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태계(太谿)

Search Result 359,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First report of Yellow-spotted Amazon River Turtle(Podocnemis unifilis) in neolb-eun pond area in Jeju Island (제주 넓은못 습지에서 관찰된 아마존노란점거북(Podocnemis unifilis)의 국내 첫 서식 보고)

  • Park, Seon-Mi;Oh, Hong-Shik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23 no.2
    • /
    • pp.116-121
    • /
    • 2021
  • This study is the first official report on the wild habitats of alien species, Yellow-spotted Amazon River Turtle (Podocnemis unifilis) in Republic of Korea. On July 24, 2020, two P.unifilis were observed basking on rocks at 33°30'20.08"N 126°38'0.23"E, Waheul-ri, Jocheon-eup, Jeju-si, Jeju. One individual had a yellow spots on the head where as the other contains black spot. Our observatory site is close to road and easy access to people. Thus, these individuals were believed to be released in the pond after raising as pets. Recently, the number of alien turtles identified in wild(etc. lake, resevoir) is increasing, which is predicted to damage the aquatic ecosystem due to the inflow of exotic turtles. So,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people's awareness of alien species through citizen science projects and environmental education. We suggest that research on habitat adaptation, reproduction and management through continuous monitoring is needed in the future.

The Gate Operation for Bolstering up Fish Migration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낙동강하구의 어류 이동성 향상을 위한 수문운영 방안 제안)

  • Jeong, Seokil;Han, Jeong-Ho;Lee, Ji-Young;Kim, Hwa-Young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36 no.5
    • /
    • pp.468-480
    • /
    • 2022
  • Although the construction of the Nakdong River Estuary Barrage (NEB) improved the water supply in the region, it cut off the longitudinal connectivity of the estuary aquatic ecosystem. Thus, the social demands for opening the NEB have been continuously raised, and the efforts to restore the aquatic ecosystem of the Nakdong River estuary began in 2017. Many fish species have inhabited the Nakdong River estuary. Since their habitat and migration characteristics vary widely, the sluice gate operation considering them is essential for the restoration of the aquatic ecosystem. Therefore, in this study, we monitored the fish species living and migrating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and analyzed the possibility of smooth movement of for each fish species by calculating the average flow velocity according to the type and the height of the gate opening. Moreover, we selected the target fish species for each month and suggested the sluice gate operation according to the depth of the main habitat to present the measures that are ideal for optimal restoration of the aquatic ecosystem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area.

Analysis of Efficiencies in pro environmental constructed Wetlands for Treating sewage treatment effluent (친환경 인공습지 조성을 통한 하수처리 방류수 재처리 효과분석)

  • Lim, Gun Muk;Park, So Mi;Ha, Eun Jung;Lee, Jong 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20-220
    • /
    • 2020
  • 영산강수계는 상류에 4개의 농업용 댐이 위치하여 환경대응용수 확보 및 하천유지유량이 절대적으로 부족하고, 갈수기 하천 유량의 약 67 %가 광주 제 1, 2 하수처리장 방류수가 차지하고 있어 하천의 수질과 수생태계를 위협하고 있다. 이에 최근에는 오염된 하천의 건강성을 회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수생태계의 정화능력을 활용한 인공습지가 각광받고 있다. 영산강 유역에서도 자연의 정화능력을 활용하여 하천 오염원을 저감시키기 위한 사업의 일환으로 2016년 광주 제 2 하수처리장 방류구에 서창오미공원 습지를 조성하였다. 이 습지는 유입량이 적어 정상적 기능이 어려운 기존 습지를 재조성한 것으로 하수처리장 방류수 약 5만 ㎥/day을 습지로 유입시켜 수질정화용 식재식물을 이용하여 하수처리장 방류수 수질을 개선한 사업이다. 2016~2017년 모니터링 결과, 습지 유입 전·후 BOD는 평균 33.5 %, 최대 73.1 % 저감 되었으며, T-P 또한 평균 59.3 %, 최대 91.6 % 저감 되었다. 그러나 습지는 운영기간 경과 시 퇴적물 축적, 고사체로 인한 T-P 용출 등으로 인하여 처리수의 수질이 더 악화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습지 조성 후 지속적인 유지관리와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그 예로 하수처리장 방류수와 비점오염원 처리를 위해 주암호에 조성된 인공습지의 경우, 2001년 준공 후 지속적인 관리 및 모니터링을 통하여 약 17년이 지난 2018년에도 BOD 49.3 % T-N 65.1 %, T-P 19.2 % 로 저감되어 오염원 및 영양염류 제거에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조사에서는 서창오미공원과 주암호 인공습지 운영 결과를 토대로 습지 모니터링의 중요성과 적정 운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며, 영산강 하천의 점·비점오염원 저감을 위한 신규 인공습지 조성 사업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PDF

Estimation of Habitat Suitability Index of Fish Species in the Nakdong River Water System (낙동강 수계에서 어류의 서식지적합도지수(HSI) 산정)

  • Lee, Jong Jin;Hur, Jun W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85-485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수계에서 어류의 수생태 건강성이 악화된 지점, 장기간 수질이 악화되거나 수위가 저하된 지점, 보호종이 지정된 지점을 중심으로 어류 서식지적합도지수(Habitat Suitability index, HSI)를 산정하였다. 현장조사는 하천유량이 감소하는 4월부터 6월 사이 총 4회 실시하였고, 투망과 족대를 이용해 어류 채집하였다. 어류의 서식지 특성 조사를 위해 채집 지점에서 수심, 유속, 하상재료를 조사하고 기록하여 엑셀 자료를 구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하천 단면의 물리적 특성을 잘 반영할 수 있는 WDFW(Washington Dept. of Fish and Wildlife) 방법을 이용하여 어류 서식처적합도지수를 산정하였다. 낙동강 수계 10개 지점에서 실시한 어류 조사 결과는 전체 9과 35종 2,227개체이다. 낙동강 수계 10개 지점의 대표어종을 선정하기 위해 법정보호종, 유영성종, 고유종, 기타 중요종을 검토한 다음 각 지점별 대표어종, 대리어종, 유사어종 등을 산정하였다. 낙동강 수계 전반에 걸쳐 피라미가 우점종으로 조사되었으며, 낙동강 상류지역에는 모래무지, 하류에는 수수미꾸리와 유사한 종의 출현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낙동강 전역에 걸쳐 서식하고 있는 피라미는 가능한 대표어종에서 제외하고, 보호종과 고유종을 중심으로 대표어종을 선정하였다. 그 결과 낙동강 상류 내성천 합류전 지점에서는 피라미, 내성천에서 참마자, 위천에서 참몰개, 갑천에서 돌고기, 황강에서 모래무지, 금호강에서 돌마자, 밀양강에서 쉬리. 남강에서 피라미, 형산강에서 참갈겨니, 태화강에서 피라미로 대표어종을 각각 결정하였다. 다음으로 각 지점별 대표어종에 대한 수심, 유속, 하상재료 조사 자료를 이용해 대표어종에 대한 서식지적합도지수를 산정하였다. 최근 갈수기 유량 감소로 생태계가 위협받는 기간이 증가하고 있다. 하천의 정상적인 생태기능 유지를 위한 최소한의 유량이 필요하고, 이를 확보하기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어류의 서식지적합도지수를 활용해 갈수기 어류 서식에 필요한 최소한의 유량을 결정하거나, 수생태계 복원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Improving the Water Cycle Management Index in Water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물환경보전법의 물순환관리지표 개선 연구)

  • Kim, Yeonju;Kim, Hyeonju;Kim, Gi-Joo;Kim, Young-Oh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500-500
    • /
    • 2022
  • 「물환경보전법」은 2007년의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관한 법률」에서 개정된 법률로 그 목적이 수질과 수생태계로 국한되어 왔다. 하지만 통합물관리 도입으로 인하여 제정된 「물관리기본법」에서는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물과 관련된 정책을 수립, 시행할 때에는 물순환 과정의 전주기를 고려하여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으며 「물환경보전법」의 물순환관리지표는 수량이 제외되어 물순환 왜곡으로 인한 문제점이 충분히 포함되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민들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물순환관리지표에 도시유역의 물순환 왜곡으로 인한 수재해 현황을 추가적으로 고려하고자 한다. 수재해 현황은 행정안전부의 자연재해로 인한 최근 10년간 인명피해와 피해액 조사를 바탕으로 가장 심각한 피해를 불러일으킨 폭염과 태풍 및 호우를 고려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그 중 도시유역에서의 폭염피해란 불투수면적률이 증가함에 따라 증발산량이 감소하며 발생하는 도심의 열섬현상과 깊은 관계가 있고, 태풍 및 호우피해는 첨두유량의 증가와 도시배수의 연결성에 의하여 발생하는 침수와 깊은 관계가 있기에 이를 본 연구에서의 수량의 대표인자로 결정하였다. 수계 단위의 물순환관리지표와 행정구역 단위의 수재해 현황을 공간적으로 비교하기 위해 면적가중평균법을 이용하여 물순환율과 불투수면적률을 행정구역별로 재척도화를 하였다. 그리고 고려할 요소를 판단하기 위해 행정구역 별 물순환관리지표와 열섬현상, 도시침수를 측정하는 지표의 순위를 매겨 등위상관계수를 계산하였다. 도시침수와 열섬현상을 대표하는 지표 중 물순환율과 상관계수가 낮은 지표부터 물순환관리지표에 포함시켜야 할 요소라고 판단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보다 개선된 물순환관리지표를 제안하였다. 기후변화에 따라 현재 수재해 위험성이 더욱 커지고 그의 패턴도 달라지고 있기에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물순환관리지표가 좀 더 국민들에게 실효성이 있는 평가지표로 개선되기를 기대한다.

  • PDF

An investigation of effect of density difference on mixing at confluence channel in the Nakdong River (낙동강 합류부에서 밀도차가 수체 혼합에 미치는 영향 분석)

  • Lee, Minjae;Park, Yong 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94-94
    • /
    • 2022
  • 본류와 지류가 만나는 하천 합류부에서 발생하는 복잡한 흐름 구조는 하상변동에 영향을 주며, 본류와 다른 특성을 보이는 지류의 유입은 수질과 수생태계에도 영향을 준다. 합류부는 하천 변화의 다양성을 보이기 때문에 하천 관리 측면에서 중요한 구간으로, 흐름 및 혼합 특성 이해가 중요하다. 합류부에서의 흐름 및 혼합은 본류와 지류의 유량비, 밀도차, 단차, 합류각, 하도형상 등의 영향으로 그 양상이 달라지며, 흐름장 및 두 수체에 의한 이송물질의 혼합이 이루어졌다고 간주하는 혼합거리는 지류가 본류에 미치는 영향 범위 분석을 위한 중요한 매개변수이다. 본 연구에서는 합류부 흐름에 미치는 주요 인자 중 유량비와 밀도차가 합류부 흐름 및 혼합에 미치는 영향을 수치해석을 통해 분석하고, 조건의 변화에 따른 혼합거리를 예측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 지역인 낙동강-황강 합류부는 다기능보와 댐의 운영에 따라 유입 유량 및 유량비가 조절되며, 여름철에는 황강의 수온이 낙동강보다 평균 4℃ 이상 낮으며, 9℃(지류 20℃; 본류 29℃) 이상의 수온차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 경우 밀도비는 0.998로 밀도류가 발생할 수 있는데, 밀도류가 발생할 경우 수표면과 저층이 분리되어 흐르기 때문에 동일 유량 조건에서도 혼합 양상은 달라진다. 밀도류가 발생하기 위해서는 수표면과 저층이 분리되는 성층이 발달해야 하는데, 이는 유속 또는 유량의 범위에 따라 성층의 발달 여부가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현장 조건을 반영한 수치해석을 통해 다양한 유량 조건(유량비)에서 밀도의 차이(수온차)가 합류부의 흐름 및 혼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보고자 하며, 합류부에서 밀도차에 의한 흐름의 변화 조건을 무차원수(Richardson number, Densimetric Froude number 등)를 통해 정량화해보고자 한다. 이는 지류가 본류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와 범위를 파악함으로써 하천 관리를 위한 관측망 및 현장 조사의 범위 선정의 기초자료 마련뿐 아니라 본류의 수온 변화가 발생할 수 있는 범위의 파악을 통해 수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파악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Monitoring of the Mobility of Fish on Turbidity Changes (탁도 변화에 따른 어류의 이동 특성 모니터링)

  • Joon Gu Kang;Nam Ju Lee;Dong Ho Nam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v.10 no.4
    • /
    • pp.201-207
    • /
    • 2023
  • Suspended solid in river is resource serious contamination. Suspended solid have a pernicious influence to fish and aquatic ecosystem. Flood and sediment and land use in river are largely[mainly] responsible of suspended solid. Especially, resuspension phenomenon of sediment will be dangerous effect to aquatic ecosystem. Study of fish and aquatic ecosystem on suspended solidus slight in fresh water. This study was basic research to manage fish and aquatic ecosystem on turbidity. It was conducted to analyze and monitor fish response on turbidity. Result in this study was confirmed the insensitive and die of fish on reduction of oxygen supply.

Zooplankton Community as an Indicator for Environmental Assessment of Aquatic Ecosystem: Application of Rotifer Functional Groups for Evaluating Water Quality in Eutrophic Reservoirs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수생태계 환경 평가 지표 활용: 부영양화 저수지 수질 평가를 위한 윤충류 기능성 그룹의 적용)

  • Oh, Hye-Ji;Chang, Kwang-Hyeon;Seo, Dong-Il;Nam, Gui-Sook;Lee, Eui-Haeng;Jeong, Hyun-Gi;Yoon, Ju-Duk;Oh, Jong Min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6 no.6
    • /
    • pp.404-417
    • /
    • 2017
  • In this study, we analyzed response patterns of rotifer community to eutrophic state, and estimated the applicability of rotifer community as an environmental indicator for highly eutrophicated reservoirs. In order to evaluate the relationships among spa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s and the water quality of rotifer community, we selected the Jundae Reservoir and Chodae Reservoir in Chungcheongnam-do, Korea, which are geographically adjacent but have different water quality, particularly in their eutrophic states. For the analyses on their correlations, monthly survey of water quality and rotifer community, was conducted from April to November 2013 in both reservoirs. The rotifer community was divided into different compositions of functional groups as well as species. Functional group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structure and shape of trophi which can represent feeding behavior of rotifer genus. To reflect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species, body size and habitat preferences were also considered. Species-based composition did not show a consistent tendency with water quality parameters related with eutrophication. On the contrary, functional group composition showed relatively clear group-specific patterns, increasing or decreasing according to the parameters. The results suggest the possible application of rotifer functional group composition as an indicatorforthe lentic systems, especially hyper-eutrophicated reservoirs. The present study can suggest the applicability based on the field observations from the limited time scale and sites, and further studies on feeding behavior of the rotifer functional group and its interactions with environmental variables are necessary for the further application.

Assessment of climate change impact on aquatic ecology health indices in Han river basin using SWAT and random forest (SWAT 및 random forest를 이용한 기후변화에 따른 한강유역의 수생태계 건강성 지수 영향 평가)

  • Woo, So Young;Jung, Chung Gil;Kim, Jin Uk;Kim, Seong Joo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1 no.10
    • /
    • pp.863-874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future climate change impact on stream aquatic ecology health of Han River watershed ($34,148km^2$) using SWAT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and random forest. The 8 years (2008~2015) spring (April to June) Aquatic ecology Health Indices (AHI) such as Trophic Diatom Index (TDI), Benthic Macroinvertebrate Index (BMI) and Fish Assessment Index (FAI) scored (0~100) and graded (A~E) by NIER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were used. The 8 years NIER indices with the water quality (T-N, $NH_4$, $NO_3$, T-P, $PO_4$) showed that the deviation of AHI score is large when the concentration of water quality is low, and AHI score had negative correlation when the concentration is high. By using random forest, one of the Machine Learning techniques for classification analysis, the classification results for the 3 indices grade showed that all of precision, recall, and f1-score were above 0.81. The future SWAT hydrology and water quality results under HadGEM3-RA RCP 4.5 and 8.5 scenarios of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showed that the future nitrogen-related water quality in watershed average increased up to 43.2% by the baseflow increase effect and the phosphorus-related water quality decreased up to 18.9% by the surface runoff decrease effect. The future FAI and BMI showed a little better Index grade while the future TDI showed a little worse index grade. We can infer that the future TDI is more sensitive to nitrogen-related water quality and the future FAI and BMI are responded to phosphorus-related water quality.

Spatio-temporal Distribution Patterns of Lotic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ies in Namhan-River Weir Section (남한강 보 구간 유수성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시·공간적 분포 특성)

  • Kim, Jin-Young;Lee, Seung-Hyun;Lee, Kyung-Lak;Noh, Seongyu;Shin, Yuna;Lee, Su-Woong;Lee, Jaekwan;Won, Doo-hee;Lim, Sung-ho;Kown, Yongju;Kong, Dongsoo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51 no.4
    • /
    • pp.331-344
    • /
    • 2018
  • Lotic organisms in streams are affected by natural and anthropogenic disturbances such as increase of heavy rainfall event caused by climate change and flow regime change caused by weir constructions. Based on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157 Korean benthic macroinvertebrate taxa were selected species as potential lotic candidates. Three shoreline sites (total 54 samples) were surveyed consecutively before ('08~'09), during ('10~'12) and after ('13~'16) the construction of the weirs (Gangcheon, Yeoju and Ipo weir) in the Namhan-River for tracing changes of lotic communities. As a result, water flow of the Ipo-wier and water quality variables such as T-N, T-P, BOD5, etc. of the weir section revealed no significant changes. Physical habitat conditions such as the flow velocity and streambed substrate evidently changed. Particulary, flow velocity measured at sampling points along with each microhabitat drastically decreased and particle size of streambed substrate steadily decreased after weir constructions. Lotic organisms also decreased after construction, especially Hydropsychidae (insecta: Trichoptera) acutely decreased from $3,526ind.\;m^{-2}$ to $2ind.\;m^{-2}$ As a result of CCA, lotic species such as Hydropsyche valvata, Hydropsyche kozhantschikovi, Cheumatopsyche brevilineata, Cheumatopsyche KUa, Macrostemum radiatum, etc. correlated with the flow velocity, streambed substrate. Therefore, the decrease of the flow velocity and substrate size after weir construction seemed to be closely related to the decrease of the individual abundances of the lotic organisms independently of water quality. In order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the ecosystem on the flow regime change more accurately,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indicator species based on the resistance or preference of the fl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