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탄소-탄소복합재료

검색결과 654건 처리시간 0.022초

전자파 차폐용 하이브리드 탄소나노물질 (Hybrid Carbon Nanomaterials f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hielding)

  • 이시화;오일권
    • Composites Research
    • /
    • 제29권4호
    • /
    • pp.138-144
    • /
    • 2016
  • 최근 유해한 전자파 문제에 대응하여 사용되는 전자파 차폐 물질에 대한 관심이 대두되고 있다. 우선, 전통적으로 사용되는 전도성이 높은 금속 기반 물질들이 있지만, 무겁고 부식성에 대한 한계가 있기에 이를 극복할 수 있는, 가볍고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고, 부식에 대한 내구성이 있으며 전기 전도성이 높은 탄소계 물질들이 대두되었다. 탄소계 물질을 phase별로 나누어, 그래핀, CNT와 같은 1-phase 단일계 탄소계 물질부터 단일계 탄소물질에 금속이 추가되거나, 서로 다른 탄소계 물질이 혼합된 2-phase 탄소계 물질, 서로 다른 탄소계 물질에 기능성 금속이 추가된 3-phase 탄소계 물질순으로 각각의 특징을 소개하였다.

CNT와 Graphite 나노/마이크로 입자 배열에 의한 나노복합재의 제작과 기계적 강성 및 방사능 차폐 특성 평가 (Nano-Composite's Mechanical and Radioactive Barrier Characteristics by Nano Size CNT & Graphite Particles Alignment)

  • 조희근
    • Composites Research
    • /
    • 제26권6호
    • /
    • pp.355-362
    • /
    • 2013
  • 복합재료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탄소계 나노복합재의 성능 향상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나노 사이즈의 탄소나노튜브(CNT)와 마이크로 사이즈의 그레파이트(Graphite) 입자를 일정한 형태로 배열하여 나노복합재를 제작하였다. 입자를 배열하기 위하여 전기장을 활용하였다. 일정한 방향 혹은 형태로 배열된 입자는 에폭시 기지 속에서 섬유강화 복합재 처럼 일정한 방향으로 강성의 향상을 나타낸다. 복합재의 구조적 강성이나 물리적 특성은 강화 입자의 배열상태에 따라 매우 달라지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특히 탄소나노튜브와 그레파이트 강화입자의 전기장 배열에 의해서 만들어진 나노복합재의 강성 및 방사능 차폐특성을 규명하였다. 전기장에 의한 입자의 배열로 만들어진 탄소계 복합재는 구조적 성능뿐만 아니라 물리적인 방사능 차폐에서도 훌륭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반응성 고분자 계면상을 도입한 PP/탄소섬유 복합재료의 제조와 물성 (Fabrication of PP/Carbon Fiber Composites by Introducing Reactive Interphase and its Properties)

  • 김민영;김지홍;김원호;최영선;황병선
    • 폴리머
    • /
    • 제24권4호
    • /
    • pp.556-563
    • /
    • 2000
  • 일반적으로 열가소성 복합재료는 섬유와 기지재료간의 결합력이 약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어 개발의 한계를 가져왔으나 점차적으로 수지의 개발, 공정의 개선, 계면상의 도입으로 지속적인 물성 향상을 이루고 있다. 특히 계면상의 도입은 외부에서 받은 충격을 잘 흡수할 뿐만 아니라 기지재료와 섬유와의 결합력을 높여 준다. 본 연구에서는 탄소섬유의 전기전도성을 이용하여 전착(electrodeposition)에 의해 탄소섬유와 수지 사이에 계면상을 도입하였으며 계면상 물질과 폴리프로필렌 수지와의 약한 결합력을 개선하기 위해 modified polypropylene을 수지에 첨가하였다. 대표적인 열가소성 수지인 폴리프로필렌을 기지재료로 사용하여 복합재료를 제조하여 층간전단강도, 충격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을 평가한 결과, 전착을 통한 계면상을 도입하였을 경우가 물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착 공정에서는 anhydride 또는 free acid group을 가진 반응성 고분자를 사용하여 수용액상에서 전하 운반체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하였고 고분자의 종류를 달리하여 계면상 물질의 변화에 따른 복합재료의 물성 차이를 평가하였다. 또한 함침 용액의 농도, 전류밀도 및 전착시간을 변화시키면서 탄소섬유에의 전착수율을 평가하였다.

  • PDF

전기저항 측정법을 이용한 탄소나노튜브/폴리프로필렌 나노복합재료의 내부 손상 예측 (Electrical Resistance Measurement in Characterizing the Internal Damage of Carbon Nanotube/Polypropylene Nanocomposites)

  • 김학수;권동준;왕작가;구가영;김대식;이춘수;박종만
    • Composites Research
    • /
    • 제26권3호
    • /
    • pp.201-206
    • /
    • 2013
  • 전기저항 측정법을 이용하여 전도성을 띄는 소재는 손상예측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차량용 소재로 이용하는 폴리프로필렌(PP)를 이용할 때 재료 내부에 발생될 손상 평가법을 고안하였다. PP 내부에 전도성을 부여하기 위해 탄소나노튜브(CNT)를 0.5 wt% 삽입하여 CNT/PP 복합재료를 제조하였다. 손상 평가를 하기 위해 시편 내부에 구리선을 삽입하여 가로와 세로, 대각선 구간을 설정하여 측정하였다. 시편의 모형은 $20^{\circ}$ 휘어진 시편을 사용하였다. 동적 압축 실험에 따른 전기저항 측정을 통해 구간별로 전기저항 변화도를 분석하였다. 동적 압축 실험에 따른 구간별 전기저항 변화도의 신호는 재료 내부에 전가된 응력을 나타내는 신호이다. 전기저항 측정 구간에서 전기저항 변화도가 높은 경우는 미세 손상이 발생되었음을 의미한다. 전기저항 측정법을 이용한 동적 압축 실험에 따른 예상 손상부위와 실제 파괴 실험을 통해 본 평가 방법을 이용하여 재료 내부 미세 손상을 예측할 수 있는 방법임을 확인하였다.

부직포를 삽입한 Graphite/Epoxy 복합재료의 충격 특성 (Impact Characteristics of Garphite/Epoxy Composite Materials with Non-wowen Tissue)

  • 정성균;서유원;이승환
    • 한국결정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25-130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부직포를 삽입한 Gr/Ep 복합재료의 충격 흡수 특성을 연구하였다. 계면(interface) 층에 유리 부직포 또는 탄소 부직포를 삽입하여 복합적층판을 제작하였다. 저속충격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충격에 의한 층간분리(delamination)를 C-Scan과 현미경을 사용하여 관찰하였다. 실험결과 계면에 부직포를 삽입함으로써 충격에 의한 층간분리 면적이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탄소섬유강화 복합재료의 피로강도에 미치는 모재의 영향 (Effect of matrix on fatigue strength of carbon fiber composite materials)

  • 유승원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13-121
    • /
    • 1992
  • In this study, the variation of fatigue strength in CF/PEEK and CF/EPOXY, the matrix and interfacial strength of which differ from each other, has been studied from the viewpoint of microfracture behavior.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According as the fatigue strength moves from the lower cycle range to the higher cycle range, that of CF/PEEK shows higher curve than that of CF/EPOXY does. In the early stage of fatigue life, the characteristic of fatigue crack in CF/PEEK is mainly the fracture of longitudinal fiber, while that in CF/EPOXY is the fracture of transverse fiber. The difference of fatigue strength in these materials can be explained by the fracture criteria of transverse fiber and longitudinal fiber.

  • PDF

메틸삼염화규소로부터 탄화규소 침착의 Pulse-CVI에 대한 수치모사 연구 (Studies on the Mathematical Modelling of the Pulse-CVI for the Infiltration of Siliconcarbide from Methyltrichlorosilane)

  • 김인구;김민기;정귀영
    • Composites Research
    • /
    • 제18권5호
    • /
    • pp.27-33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펄스-CVI (Chemical Vapor Infiltration)에 의해 탄화규소/탄소 복합재료를 제조하는 공정에 대한 수치모사가 행해졌다. 각 펄스가 가스 주입시간, 반응시간, 배출시간으로 구성될 때, 반응시간과 배출시간의 영향이 관찰되었다. 또한 반응가스 농도와 압력의 영향이 연구되었다. 탄소프리폼에의 탄화규소의 균일한 침착과 반응시간 단축을 위한 펄스-CVI공정의 이점이 확인되었다.

혼합모우드 층간분리하에 있는 탄소/에폭시 복합재료의 변형에너지 방출율 (Strain Energy Release Rate of Carbon/Epoxy Composite Material under Mixed Mode Delamination)

  • 염영진;유희
    • Composites Research
    • /
    • 제12권3호
    • /
    • pp.66-74
    • /
    • 1999
  • 탄소/에폭시 복합재료 적층판의 혼합 모드 층간분리 연구를 위하여 수정 혼합 모드 굽힘시험이 수행되었다. 하중레버의 하중 부가점 위치와 시편에 작용하는 굽힘 하중점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다양한 혼합 모드 비를 구할 수 있었다. 이론과 시험 및 유한요소 해석을 병행하여 변형에너지방출율을 구한 결과 이들은 잘 일치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시험 방법으로 정립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탄소-탄소 복합재료의 제조 과정 중 탄화과정의 수치 해석에 관한 연구 (NUMERICAL SIMULATION OF THE CARBONIZATION PROCESS IN THE MANUFACTURING OF CARBON-CARBON COMPOSITES)

  • Kim, Jungin;Khalid Lafdi;Lee, Woo-Il
    • 한국복합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복합재료학회 1999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19-222
    • /
    • 1999
  • A method for numerical simulation of the carbonization process in manufacturing of a carbon-carbon composite is developed. A general theory, which consists of analyses of heat and mass transfer together with stress and displacement predictions, is constructed. A homogeneous, single phase, isotropic material is selected and a computer program is developed for an arbitrary 2-dimensional geometry using FEM. Material properties are obtained through experiments and references, and are modeled effectively to serve the simulation purpose. The validity of the simulation is verified through several comparisons with experimental data, where close agreements are observed. Finally, examples of actual applications are considered to exhibit the capability and utilization of the code in process optimiz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