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탈구조주의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1초

자하 하디드의 탈구조주의적 페미니즘 건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constructionist feminist architecture of Zaha Hadid)

  • 이란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4권5호
    • /
    • pp.133-140
    • /
    • 2005
  • Jacques Derrida, a leading theorist of the post-structuralism, has explicated how the material reality is subordinated to the ideality of form, by noticing the platonic concept, 'chora', which implicates the spatiality as the matrix and also by actualizing its essential meaning as the femininity. On the basis of the idea of the platonic 'chora', the Derridian deconstructive spatiality and its feminist oriented enlargement of Grosz this study is purposed to elucidate the architectural idea of Zaha Hadid that is located in the similar horizon with the deconstructionism. On the one hand it is focused on the explication of the new concept of space, which is dealt with the deconstruction of the traditional concept of space, on the other on the inference of the feminity of the originally understood spatiality. With this inference it is finally intended to reexamine the foundation of the discussion for the architectural space that must be ahead of the discussion for the difference between the masculine and the feminine space. If it is fundamentally and manifoldly executed, not only the architectural paradigm will enter into an renewed phase, but also the various ways toward the new direction of the architecture be explored.

포스트모던 생태학과 공생과 차이로서의 환경정의 (Postmodern Ecology and Environmental Justice as Symbiosis and Difference)

  • 최병두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92-312
    • /
    • 2001
  • 오늘날 생태위기는 흔히 주체와 객체, 인간과 자연간의 데카르트적 이분법에 기초하여 자연을 대상화하고 도구적으로 정복한 근대성의 결과라고 이해된다. 이에 따라 근대성에 반대하고 나아가 생태위기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환경론이 중요한 의미를 가지게 되었다. 본 논문은 근대성에 반대하여 새로운 담론 및 정치를 구축하고자 하는 포스트모던 패러다임 특히 탈구조주의자들의 주장이나 이론들 속에 함의되어 있는 생태학적 논의들을 검토하고. 나아가 이러한 포스트모던 생태학에 근거한 환경정의론의 가능성을 모색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우선 탈구조주의 일반에서 찾아 볼 수 있는 생태학적 논의와 환경윤리적 함의를 검토하고, 탈구조주의자들 가운데 가장 명시적으로 생태학적 논의를 담고 있는 들뢰즈의 철학에서 '행동학'과 '리좀적 자연주의'에 초점을 두고 그의 뛰어난 생태학적 통찰력을 고찰하며, 끌으로 포스트모던 관점에서 '차이'를 이론화하고자 한 생물지역주의 그리고 특히 들뢰즈의 생태학에서 핵심을 이루고 있는 공생과 타이를 환경정의의 입장에서 이해하고자 한다.

  • PDF

피터 아이젠만의 해체주의 이론과 작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construction Theory and the works of Peter Eisenman)

  • 이지민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1호
    • /
    • pp.147-153
    • /
    • 1999
  • Deconstruction, which aims at art for pure art's sake, along with post-modernism which pursues for de-unification and variety, is trend of design characterizing the contemporary society. Responding to this trend, in Korean the design which advocates post-modernism has been begun and the trend of deconstruction spreads among young architects and designers and this trend is shown in furniture, accessories and lighting design, as well as in interior desigv. This study is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movement of recovering the limits of the existing one is the thinking of deconstructiov. By analyzing and considering the theory and works of Peter Eisenman who shows the trend of deconstruction, this study tries to disclose the design theory of deconstruction and get the reasonable approach toward the progress of design resulting from the progress of human being, science, and humanities.

  • PDF

2000년 이후 중국 뮤지엄의 공간구조 변화에 관한 사회적 의미 연구 (A Study on the social implications of changes in the spatial structure of the Chinese museums since 2000)

  • 옹령령;문정묵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1권5호
    • /
    • pp.336-342
    • /
    • 2012
  • Chinese society, which maintained the feudal social system, has taken an isolationist policy in response to the Western aggression since $20^{th}$ century. However, in the wake of the Opium War of 1840, China had actively accepted Western culture, not in just politics and economy, but in diverse area of social property. Since these process, the modernization of China had begun and the Chinese museum has been erected and evolved through the process of it. And it can be deducted that the philosophy of socialist society had a considerable influence on the spatial configuration of the Chinese museum since it was at the heart of china's modernization. And another social shift has been made since 2000 that is regarded as the internationalization of China. It brought a new point of de-structuralism to the society since 2000 and it is leading the changes of various areas of culture and arts, including museology in Chinese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what changes have been made to the museums in China since 2000 and how the internationalization of China is engaged with this it, in terms of the spatial structure of a museum. To do this the study examined the spatial changes of the museum in the mathematical approach including Space Syntax tool and it was engaged with the changes of museum type. Throughout the study, it was concluded that spatial structure of museums in china has been changed from structural organization to de-structural one since 2000 of China's internationalization.

  • PDF

중학교 지리 교과서에 재현된 개발 담론 분석 (Development Discourse and Its Representation in Middle School Geography Textbooks)

  • 조철기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54-472
    • /
    • 2014
  • 이 연구는 개발 담론의 변화에 대한 고찰을 통해 우리나라 중학교 지리교육과정 및 지리교과서에 재현된 개발 담론의 특징을 분석한 것이다. 개발 담론은 근대화이론, 종속이론, 신자유주의, 풀뿌리 개발, 지속가능한 개발, 탈식민주의 탈구조주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에 근거하여 지리교과서에 재현된 개발담론을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발 및 지속가능한 개발에 대한 개념 정립과 조작적 정의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발의 척도는 주로 1인당 국내총생산 또는 1인당 국민총소득과 같은 평균적인 경제적 척도에 의존하고 있었다. 교육수준과 평균수명을 포함한 인간개발지수는 일부 교과서에서만 언급되고, 젠더 지수는 전혀 언급하고 있지 않았다. 셋째, 특정 교과서는 개발도상국 대신에 편견적인 저개발국, 최저개발국이라는 용어를 여전히 사용하고 있었다. 넷째, 경제적 불평등 및 지리적 문제 해결을 위한 방안에서는 국제적, 국가적, 비정부조직의 차원에 대한 강조에 비해 개인적 측면에 대한 고려가 매우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지속가능한 개발 있어서 세대 간 공정만 언급할 뿐 세대 내 공정은 간과하고 있다. 그리고 지속가능한 개발에 대한 접근은 주로 생태중심적 접근보다는 기술중심적 접근에 토대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통해 볼 때, 지리교과서 서술에 있어서 개발 담론에 대한 더욱 더 신중한 접근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