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태교프로그램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1초

태아애착에의 영향요인: 임부의 피로, 사회적지지, 태교실천 (The Contribution of Maternal-Fetal Attachment: Taegyo, Maternal Fatigue and Social Support during Pregnancy)

  • 유미;김미옥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0권4호
    • /
    • pp.247-254
    • /
    • 2014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산전 임부를 대상으로 태아애착, 태교실천, 피로 및 사회적 지지 정도를 확인하고 태아애착에의 영향 요인을 파악하는 데 있다. 방법 대상자는 월평균 분만 100건 이상의 여성전문병원에 산전관리를 위해 외래를 방문한 임부 중 임신합병증을 동반하지 않은 건강한 임부 211명이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태아애착의 차이를 비교하였으며 태아 애착을 평가하기 위한 Maternal-Fetal Attachment Scale, 태교실천은 Mun과 Choi (2002)의 도구, 피로를 측정하기 위해 Milligan 등(1997)이 개발한 Fatigue Symptom Checklist 및 Curry 등(1994)의 사회적지지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임부의 태아애착 정도는 $93.74{\pm}13.69$점(점수범위 25-125점)이었으며 산과력, 모유수유 경험 및 태교 경험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초임부, 모유수유 경험이 없는 경우, 태교 경험이 있는 경우 태아애착 정도가 유의하게 더 높았다. 임부의 태아애착은 태교실천(r=.71, p < .001), 피로(r=.15, p =.032), 사회적 지지(r=.38, p <.001)와 정적 상관관계에 있었고 태교 실천 정도는 사회적 지지 정도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r=.40, p <.001). 임부의 태아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태교실천(${\beta}=.67$), 피로(${\beta}=.21$), 사회적 지지(${\beta}=.13$) 순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55.2%였다. 결론 임부의 태아애착 증진을 위해 태교실천 및 태교실천 프로그램 효과를 입증하는 하나의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임부의 피로를 단순히 임신증상으로 인식하는 수준에서 벗어나 이를 태교실천을 통해 중재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사회적 지지를 통해 태교실천을 더욱 더 잘 실천함으로 태아애착이 증진될 수 있을 것이다.

태교 프로그램이 초임 부부의 부모-태아 애착과 부모의 정체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 Taegyo Program on Parent-Fetal Attachment and Parenthood in First Pregnancy Couples)

  • 양경미;김순례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571-579
    • /
    • 201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a taegyo program on parents-fetal attachment and parenthood in first pregnancy couples (mothers and spouses). Methods: The research design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experiment. Study participants were 52 first pregnancy couples visiting two medium-scale obstetrics and gynecology clinics located in Gwangju. A total of 52 couples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25 couples) and the control group (27 couples). The experimental couples were provided with a taegyo program for 4 weeks. Data were analyzed by chi square test, t-test, and ANCOVA using the SPSS program. Results: Post-treatment maternal- fetal attachment, paternal-fetal attachment and motherhood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but post-treatment fatherhood, anxiety, blood pressure and pulse of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ose i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From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the taegyo program has beneficial effects in enhancing parent-fetal attachment and motherhood in first pregnancy couples. Therefore, a taegyo program can be recommended as a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for first pregnancy couples.

임부 스트레스에 부부친밀도, 가족지지 및 피로가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Marital Intimacy, Family Support, and Fatigue on the Stress of Pregnant Woman)

  • 김미옥;유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2179-2188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임부의 스트레스, 부부친밀도, 가족지지 및 피로 정도를 파악하고, 임신 중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함으로써 향후 임신으로 인한 신체적, 정신적 변화에 따른 적응을 돕는 간호중재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에 참여한 임부 185명의 부부친밀도와 가족지지 및 스트레스 정도는 각각 3.17점(점수범위 1~4), 4.97점(점수범위 1~6), 2.80점(점수범위 1~5)으로 중간이상의 점수를, 피로 정도는 3.01점(점수범위 1~4)으로 다소 높았다. 임부 스트레스 정도는 산과력, 임신 중 신체적, 심리적 변화에의 적응 정도, 태교 등 산전 정보의 출처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임부의 스트레스는 부부친밀도 및 가족 지지와는 부적 상관관계를, 피로와는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임부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가족지지, 피로, 임신으로 인한 신체적, 정신적 변화에의 적응도 및 모유수유 경험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임부를 위한 스트레스관리프로그램은 임신으로 인한 신체적, 정신적 변화에 따른 적응을 도울 수 있도록 개발되어야 하며, 가족 지지를 촉진할 수 있는 프로그램 요소를 포함할 때 더욱 효과적일 것이다.

기태교(氣胎敎) 프로그램이 임신부의 불안, 우울 및 신체 증상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 Qigong Prenatal Education Program on Anxiety, Depression and Physical Symptoms in Pregnant Women)

  • 이경옥;김기련;안숙희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40-248
    • /
    • 200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s of a Qigong prenatal education program on anxiety, depression and physical symptoms in pregnant women. Method: The subjects were a total of 40 pregnant women who received regular prenatal care at S hospital. Twenty people were enrolled in the Qigong prenatal education program and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The other 20 people who received regular prenatal care only were the control group. The Qigong prenatal education program was given to the experimental group once a week and 2 hours per session for 4 weeks. Anxiety, depression and physical symptoms were collected by a self-administered study questionnaire at the pre- and post-test. Resul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or pretest scores of study variables at the pretest indicating both groups were homogeneous. Differential t-tests were used to test the effects of the Qigong prenatal education program on study variables. Pregnant women who received the Qigong prenatal education program had a lower level of depression than those who did not attend(t=2.23, p=.03).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n anxiety and physical symptoms. Conclusion: The Qigong prenatal education program was effective in alleviating depression during pregnancy. However, further study is needed to replicate the results with a greater sample size and to investigate the long term effects of the program on the labor and delivery proces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