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탄소섬유판

검색결과 177건 처리시간 0.028초

PEMFC용 탄성 탄소 복합재료 분리판의 기계적 강도 및 전기전도도에 미치는 탄소섬유 필라멘트와 흑연 섬유의 영향 (Effect of Carbon Fiber Filament and Graphite Fiber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and Electrical Conductivity of Elastic Carbon Composite Bipolar Plate for PEMFC)

  • 이재영;이우금;임형렬;정규범;이홍기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25권2호
    • /
    • pp.131-138
    • /
    • 2014
  • Highly conductive bipolar plate for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PEMFC) was prepared using phenol novolac-type epoxy/graphite powder (GP)/carbon fiber filament (CFF) composite, and a rubber-modified epoxy resin was introduced in order to give elasticity to the bipolar plate graphite fiber (GF) was incorporated in order to improve electrical conductivity. To find out the cure condition of the mixture of novolac-type and rubber-modified epoxies,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was carried out and their data were introduced to Kissinger equation. And tensile and flexural tests were carried out using universal testing machine (UTM) and the surface morphology of the fractured specimen and the interfacial bonding between epoxy matrix and CFF or GF were observed by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강연선 또는 CFRP를 이용한 RC보의 외부 프리스트레싱 보강공법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the Strengthening Method of RC Beam Applied External Prestressing Using Strand or CFRP)

  • 심낙훈;박영석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8권3호
    • /
    • pp.207-215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손상된 기존 철근콘크리트 보에 대한 보강공법 중의 하나인 외부 프리스트레싱 보강공법과 긴장재로 사용되는 강연선 또는 CFRP(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판을 적용하여 그 보강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구조실험을 수행하였다. 구조실험 결과를 분석하여, 본 연구에서 사용한 재료의 경우에 어느 정도의 강성증가 효과와 연성증진 효과를 발휘하는가를 파악하였다. 그 결과, 강연선과 CFRP로 보강한 각각의 경우에 무보강 시험체를 기준으로 57%와 75%의 강도증진 효과를 나타내었다.

초소형나사의 CFRP 적층판 적용에 따른 체결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Fastened Properties by Applied to CFRP Laminates of Subminiature Screw)

  • 최병희;김호중;김지훈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8권11호
    • /
    • pp.1239-1243
    • /
    • 2014
  • 탄소섬유 강화플라스틱은 비강도, 비강성이 크고, 높은 감쇠 특성과 중량감소 측면에서 우수한 특성을 나타낸다. 그러나 탄소섬유 강화플라스틱은 재료의 적층각 또는 적층 순서에 따라 기계적 특성 차이가 크다. 또한 인장과 굽힘과 같은 하중을 받을 때 금속과 달리 파괴 예측이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실생활에 밀접한 휴대용 스마트기기에 CFRP 적용을 위한 외부 충격에 정형화, 최적화 설계방식을 제시하고자 한다. CFRP 를 적층각도별 기계적 특성을 얻고자 인장실험을 하였고, 각 적층각도별 체결 특성을 얻고자 판에 탭 가공 후 토크 측정기를 이용하여 풀림 토크와 체결토크를 측정하였다. 위 두 실험에 비교 분석하여 최적의 조건을 찾고자 한다. 인장실험에서 적층각이 Woven 시편에서 강도와 강성 값이 가장 우수하였다. 또한 복합재료에서는 기지와 적층배열 때문에 풀림방지 코팅나사의 효과를 보기 힘들다. [$0_8/+45_2/-45_2/90_8$]s 에서 체결력이 가장 우수했으나, 인장응력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핸드폰에 적용을 위해 인장 특성과 체결력을 모두 충족하는 최적의 시편은 Woven 이다.

다양한 형상을 갖는 복합재료 판의 자유진동에 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Free Vibration of Composite Plates with Various Shapes)

  • 이영신;최명환
    • Composites Research
    • /
    • 제12권1호
    • /
    • pp.47-58
    • /
    • 1999
  • 다양한 형상 및 경계조건을 갖는 적층 복합재료 및 혼합적층 복합재료 판의 자유진동해석을 위한 실험적 연구결과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판의 재료는 탄소섬유강화(CFRP), 유리섬유강화(GFRP) 복합재료, 알루미늄-GFRP, CFRP-GFRP 혼합적층 복합재료이다. 충격해머와 가속도계를 이용한 충격가진법을 통하여 판의 고유진동수 및 노달패턴을 얻었고, 결과는 무차원화된 진동수매개변수로 제시하였다. 복합재료의 물성, 적층강도, 판의 기하학적 형상과 경계조건 등이 복합재료 판의 진동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실험결과의 비교/검증을 위하여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였고, 서로 잘 일치함을 보였다.

  • PDF

양성자 교환막 연료전지용 탄소 복합재료 분리판 개발 (Development of Carbon Composite Bipolar Plates for PEMFC)

  • 임준우
    • Composites Research
    • /
    • 제32권5호
    • /
    • pp.222-228
    • /
    • 2019
  • 양성자 교환막 연료전지 (PEMFC) 시스템은 환경 친화적인 전력 공급원으로 많은 잠재적 용도를 가지고 있다. 탄소섬유 복합재료 분리판은 산성환경에서 내부식성이 우수하며 높은 비강도와 비강성을 갖지만, 상대적으로 낮은 전기전도도로 인하여 PEMFC의 효율을 떨어뜨린다. 본 연구에서는 분리판의 전기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전기 전도성 입자(흑연 분말과 카본 블랙)를 탄소-에폭시 복합재료 프리프레그에 도포하였다. 전기 저항과 기계적 특성을 기존의 시험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개발된 탄소 복합재료 분리판의 단위 셀 성능평가를 실시하여 기존의 분리판과 비교하였다.

횡방향 판재에 의한 횡구속 효과 및 철근콘크리트 기둥에서 고강도 철근의 사용성 검토 (Confinement Effect by Plate Type Lateral Reinforcement and Investigation of the Possibility for Use of High Strength Steel Bars in Reinforced Concrete Columns)

  • 조영재;김진근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4권6호
    • /
    • pp.643-650
    • /
    • 2012
  • 콘크리트구조설계기준에서는 철근콘크리트 기둥에서 주철근의 설계기준항복강도를 550 MPa 이하로 규정하고 있다. 이는 철근콘크리트 기둥에 주철근으로 고강도 철근(high-strength concrete)을 사용할 때 콘크리트가 압축강도에 도달하여도 주철근이 항복변형률에 도달하지 않아 고강도 철근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없기 때문이다. 철근의 설계기준항복강도 제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횡구속력(confinement effect)을 가해주는 방법과 콘크리트의 파괴변형률(peak strain)을 증진시켜주는 방법이 있다. 횡구속을 효과적으로 가하는 방법으로서 원형 단면의 철근보다는 판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연구에서는 가공이 용이한 판재로서 탄소섬유판을 철근콘크리트 기둥에서 횡구속효과를 위한 구조재료로 사용하였을 경우 보강되지 않은 경우보다 증진된 압축강도 및 축압축 파괴변형률을 보였으며, 콘크리트 단면 형상이 원형에 가까울수록, 횡구속 형태가 원형에 가까울수록 횡구속 효과는 더욱 커졌다. 최종적으로 실험 결과를 토대로 철근콘크리트 기둥에서 탄소섬유판에 의한 횡구속 효과와 함께 고강도 철근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성형 압력에 따른 T800 탄소섬유/에폭시 복합재료의 평면 내.외 물성 변화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variation of in-plane and out-of-plane properties of T800 carbon/epoxy composites according to the forming pressure)

  • 박명길;조성겸;장승환
    • Composites Research
    • /
    • 제23권6호
    • /
    • pp.61-66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필라멘트 와인딩 시 장력에 의해 압밀을 유발하는 압력을 선행연구자들의 연구를 참조하여 결정한 후 T800 탄소섬유/에폭시 복합재료의 기본적인 물성과 성형압력 변화에 따른 면 내 외의 물성 변화를 측정하였다. 실험 시편은 오토클레이브 진공백 성형을 통해 압력(절대압력 0.1MPa, 0.3MPa, 0.7MPa)을 조절하여 제조되었다. 모든 시편은 적층판 형태로 정화된 후 워터젯을 이용하여 시편 모양으로 절단되었으며, 층간 전단시편의 V-노치는 밀링가공을 통하여 제작되었다. 평면 내 물성을 위해 다양한 인장실험이 실시되었으며, 평면 외 물성을 측정하기 위해 층간 전단 실험이 수행되었다 성형압력과 물성 변화를 관련시키기 위해 시편의 섬유 부피분율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측정된 물성은 동일한 탄소섬유 (T800 탄소섬유)를 사용하여 필라멘트 와인딩 공정으로 제작되는 차량용 Type III 수소저장용기의 설계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탄소섬유 복합재료의 AE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E Characteristics of the Carbon Fiber Composite Material)

  • 옹장우;이영신;심봉식;지용관;주영상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3권1호
    • /
    • pp.105-114
    • /
    • 1989
  • 본 연구에서는 카본/에폭시 프리프렉으로부터 제작된 적층판을 사용하여 인장시험시 발생하는 AE특성과 파괴거동을 비교 검토하고 이들을 통하여 탄소섬유 복합재료의 파손특성과 AE법의 유용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강도를 고려한 섬유-금속 적층 복합재료의 최적설계 (Stacking Sequence Design of Fiber-Metal Laminate Composites for Maximum Strength)

  • 남현욱;박지훈;황운봉;김광수;한경섭
    • Composites Research
    • /
    • 제12권4호
    • /
    • pp.42-54
    • /
    • 1999
  • 섬유-금속 적층 복합재료(FMLC)는 섬유와 금속 박판으로 구성된 새로운 형태의 구조재로 가볍고 우수한 피로 특성을 가지며 금속과 같이 가소성과 충격저항성이 우수하고, 가공성이 뛰어나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하중 조건하에 있는 섬유-금속 적층 복합재료를 유전자 알고리듬을 이용하여 최적 설계하였다. 전단변형이론에 근거한 유한요소법을 사용하여 적층판을 해석하였으며, 설계변수로 금속판의 강도와 섬유 층의 수에 따른 적층각도를 두었다. 섬유층과 금속판의 적합도 함수로는 각각 Tasi-Hill failure criterion과 Miser yield criterion을 사용하였다. 유전자 알고리듬의 연산자로는 토너먼트 선택과 균일 교배를 사용하였다. 효율적인 진화를 위해 엘리티스트 모델을 사용하며, 높은 정확도를 가진 해를 얻기 위해 크리프 무작위 탐색(creeping random search) 방법을 통해 더 우수한 자손을 얻었다. 여러 가지 하중 조건에 대하여 최적설계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파괴 지수 측면에서 탄소섬유강화복합재료(CFRP)와 비교하였다. 해석 결과 섬유-금속 적층 복합재료는 탄소섬유강화복합재료에 비하여 집중하중이나 분포하중 형태에 대하여 우수한 특성을 보였으며, 파괴 지수의 편차가 적어 예기치 않은 하중에 잘 견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전개형 복합재료 반사판 안테나의 동특성 분석 및 시험 (Analysis and Experiment on Dynamic Characteristics for Deployable Composite Reflector Antenna)

  • 채승호;노진호;이수용;정화영;이재은;박성우
    •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94-101
    • /
    • 2019
  • 복합재료 반사판 안테나의 전개 특성을 해석 모델을 통하여 살펴보고 실험을 통하여 검증하고자 한다. 두 개의 회전 자유도를 가지며 스프링의 탄성 에너지에 의해 작동되는, 전개 메커니즘을 기반으로 반사판 안테나의 동역학적 해석 모델을 수립하였다. 유연 다물체 동역학 해석 프로그램인 ADAMS를 이용하여 패널의 전개 속도, 구조 변형 그리고 충격력을 분석하였다. 중력보상 장치를 이용하여 탄소섬유 강화 플라스틱(CFRP)으로 제작된 안테나 패널의 전개거동 특성을 실험적으로 검증/분석하였다. 안테나 패널이 전개되는 동안 발생하는 충격 응답 및 진동 문제를 확인하고, 댐퍼를 이용하여 안정적으로 전개가 됨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