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탄소성 이력 댐퍼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1초

탄소성 이력 댐퍼가 부착된 브레이스의 거동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the Behavior of Brace with Elasto-Plastic Hysteretic damper)

  • 오상훈;유홍식;문태섭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7권5호통권78호
    • /
    • pp.617-625
    • /
    • 2005
  • 지진등과 같은 횡력에 대해 저항하기 위해 자주 사용되는 브레이스는 좌굴하중 이후에는 좌굴에 의해 내력이 저하하는 등 안정된 이력특성을 발휘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브레이스의 좌굴을 방지하고 소성 변형 능력을 크게 하기 위하여 slit plate로 이루어진 damper를 부착한 브레이스의 형태를 제안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탄소성 이력댐퍼를 부착한 브레이스재의 이력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실험에서 얻어진 결과를 분석하고 그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사장교 케이블 진동감소용 납-전단 댐퍼의 설계 (Design of Lead-Shear Damper for Stay Cables)

  • 안상섭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5권1호
    • /
    • pp.31-36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지점근처에 납-전단 댐퍼(LSD)가 설치된 케이블의 동적 거동에 대해 다루었다. 이러한 동적 거동에 대한 파악은 케이블의 진동 감소 목적으로 댐퍼를 설계하는 경우 중요한 절차중 하나이다. 납-전단 댐퍼와 같은 이력형 댐퍼의 실제 이력곡선에 기초하여 본 연구에서는 납-전단 댐퍼의 이력곡선을 완전 탄소성으로 가정하였다. 납-전단 댐퍼의 역학적 모델은 등가 켈빈 모델을 사용하였으며 케이블의 새그 효과를 고려하였다. 납- 전단 댐퍼의 용량이라고 할 수 있는 항복력을 설계변수로 선택하고 케이블에 최적의 감쇠효과를 부여하는 동적학적 관계에 대해 연구하였다. 또한 댐퍼가 케이블에 설치되는 지점과 케이블의 장력에 대한 댐퍼의 감쇠효과에 대해서도 연구하였다. 매개변수 해석결과 케이블의 기하학적 형상 및 댐퍼의 설치조건에 따라 납-전단 댐퍼가 케이블에 부가하는 감쇠의 크기가 변함을 알 수 있었으며, 이때 최대의 감쇠성능을 발휘하는 최적 항복력이 존재하는 것을 알았다.

  • PDF

강재 슬릿댐퍼의 이력특성 (Hysteretic Behavior of Steel Slit Damper)

  • 최기선;손영선;조해진;유영찬;김긍환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9년도 춘계 학술대회 제21권1호
    • /
    • pp.65-66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제진시스템을 이용한 내진보강 핵심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변위 증폭형 제진시스템에 적용될 slit hole을 갖는 강재이력댐퍼를 대상으로 점증적 변위 제어를 통한 탄소성이력특성을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강재 슬릿댐퍼는 탄소성거동에 의해 안정적 이력특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탄소성 이력댐퍼를 구비한 접합부의 거동 (Structural Behavior of Beam-to-Column Connections with Elasto-Plastic Hysteretic Dampers)

  • 오상훈;유홍식;김영주
    • 한국지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진공학회 2005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552-559
    • /
    • 2005
  • The resistance of a structure against an earthquake is related to its ability to absorb the seismic input energy. The development of devices for dissipating the seismically induced energy on the structure is a subject that is receiving large attentionin the field of earthquake engineering. One example of these devices is the steel plate with slits. In this paper, a connection with a slit-type steel plate damper installed at each ends of wide-flange section beam, as an energy absorption element, was proposed. A series of experiment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ir behavior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 The main parameters were the aspect ratio of the struts in slit plates, thickness of the struts and height of the vertical plates. Test results indicated that most of the energy was absorbed by plastic deformation of slit plate dampers.

  • PDF

탄소성 이력댐퍼를 적용한 초고층 건축물의 변위제어 (Drift Control of the Structure Using Elasto-Plastic Hysteretic Dampers in High Rise Buildings)

  • 박지형;박태원;김욱종;이도범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07년도 정기 학술대회 논문집
    • /
    • pp.851-856
    • /
    • 2007
  • Recently, the matter controlling lateral drift is important in high rise buildings, In particular, seismic control dampers, such as mass damper and hysteretic damper, are emerging in the field of actively reducing drift. But. seismic control dampers have weak points with the lack of quantitative analysis and maintenance of the device. Accordingly, in this study we examine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 of Steel Elasto-Plastic Hysteretic Damper, which is needless of maintenance, and then consider the basic conditions in the design and construction of the optimal seismic control effect which uses this devic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