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탈질량

검색결과 126건 처리시간 0.021초

한강 지류 토지 이용 특성과 하천 내의 미지형에 따른 탈질량과 조절 인자 (Denitrification Rates in Tributaries of the Han River in Relation to Landuse Patterns and Microtopology)

  • 김영주;권민정;강호정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39-146
    • /
    • 2012
  • 하천 생태계는 질소 제거를 포함해 수질 개선 등의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하지만 산업화 이후에 가속화된 토지이용특성 변화는 이와 같은 하천의 생태적 기능을 저하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주변의 토지이용특성과 각 하천의 미지형에 따른 하천의 탈질량 및 이의 조절인자에 대해 알아보고자 토지 이용 특성에 따라 한강의 5차 하천 10 곳을 선정하고 각 하천을 하변, 저토, 중간사주의 두부와 미부 네 개의 미지형으로 구분하여 현장 탈질량과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측정 결과 농경 하천, 도심 하천, 산림 하천에서의 탈질량은 각각 $289.62{\pm}70.69$, $157.01{\pm}37.06$, $31.38{\pm}18.65mg$ $N_2O-N\;m^{-2}\;d^{-1}$ 으로 나타났다. 미지형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하변에서 가장 높고 중간사주 두부보다 미부에서 약간 높은 경향을 보였다. 탈질량을 결정하는 환경요인으로는 수온, 토양의 미사와 점토 함량, 무기 질소와 탄소원이 있었고, 이들 모두 탈질량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유역 내의 토지 이용특성이 하천의 중요한 기능 중 하나인 질소 제거능에 큰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미지형간의 상관성을 고려하여 탈질량을 실측한 결과는 생태적 기능을 고려한 하천 관리 및 복원 연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논토양(土壤)의 탈질작용(脫窒作用)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第) 1 보(報). 사질답토양(砂質畓土壤)에서 질소시비량(窒素施肥量) 차이(差異)가 탈질(脫窒)에 미치는 영향(影響) (Studies on the Denitrification in the Submerged Paddy Soil -1. The Denitrification Rates Upon the Different Levels of Nitrogen Fertilizer in Sandy Soil)

  • 이상규;김승환;박준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94-98
    • /
    • 1985
  • 담수토양조건(湛水土壤條件)에서 질소시비량(窒素施肥量)이 상이(相異)했을때 아산화질소(亞酸化窒素)($N_2O$) 생성(生成)에 의한 시비질소(施肥窒素)의 탈질(脫窒)과 관계(關係)한 몇가지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담수항온기간중(湛水恒溫期間中) $N_2O$ gas의 생성량(生成量)은 항온(恒溫) 20일경(日傾)에 가장 많았으며 시비량(施肥量)이 증가(增加)할수록 $N_2O$ gas의 생성량(生成量)도 증가(增加)하여 최고(最高) $1830{\mu}g/100g$을 나타내었다. 2. 토양중(土壤中) 질소시비량(窒素施肥量)이 증가(增加)할수록 Ammonia 화성율(化成率) 및 초산화성율(硝酸化成率)이 증가(增加)하였다. 3. Mitchaelis-Mentene의 효소반응공식(酵素反應公式)에 의한 초산태질소(硝酸態窒素)로부터 탈질량(脫窒量) 산출결과(算出結果)는 실제(實際) 아산화질소측정(亞酸化窒素測定)에 의한 탈질량(脫窒量)과 높은 상관관계(相關關係)가 있었으며 계산식(計算式)에 의한 탈질량(脫窒量)이 다소(多少) 많았다. 그리고 본시험결과(本試驗結果) 탈질반응(脫窒反應)은 Zero Order Kinetic으로 밝혀졌다.

  • PDF

논토양(土壤)의 탈질작용(脫窒作用)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第)II보(報). 유기물(有機物)의 종류(種類) 및 질소시비량차이(窒素施肥量差異)가 탈질(脫窒)에 미치는 영향(影響) (Studies on the Denitrification in the Submerged Paddy Soil -II. The Denitrification Rates Upon Kinds of Applied Organic Matter and Levels of Nitrogen Fertilizer)

  • 이상규;김승환;박준규;안상배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76-82
    • /
    • 1986
  • 1. 항온기간중(恒溫期間中) $N_2O$의 경시적(徑時的) 발생량(發生量)은 항온(恒溫) 1일(日)과 10일경(日傾) 그리고 $N_2$의 발생량(發生量)은 1일(日)과 30일경(日傾)에 많았다. 2. 토양유기물함량별(土壤有機物含量別) 탈질량(脫窒量)은 현저(顯著)한 차이(差異)를 보이지 않았으며 시용유기물간(施用有機物間)에는 녹비(綠肥)>볏짚>퇴비(堆肥)>무시용(無施用)의 순서(順序)로 높았다. 3. 질소시비량(窒素施肥量)이 증가(增加)할수록 탈질량(脫窒量)은 증가(增加)되었으나 토양간(土壤間)에는 뚜렷한 차이(差異)가 없었음. 4. 탈질반응속도(脫秩反應速度)(계수(係數))는 토양유기물함량(土壤有機物含量)이 많고 역분해성유기물(易分解性有機物)을 시용(施用)할수록 증가(增加)되었음. 5. 토양중(土壤中) 탄소발생량(炭素發生量)과 탈질량(脫窒量)과의 관계(關係)에서 아산화질소(亞酸化窒素)는 정상관(正相關) 그리고 분자상질소(分子狀窒素)는 부상관관계(負相關關係)를 보였음. 6. 탄소(炭素) 1 mg이 소모(消耗)될때 약 4 mg의 $N_2O$와 3 mg의 $N_2$가 생성되었음.

  • PDF

OCED 농업양분지표중 질소 균형지표 설정 (Determination of Nitrogen Balance of Agricultural Land among OECD Nutrient Balance Indexes)

  • 이춘수;김필주;박양호;곽한강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347-355
    • /
    • 2000
  • OECD농업/환경위원회 요청에 의하여 질소양분 균형지표 (Input-Output)설정을 위한 기초자료가 되는 비료소비량, 가축분생산량 생물적 질소고정량, 작물흡수량, 탈질량 및 작물부산물 회수량 등을 조사하였다. 질소균형지표는 1997기준, 탈질량을 포함할 경우와 포함하지 않을 때 각각 ha당 158kg, 211kg이었으나 OECD에서 요구하는 탈질량과 작물 부산물 회수량을 제외하는 경우는 250kg으로 산출되었다. 질소균형지표를 연도별로 비교해 보면 1985년 기준 $70{\sim}162kg\;ha^{-1}$에 비하여 1997년은 1.7~2.3배나 증가되었으며, 주요인은 가축분생산량 및 화학비료 소비량 증가와 경지면적 감소 때문이었다. 질소균형지표의 구성비율은 1997년을 기준으로 하여 질소의 Input에서 화학비료 59%, 가축분뇨 42%, 기타 5%이며 (가축분중 질소휘산량은 6%임), Output는 작물생산 73%, 부산물 회수량 23%, 목초생산 4%이였다. OECD사무국에서 검토한 자료(안)에 의하면 1995~1997년 기준 탈질량과 부산물회수를 통한 질소 질소제거량을 제외한 질소균형지표는 우리나라가 $253kg\;ha^{-1}$으로 네델란드의 $262kg\;ha^{-1}$ 다음으로 회원국중 두번째로 높으며, 일본은 $135kg\;ha^{-1}$이었다.

  • PDF

논토양(土壤)의 탈질작용(脫窒作用)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第) 3 보(報) : 볏짚 및 규산질비료(珪酸質肥料)의 시용시기(施用時期)가 탈질(脫窒)에 미치는 영향(影響) (Studies on the Denitrification in the Submerged Paddy soil -III. Pretreatment of rice straw and silica fertilizer in submerged and upland soil Condition)

  • 이상규;김승환;박준규;안상배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45-249
    • /
    • 1986
  • 담수상태(湛水狀態)와 밭상태(狀態)의 토양조건(土壤條件)에 볏짚과 규산질비료(珪酸質肥料)를 시용시기별(施用時期別)로 처리(處理)한 후(後) 토양(土壤)에 이몰(理沒)하였다가 질내(窒內)에 채취(採取)하여 담수항온(湛水恒溫)하면서 탈질량(脫窒量)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볏짚과 규산질비료(珪酸質肥料)의 병용시 탈질량(脫窒量)은 항시담수구(恒時湛水區)보다 밭상태(狀態)로 유지(維持)하다 담수처리(湛水處理)한 구(區)에서 현저(顯著)히 증가(增加)되었다. 2. 볏짚 및 규산질비료(珪酸質肥料)의 시용시기별(施用時期別) 탈질량(脫窒量)은 이앙(移秧) 2주전(週前) 시용구(施用區)가 조춘(早春) 및 가을 시용구(施用區)보다 현저(顯著)한 증가량(增加量)을 보였다. 3. 질소(窒素) 1 mole 탈질(脫窒)시키는데 소요(消要)되는 탄소량(炭素量)은 항시담수구(恒時湛水區)가 밭상태(狀態)의 토양(土壤)보다 많았으며 볏짚과 규산질비료시용(珪酸質肥料施用)은 탄소(炭素)의 소모량(消耗量)은 감소(減少)시켰다. 4. 항온기간중(恒溫期間中) 무기태질소생성량(無機態窒素生成量) 및 초산화성율(硝酸化成率)은 항시담수구(恒時湛水區)보다 밭상태(狀態)의 토양(土壤)에서 현저(顯著)한 증가(增加)를 보였다.

  • PDF

기체상 질소산화물을 포함한 2011년도 대한민국 질소수지 산정 (2011 Nitrogen Budget of South Korea Including Nitrogen Oxides in Gas Phase)

  • 신진환;유채원;안상우;박재우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75-83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2011년도 대한민국에서 발생된 질소수지에 관한 연구에 기존 연구에서는 포함되지 않았던 질소산화물(NOx)의 발생량을 포함하여 추정하였다. 질소산화물의 발생원은 IPCC와 EPA보고서에 의해 배출되는 기여율이 높은 항목을 참고하여 자동차, 사업장, 발전소에 관해 산정하였다. 이외 질소수지연구는 발생원에 따라 도시지역과 농경지 및 축산업지역, 임야지역으로 구분하였으며, 질소(N)의 유입과 유출에 초점을 맞추어 시도별로 연구하였다. 질소의 유입에 대해서는 농경지의 비료에 의한 질소유입량과 생물학적 고정량, 대기침착량, 관개용수에 의한 유입량, 화학비료에 의한 질소발생량, 축산업 지역에서의 사료에 의한 유입량, 임야지역의 고정 및 침착량, 도시에서 식료품 수입에 의한 질소발생량, 당 해에 생산된 농작물이 도시지역으로 유입되어 발생하는 질소량, 자동차와 발전소, 사업장에서 사용된 연료에 의한 질소발생량을 추정하였으며, 유출로는 작물에 의한 흡수량과 탈질량, 지하수로의 유출되어 발생하는 양, 가축분뇨의 해양투기, 농경지에서 흡수되는 양, 임야에서 흡수 및 탈질량, 도시에서 해양투기되는 양과 탈질량, 연료의 연소과정에서 배출되는 질소산화물을 대상으로 하였다. 질소산화물을 제외한 2011년 유입량은 1,692,648 ton/yr로 나타났으며, 유출은 1,005,496 ton/yr로 산정되었다. 질소산화물의 발생량은 자동차로 인해 308,207 ton/yr 생성되었으며, 발전소에서는 601,437 ton/yr, 사업장에서는 469,946 ton/yr이 배출된 것으로 산정되었다. 따라서 질소산화물을 포함한 2011년도 총 질소수지는 5,652,366 ton/yr 유입되었고 1,425,371 ton/yr이 유출된 것으로 산정되었다.

C/N비가 낮은 하.폐수에서 황입자를 이용한 아질산성질소 탈질 연구(회분식 실험) (Autotrophic Nitrite Denitrification Using Sulfur Particles for Treatment of Wastewaters with Low C/N Ratios (Batch Tests))

  • 윤승준;강우창;배우근;오상은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2권9호
    • /
    • pp.851-856
    • /
    • 2010
  • 본 연구는 단축질소제거(SBNR) 공정의 후속 공정 목적으로 황이용 독립영양탈질을 이용하여 유출수 내 아질산성질소를 제거하고자 황 이용 아질산성질소의 제거특성을 파악하였다. 이를 위하여 알칼리도가 이론적인 양보다 충분한 조건과 부족한 조건에서 아질산성질소와 질산성질소의 황탈질 회분식 실험을 수행하면서 메탄올의 영향을 파악하였다. 충분한 알칼리도와 완전독립영양 조건에서 초기 아질산성질소, 질산성질소 농도가 각각 100 mg N/L에서 배양 27시간 이내에 99% 이상의 질소가 제거 되었다. 탈질 속도는 질산성질소 탈질에 비해 아질산성질소 탈질이 약 1.3배 빨랐다. 아질산성질소 탈질 시 1 g 당 황산염 이온 생성량은 약 4.8 g ${SO_4}^{2-}/g$ ${NO_2}^-$-N 이었고, 질산성질소 탈질의 경우 13.5 g ${SO_4}^{2-}/g$ ${NO_3}^-$-N이었다. 알칼리도가 충분하지 않은 조건에서 아질산성질소는 95% 이상 높은 효율을 보였으나 15시간 정도의 긴 유도기가 관찰되었고, 질산성질소 탈질의 경우 배양기간 동안 전혀 탈질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아질산성질소 탈질에서 제거된 아질산성질소 1 g 당 황산염 이온 생성량은 약 2.6 g이었고 알칼리도 소비량은 1.2 g $CaCO_3$이었다. 모든 알칼리도 조건에서 투여한 메탄올의 아질산성질소 제거 영향은 없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황이용탈질의 특성을 파악하여 하수 및 폐수의 특성에 맞게 반응조 운전이 이루어지면 기존 탈질 방법의 단점을 보완한 효율적인 탈질 방법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농법과 계절에 따른 탈질세균의 군집 구조와 탈질율 비교 (A comparison of community structure and denitrifying ratio for denitrifying bacteria dependent on agricultural methods and seasons)

  • 윤준범;박경량
    • 미생물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9-19
    • /
    • 2017
  • 농법에 따른 토양성분과 $N_2O$ 발생량, 탈질세균 수, 탈질세균의 군집 구조와 T-RFLP 패턴을 계절별로 조사하였다. 토양성분 분석결과 총 탄소량과 총 유기탄소량은 유기농법에서 각각 1.57%, 1.28%, 무농약 농법은 1.52%, 1.24%, 관행농법은 1.40%, 0.95%로 친환경농법에서 유기 탄소량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N_2O$ 발생량은 5월과 11월 토양이 높았지만 속도는 8월 토양이 빨랐다. 탈질세균 수는 유기농토양은 평균 $1.32{\times}10^4MPN/g$,무농약 토양은 평균 $1.17{\times}10^4MPN/g$, 관행농 토양은 평균 $6.29{\times}10^3MPN/g$으로 친환경농법 토양이 관행농법 토양에 비해 탈질세균 수가 많은 것을 확인하였다. 계통수 분석 결과, 전체 10개 Cluster 중 유기농법 토양이 6개의 Cluster에 분포되어 친환경 농법 토양이 다양한 군집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T-RFLP 패턴의 PCA profile 분석 결과, 유기농법은 넓은 분포를, 관행농법은 좁은 범위의 분포를 나타내고, 무농약농법은 유기농법과 관행농법의 중간에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계절과 농법에 따라 탈질세균의 분포와 군집구조가 달라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580 MW급 복합발전소 탈질설비에서 가스터빈 출력에 따른 암모니아 소모량 변화 (Change of Ammonia Consumption with Gas Turbine Output in DeNOx System for a 580 MW Combined Cycle Power Plant)

  • 장용우;유호선
    • 플랜트 저널
    • /
    • 제15권3호
    • /
    • pp.23-28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580 MW급 세종복합발전소의 선택적 촉매환원방식 탈질설비 1호기를 대상으로 강화된 대기환경보전법 및 환경평가협의 질소산화물 허용배출기준을 준수하는 암모니아 소모량을 찾고자 가스터빈 출력별 암모니아 투입량을 조절하며 측정하였다. 측정을 위해 가스터빈 출력은 50, 99, 149 그리고 198 MW로 변동시키고 각 출력단계별 연소가스 및 암모니아 공급조건을 고정한 상태에서 탈질설비 내 암모니아 소모량을 조절하였다. 질소산화물 배출기준을 10 ppm에서 8 ppm으로 변경하였을 때 출력대별 암모니아 소모량은 각각 78, 93, 105 그리고 133 kg/h에서 89, 113, 132 그리고 176 kg/h로 증가 되었다. 암모니아 소모량 증가율은 질소산화물 배출기준 10 ppm 대비 출력대 별 각각 14, 22, 26 그리고 32%로 출력이 증가할 수 록 증가율도 늘어남을 알 수 있었다.

플라즈마 동시처리 장치를 이용한 조건별 탈황$\cdot$탈질 특성

  • 심재구;박태성;장경룡;엄희문;석동찬;한영욱
    • 한국환경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과학회 2001년도 정기총회 및 봄 학술발표회 초록집
    • /
    • pp.98-99
    • /
    • 2001
  • B화력발전소 3호기의 배가스를 플라즈마를 이용한 탈황/탈질 동시처리기술에 적용하기 위하여 pilot-plant를 설치하고 실 배가스를 이용한 동시처리 실험을 시행하여 배가스 인입온도 $90^{\circ}C$에서 $NH_3$$SO_2$와 NOx에 대하여 0.65당량, $C_2$$H_4$를 NOx에 대하여 0.6 당량 주입하고 비전력량을 3~4 Whr/N㎥로 배가스에 인가하면, 탈황율 90%, 탈질율 70% 이상이 얻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