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탄소섬유 보강

검색결과 376건 처리시간 0.029초

탄소섬유시트로 보강된 콘크리트보의 경계면 부착-슬립모델 (Bond-Slip Model of Interface between CFRP Sheets and Concrete Beams Strengthened with CFRP)

  • 김성배;김장호;남진원;강석화;변근주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0권4호
    • /
    • pp.477-486
    • /
    • 2008
  • 탄소섬유시트 보강공법은 콘크리트구조물의 보강에 많이 사용되는 보강공법이다. 이러한 탄소섬유 보강공법에서는 콘크리트와 CFRP시트 사이의 경계면 거동이 전체 보강구조물의 거동을 지배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탄소섬유시트 보강공법을 적용한 콘크리트구조물의 경계면 거동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을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경계면 부착거동해석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새로운 bond-slip model을 제시하고, 경계면의 부착거동을 해석할 수 있는 해석 기법을 제안하였다. 새롭게 제시된 bond-slip model은 기존의 bilinear bond-slip model을 개선한 것으로서, 전단응력이 증가하는 구간을 2개의 직선구간으로 구성하고, 전단응력이 감소하는 구간을 지수함수로 구성한 것이다. 제안된 bond-slip model은 기존의 부착전단 실험 결과 및 경계면 거동 모델들과의 비교를 통하여 검증하였다.

사용하중을 받는 RC보의 탄소섬유 휨 보강에 관한 해석적 연구 (Analytical Study on the Flexural Strength of CFS Reinforced Concrete Beams under Service Loads)

  • 윤태호;강경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8호
    • /
    • pp.3745-3751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사용 중에 있는 철근콘크리트 보의 사용하중 단계에 따른 탄소섬유 보강 후의 휨보강 효과를 분석 고찰하였다. 사용하중을 받는 RC 보의 탄소섬유시트 보강에 따른 원부재와의 초기변형률 차이와 하중상태에 따른 잔류변형률의 영향을 고려하고, 보강 후 거동에 영향을 미치는 해석변수들에 대한 비선형 단면해석을 수행하여, 보강단계에 따른 보강보의 거동특성 및 보강효과에 대해 고찰하고, 기존 실무에서 보강설계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신영수-홍건호식과 비교 검토하였다. 보강 겁수, 인장철근비, 단면치수비를 변수로 한 변수 해석을 수행하여 보강단계에 따른 휨강도의 변화를 확인하고 보강 시기에 따른 휨강도를 계산하고 휨보강 효과를 분석하였다.

석유피치 재활용 탄소섬유를 혼입한 모르타르의 인장 특성 (Tensile Strength of Cement Mortar using Pitch-based Carbon Fiber Derived from Oil Residues)

  • 이인규;이준석;김진희;김융암;김우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6권6호
    • /
    • pp.20-28
    • /
    • 2017
  • 피치계 탄소섬유를 함유한 모르타르의 직접인장강도는 평균압축강도의 1/27~1/22에 해당하였다. 동일 양의 PAN계 탄소섬유를 함유한 모르타르의 직접인장강도가 1/15임에 비하여,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 때, 무보강 기준시편의 직접인장강도는 1/29 수준이었다. 피치계 탄소섬유를 함유한 모르타르의 휨인장강도는 평균압축강도에 비해, 약 1/12 수준으로 나타났고, PAN계 탄소섬유를 함유한 모르타르와 무보강 모르타르는 각각 1/10, 1/13.5의 수준으로 나타났다. 피치계 탄소섬유를 혼입한 모르타르의 인장성능은 무보강 모르타르와 PAN계 탄소섬유를 혼입한 모르타르의 중간 수준으로 나타났다.

흑연입자/탄소섬유 혼합 보강 전도성 고분자 복합재료의 전기적, 기계적 특성 연구 (Electrical and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Graphite particle/carbon fiber hybrid Conductive Polymer Composites)

  • 허성일;윤진철;오경석;한경섭
    • Composites Research
    • /
    • 제19권2호
    • /
    • pp.7-12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탄소섬유의 첨가가 흑연 보강 전도성 고분자 복합재료의 전기적, 기계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압축성형법을 이용하여 흑연입자/탄소섬유 혼합 보강 전도성 고분자 복합재료를 제조하였으며 흑연입자의 고비율 충진은 복합재료 내에서 입자 사이의 직접 접촉을 통해 높은 전기 전도도(>100S/cm)를 얻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다. 하지만 흑연입자의 비율이 높아짐에 따라 소재의 강도가 점차 떨어지게 되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해 탄소섬유를 첨가하여 그에 따른 소재의 전기적, 기계적 특성 변화를 연구하였다. 탄소섬유의 충진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소재의 굽힘 강도는 증가하였으나 탄소섬유의 클러스터 형성으로 인해 탄소섬유 사이에 비전도성 영역이 발생하여 복합재료의 전기 전도도는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탄소섬유의 충진 비율이 전체 시스템의 20wt.%인 경우에는 굽힘 강도는 12% 증가한 반면 전기 전도도가 27% 감소하였다.

재하상태에서 보강된 철근 콘크리트보의 보강 재료에 따른 구조적 거동 (Structural Behavior of Pre-loaded RC Beams Strengthened by SP, CFS, and CFL)

  • 정란;이영재;문희증;이경언;정상진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201-208
    • /
    • 1999
  •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은 과도한 하중과 유지관리의 소홀 등 여러 가지 이유로 보수${\cdot}$보강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대해 국내에서는 철근콘크리트구조체의 보강방법으로 강판, 탄소섬유쉬트, 탄소섬유판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보강재료의 성능에 대하여 신뢰할 만한 연구 결과가 아직까지 충분치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는 보강재의 종류, 균열폭, 하중의 재하상태를 변수로 보강된 철근콘크리트보의 거동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보수시험체의 경우 기준시험체와 내력과 연성은 비슷한 거동을 나타냈으나 파괴형상은 인장부위 콘크리트의 탈락과 지압파괴가 발생하였다. 보강시험체의 경우, 보강의 효과는 뚜렷이 나타났으나 보강재의 물성을 100% 발휘하지는 못하였다. 탄소섬유쉬트의 경우 접착제의 성능이 완벽하지 않아 최대 내격시의 변형률이 파단시의 변형률과 비교하여 66%정도로 나타났다. 또한 보강시의 균열폭과 하중의 유${\cdot}$무는 부재의 내력과 거동에 영향을 거의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탄소섬유쉬트와 콘크리트의 부착강도 실험연구 (Experimental Study on Bond Strength between Carbon Fiber Sheet and Concrete)

  • 유영찬;최기선;최근도;이한승;김긍환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168-174
    • /
    • 2001
  • 탄소섬유쉬트는 고강도, 경량 및 고 내구성 등의 우수한 재료적 성질을 가지고 있어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의 보수 .보강재료 장범위하게 사용되어져 왔다. 탄소섬유쉬트와 콘크리트 사이의 부착강도 즉, 부착거동은 탄소섬유쉬트에 의해 보수.보강되는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보강성능을 좌우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탄소섬유쉬트와 콘크리트의 접합면에서 발생되는 부착파괴의 메카니즘은 명확히 구명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양생온도, 콘크리트의 표면상태 및 함수율 등의 환경요소변화에 따른 탄소섬유쉬트와 콘크리트의 인발접착강도을 파악함으로써 환경요소의 영향을 평가하였으며 아울러, 탄소섬유쉬트와 콘크리트와의 부착성능을 결정하는 유효부착길이 및 평균부착응력도를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인발접착강도에 미치는 환경요소에서 양생온도가 가장 중요한 영향인자로 나타났으며, 인장전단부착 실험으로부터 얻어진 유효부착길이 및 평균부착응력도는 각각 15 cm 및 9.78~11.88kgf/$\textrm{cm}^2$ 내외라고 사료된다.

탄소섬유 메쉬를 사용한 철근콘크리트 보의 휨보강 (Flexural Strengthening of Reinforced Concrete Beams Using Carbon Fiber Mesh)

  • 서수연;윤현도;최창식;최기봉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9권2호
    • /
    • pp.181-190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탄소섬유메쉬(Carbon Fiber Mesh, CFM)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보의 휨보강 효과를 연구하며 CFM의 정착과 겹침이음방법에 따른 영향을 연구하고자 한다. 휨이 지배적인 5개의 철근 콘크리트 실험체를 제작하고 CFM으로 보강한 후 단순지지형태로 가력을 하여 그 보강효과를 규명하고자 한다. 보의 전체 길이는 2400mm이며 깊이와 폭이 모두 300mm로서 휨이 지배될 수 있도록 실험체를 계획하였다. 실험으로부터, 균열이 시작되는 단계에서 CFM의 보강효과는 미약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균열발생 이후에는 보의 휨강성확보의 측면에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강된 실험체와 보강되지 않은 실험체의 비교를 통하여 CFM보강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균열발생시와 항복시에 대하여 보강효과를 반영하여 예측한 계산값과 실험결과가 좋은 일치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PET 섬유의 보강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Reinforcement Effects of PET Sheet)

  • 하상수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1권5호
    • /
    • pp.163-169
    • /
    • 2017
  • 비닐용기 등에 주로 사용되는 PET 섬유는 강도는 아주 작은 반면, 변형성능에는 아주 우수하기 때문에 지진 발생시 구조물의 대변형에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는 보강재료로 사용가능하며, 일본에서는 이미 PET 섬유를 이용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섬유의 횡구속 효과를 파악하고, PET 섬유의 보강효과와 기존에 사용해왔던 탄소섬유시트 및 유리섬유시트의 보강효과를 비교함으로써 PET 섬유의 현장적용성 여부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무근 콘크리트 공시체에 탄소섬유시트와 유리섬유시트 및 PET 섬유 등으로 구분하고 각각에 대해 콘크리트 강도와 보강겹수를 달리하여 실험체 별로 각각 2개씩 동일하게 제작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탄소섬유시트 및 유리섬유시트로 보강된 실험체는 기존연구결과들과 마찬가지로 시트가 파단된 후 급격한 내력저하로 최종파괴 되었다. 그러나 PET로 보강한 실험체들은 PET 섬유가 파단되지 않고 최대 강도 이후 급격한 내력저하 없이 서서히 감소되면서 최종파괴 되었다. 또한, 탄소섬유시트 및 유리섬유시트로 보강한 실험체에 비해 강도증진 효과는 크지 않았으나, 연성측면에서는 매우 우수하게 나타나 향후 보강재료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섬유보강플라스틱(FRP) 스트립으로 보강한 철골보의 휨거동에 관한 실험적연구 (Experimental Study of Flexural Behavior of Steel Beam Strengthened with the Fiber Reinforced Polymer Plastic(FRP) Strips)

  • 최성모;박재우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6권2호
    • /
    • pp.69-79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 섬유보강플라스틱(FRP)로 보강된 철골보의 정적 휨하중상태에서 휨거동에 관한 실험결과를 제시하였다. 아라미드섬유 스트립과 탄소섬유 스트립으로 보강된 4개의 실험체를 제작하였으며, 1개의 기준실험체를 제작하였다. 이중 두 실험체는 부분보강방식으로 보강되었다. H빔은 두 종류의 파괴모드를 가지고 있는데, (1) 부분보강 실험체에서는 FRP 스트립이 탈락(debonding)되는 파괴모드를 보이고 있으며, 전면보강 실험체에서는 FRP 스트립이 파단(rupture)되는 거동을 보이고 있다. 실험결과 16%의 휨내력 상승효과를 관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