많다. 계통 연계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설치가 증가함에 따라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무효전력 제어는 전력품질 향상에 대해 의미를 지니게 된다. 본 논문은 3kW급 단상 계통 연계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 대해 간편한 무효 전력 제어 방식을 보여준다.

  • PDF

태양광 발전시설 스틸 보 기초 모듈러 공법의 구조체 접지 시스템에 대한 고찰

  • Kim, Eung-Uk
    • Bulletin of the Korea Photovoltaic Society
    • /
    • v.6 no.1
    • /
    • pp.92-99
    • /
    • 2020
  • 스틸 보 기초 모듈러 구조체를 이용한 접지는 구조체와 대지접지(접지극) 사이 거리가 짧아 감전사고를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스틸 보 기초 모듈러 구조체 접지저항 계산 결과, 제3종 접지극으로 사용하기에 충분하므로 별도의 접지극 매설 및 접지선 포설 등의 시공이 불필요하다. 결론적으로 태양광 발전설비에서 스틸 보 기초 모듈러 구조체를 이용한 접지는 기술적 및 경제적으로 보다 유리한 방식이며 태양광 발전설비의 안전하고 효율적인 운용을 보장한다.

A Study on Voltage Variation in Grid-Connected Photovoltaic System using EMTP (EMTP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의 계통 연계시 전압변동 분석에 관한 연구)

  • Park, June-Hee;Seo, Hun-Chul;Yeo, Sang-Mi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11a
    • /
    • pp.241-243
    • /
    • 2008
  • 태양광 발전 기술의 발달로 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계통연계가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태양광 발전이 계통에 연계됨에 따라 기존 배전계통에 미치는 전압변동 즉, 플리커 현상을 분석하였다. EMTP/ATPDraw를 이용하여 태양광 발전이 연계된 배전계통을 모델링 하였다. 태양광 발전은 직류가 3상 PWM 인버터를 통하여 교류로 변환되어 계통에 연결되도록 모델링하였다. 태양광 array를 병렬로 연결하여 태양광 발전의 출력량을 증가시켜서, 출력변동에 따른 계통의 전압변동을 분석 하였다.

  • PDF

Photovoltaic Power-Conditioning System With Super Capacitor for MPPT Control in Stand - alone Operation (자립 운전시 최대전력 추종 가능한 슈퍼커패시터 저장형 태양광 전력조절기)

  • Park, S.J.;Park, J.H.;Jeon, H.J.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0.11a
    • /
    • pp.68-69
    • /
    • 2010
  • 자립 운전시 전력조절기는 일반적으로 태양광 발전에서 사용을 할 경우 부하에 의해 출력이 결정되어 최대전력 추종을 할 수 없는 구조로 되어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립 운전시의 태양광 발전시스템이 안정적인 최대전력 추종을 할 수 있도록 에너지 저장장치가 결합된 구조를 제안하였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태양광 발전의 전력 손실을 줄이고 또한 태양광 발전 전력이 부족할 경우에서도 부하 측의 안정적인 동작을 보장하기 위하여 에너지 저장장치와 DC-DC 양방향 컨버터를 이용한다. 에너지 저장장치의 한 예로 슈퍼커패시터를 충 방전함으로써 태양광 발전 에너지에 의한 안정적인 출력을 낼 수 있고, 태양광 발전 전력의 효율적인 사용을 위한 전력조절 시스템의 아키텍처를 제안하고자 한다.

  • PDF

Automated Machine Learning-Based Solar PV Forecasting Considering Solar Position Information (태양 위치 정보를 고려한 AutoML 기반의 태양광 발전량 예측)

  • Jinyeong Oh;Dayeong So;Byeongcheon Lee;Jihoon M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3.05a
    • /
    • pp.322-323
    • /
    • 2023
  • 지속 가능한 에너지인 태양광 발전은 전 세계에서 널리 활용하는 재생 에너지 원천 중 하나로 최근 효율적인 태양광 발전 시스템 운영을 위해 태양광 발전량을 정확하게 예측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태양광 발전량 예측 모델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기상 및 대기 환경을 넘어 태양의 위치에 따른 일사량의 정보가 필수적이나 태양의 실시간 위치 정보를 입력 변수로 활용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그리하여 본 논문에서는 시간과 태양광 발전소 위치를 기반으로 태양의 고도와 방위각을 실시간으로 계산하여 입력 변수로 사용하는 방식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AutoML 기반의 다양한 기계학습 모델을 구성하여 태양광 발전율을 예측하고 그 성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태양 위치 정보를 포함한 경우에 환경 변수만을 고려하였을 때보다 예측 성능이 크게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Extra Trees 모델의 경우 태양 위치 정보를 추가하였을 때 MAE(Mean Absolute Error)가 33.90 에서 22.38 까지 낮아지는 결과를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