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탄소 라벨링

Search Result 4,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Factors Affecting Carbon-Labeling Brand Loyalty : Applying Value-Attitude-Behavior Model (탄소라벨링 브랜드 충성도를 결정하는 요인: 가치태도행동 모형의 적용)

  • Kim, Gwang-Suk;Park, Kyungwon;Park, Kiwan
    •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 /
    • v.13 no.3
    • /
    • pp.109-133
    • /
    • 2014
  • With a growing concern about climate change and green house gases mitigation, carbon labeling policy has been launched in several countries as an environmental policy which connects low carbon production to low carbon consumption. This research aims to propose a model that explains consumers' attitude and brand loyalty toward carbon labeling products. This model specifies the consumer's psychological processes by which consumer values, such as autonomy and environmental values, affect carbon labeling product and corporate images and finally form brand loyalty toward carbon labeling products. Panel data were collected in two separate surveys and analyzed using a structural equation techniqu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onsumers' autonomy value(AV) positively affects locus of control(LC) and corporate image(CI). Second, consumers' environmental value(EV) positively influences perceived consumer effectiveness(PCE), which in turn has a negative effect on perceived barriers(PB). Perceived barriers finally affect product image(PI) negatively. Third, both corporate image and product image have causal relationships with brand loyalty. Our results suggest that carbon labeling policy contributes not only to the reduction of greenhouse gases but also to the increase of consumers' attitude and brand loyalty toward carbon labeling products. This research also provides governments with directions for efficient environmental policy and firms with guidance on effective marketing strategies about carbon labeling.

  • PDF

A Comparative Study for Product Carbon Footprint of Detergent, Heat Insulating Material, Vacuum Cleaner (Korea, UK and Japan) (한국, 영국, 일본 제품 탄소발자국 기준에 따른 세제, 단열재, 진공청소기 산정 결과 비교 평가)

  • Ju, Hong-Shin;Yeon, Seong-Mo;Shin, Yoo-Jin;Kim, Burmshik;Lim, Noh-Hyun;Jeong, Heon-Chang;Hong, Eung-Pyo
    • Clean Technology
    • /
    • v.18 no.4
    • /
    • pp.440-445
    • /
    • 2012
  • 15 carbon footprint product (CFP) schemes, including Korea Carbon Footprint Label, UK Carbon Trust's Carbon Reduction Label and Japan CFP are implemented in the world. A CFP describes green house gases (GHGs) emissions emitted throughout product's life cycle and is intended to reduce GHGs emissions by labeling a CFP result on product. This study calculates Korea, UK and Japan CFP result of vacuum cleaner, detergent, packagin material in order to analyze the Korea, UK and Japan CFP standards. Our results demonstrat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n calculated results because of criteria, emission factors, etc. Therefore,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providing various CFP results and the international standard and guidelines for product category are needed.

Method of Introduce for International Standards for Water Footprint Calculations (물발자국의 국제표준화와 국내 도입 방안)

  • Park, Sung Je;Lee, Young Kune;Ryu, Si S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267-267
    • /
    • 2015
  • 가상수의 흐름을 보다 가시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대두된 개념이 물발자국(water footprint)이다. 이는 흔히 사용되고 있는 생태발자국(ecological footprint)이나 탄소발자국(carbon footprint)에 착안하여 도입된 개념으로 한 국가의 물발자국은 직 간접적으로 물건이나 재화를 생산하는데 국민이 소비하는 물의 총량으로 정의된다. 물발자국을 내적/외적으로 단순히 구분하여 산정하는 방식이 진화하여 1단위의 생산에서 유통 및 서비스까지 확대하여 그 전 과정을 모두 포함하는 물발자국 산정방식이 도입된 것은 최근의 일이다. 직접적인 물사용과 간접적인 물사용을 구분하여 물발자국을 산정하고, 그 위에 물의 성질에 따라 green water, blue water, 그리고 grey water로 각각 개념을 상세화하여 물발자국을 산정하는 방안이 도입되었다. 2009년 물발자국 산정의 표준화를 위한 스위스의 제안이 ISO에 제출되었고, 각 국가들에 의한 투표가 진행되어 2010년 물발자국 국제표준안이 채택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국제기구에 의한 일련의 국제표준화 작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2014년 ISO/TC 207 국제총회가 개최되어 환경경영시스템(SC1), 환경감사(SC2), 환경 라벨링(SC3), 환경성과평가(SC4), 전과정평가(SC5), 온실가스관리(SC7)의 6개 분과위원회(Sub-Committees)가 구성되어 세부논의가 진행되었으며, 이러한 과정을 분석함으로서 물발자국 국제표준(ISO 14046)과 향후 우리나라의 대응방안을 고찰하였다. 물발자국 국제표준(ISO 14046) 제정을 통해 물발자국의 필요성 및 중요성에 대한 국가 간 합의는 도출되었으나, 적용시기 및 세부적인 방법론 등에 대한 이견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ISO 14046의 실질적 적용에 필요한 세부사항과 관련된 기술보고서 작업초안(WD 14073)은 작업반(SC5/WG8)에서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물발자국 국제표준이 국가 간 무역장벽이나 특정국의 진입을 막는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는 점 등 실질적으로 국제표준의 도입에 따른 문제점 역시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국제표준의 도입 방안을 통하여 가상수무역의 국제적 선점효과를 기대함과 동시에 수자원의 유효한 활용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