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탁수

Search Result 266, Processing Time 0.03 seconds

Effect of Turbid Water on the Phytoplankton Community in Imha Reservoir (탁수가 임하호 식물플랑크톤에 미치는 영향)

  • Park, Jung-Won;Yu, Sam-Hwan;Kim, Soon-Young;Lee, Jong-Eun;Seo, Eul-Won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18 no.12
    • /
    • pp.1671-1678
    • /
    • 2008
  •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the turbid water on the phytoplankton community in the 4 sites of Imha reservoir. The turbidity of water was proportional to the concentrations of $SiO_2$-Si. Therefore, as the turbidity of water grow, the concentration of $SiO_2$-Si increased. And the both the turbidity of water and the concentrations of $SiO_2$-Si were increased as the water run deep. The concentration of chlorophyll-a decreased as the depth of water increased. Seventy phytoplankton taxa were identified and the most abundant group was Chlorophyceae consisting of 32 taxa (46%), and Cyanophyceae and Bacillariophyceae consisted of 12 taxa (17%). And Euglenophyceae, Synulophyceae, Cryptophyceae and Dinophyceae consisted of 6 taxa (9%), 4 taxa (6%), 3 taxa (4%) and 1 taxon (1%), respectively in Imha reservoir. The concentrations of phytoplankton were increased according to the turbidity of water because of the high amount of organic nutrition which is presented with turbid water. And especially, the concentrations of nitrogen increased easily because of the weak binding to the soil particle. In conclusion, total nitrogen and $SiO_2$-Si flowed into the Imha reservoir with soil particle, and these inorganic nutritions affect the growth of algae.

Ecological Effects of Kumgang fat minnow(Rhynchocypris kumgangensis) on Turbid Water (탁수에 의한 금강모치(Kumgang fat minnow; Rhynchocypris kumgangensis) 개체군의 생태적 영향)

  • Lee, Jae-Yong;Choi, Jae-Seok;Kim, Jai-Ku;Jang, Young-Su;Lee, Kwang-Yeol;Kim, Bom-Chul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2 no.2
    • /
    • pp.184-191
    • /
    • 2008
  •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urbid water on fish population, the length-weight relationship and its condition factor were applied to Kumgang fat minnow Rhynchocypris kumgangensis collected in turbid (the Daegi and the Jaun streams) and non-turbid stream (the Bongsan and the Gyebang streams) for a year from 2004 to 2005. The mean length of minnow between turbid water and non-turbid water stream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South River system, the regression coefficients (b) based on length-weight relationship were 3.21 in the non-turbid Bongsan stream and 3.07 in the turbid Daegi stream, respectively. On contrary, the regression slope in the turbid stream was a little higher than that of the non-turbid stream located in the Bukhan River system. The values were 3.20 in the Gyebang-stream and 3.23 in the Jaun stream, respectively. Our result suggested that chronic turbid water effect on the level of fish population has a little or no effect.

Analysis of occurrence of red water or turbid water in real water distribution system (실제 상수관망의 적수/탁수발생 위험인자 도출 및 위험관 분석)

  • Han, Jin Woo;Kim, Hyeong Gi;Kwon, Hyuk 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91-391
    • /
    • 2022
  • 상수도관은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노후화가 진행되고 탁수 및 적수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이 높아진다. 현재 우리나라는 전체 상수도관 중 경과년수를 초과한 노후 상수도관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개선이 시급한 실정이다. 하지만 전체 상수도관을 교체하는 것은 막대한 예산이 필요하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어려운 문제이므로 상수도관의 적수 및 탁수 위험도 분석을 통하여 상수도관의 교체 또는 개량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개선사업을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적수 및 탁수발생을 일으키는 인자들을 도출하였다. 먼저, 박리위험도와 퇴적위험도로 분류하여 적수와 탁수의 발생 위험도를 분석하였다. 퇴적위험도의 인자에는 평균유속지수, 정체지수, 관경지수, 경과년지수, 그리고 관길이지수를 적용하였고 박리위험도의 인자에는 유속차이지수, 유향변화지수, 영향범위지수, 관길이지수, 그리고 수충격지수를 적용하여 위험도분석을 수행하였다. 적용 지역은 인구 85만명의 중도시이며 4개동에 걸쳐서 위험도분석을 진행하였고 퇴적위험도가 높은 관과 박리위험도가 높은 관을 선정할 수 있었다. 또한 결과분석을 통해 박리위험도와 퇴적위험도 모두 높은 관을 선정할 수 있었다. 박리위험도와 퇴적위험도의 인자들 중에서 유속 관련지수의 경우 박리위험도에서는 유속이 빠를수록 위험도가 높고 퇴적위험도에서는 느릴수록 위험도가 높기 때문에 박리와 퇴적위험도가 모두 높다는 것은 수질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이 매우 높은 관으로 판단할 수 있다. 같은 지역(동)에서 박리위험도와 퇴적위험도를 분석한 결과, 최근 개발된 경관년수가 오래되지 않은 지역의 경우는 박리위험도와 퇴적위험도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가 3배 정도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경과년수가 오래된 지역의 경우는 박리위험도의 경우, 가장 높은 관의 박리위험도가 가장 낮은 위험도와 7배 이상이 차이가 났고 퇴적위험도의 경우 약 10배 이상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과년수에 의한 차이뿐만 아니라 인구감소나 인구고령화로 인해 낮 시간 수도사용량이 매주 적어서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본 연구결과를 적용하여 상수도의 적수 및 탁수 발생 위험도가 높은 관로를 선정하고 이에 대한 집중적인 관리감독을 진행한다면 상수도 수질문제로 인한 민원을 대폭 줄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Effect of Interillage and Muddying by Free-Ranging Ducks on pH and Dissolved Oxygen of Stagnant Water, and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in Paddy field Soil (논 방사오리에 의한 중경탁수가 관개수의 pH, 용존산소농도 및 토양 이화학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

  • 고병대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48 no.3
    • /
    • pp.262-266
    • /
    • 2003
  •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intertillage and muddying by free-ranging ducks (Chinese native ducks) and pH, dissolved oxygen of irrigation water,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il. Two paddy fields comprised of the muddying (muddy water without physical stimulation to a rice plant by the ducks) and the control plots (no ducks) were used for this study. As a muddying plot, 50 hills were randomly selected and each hill was fenced with a wire net in order to prevent from stimulating physically by the ducks. The variation in irrigation pH was smaller in the muddying plot than the control plot, and the pH was around 7.4. Dissolved oxygen was significantly higher (P<0.01) in the muddying plot than the control plot during the first half period after the ducks were introduced. Then it decreased rapidly as the rice plants grew in all plots. The contents of the suspended soil and turbidity in irrigation water were not changed over the free-ranging period, but $\textrm{NH}_3\textrm{-N}$ and $\textrm{P}_2\textrm{O}_5$ were decreased by intertillage and muddying by the duck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both the soil physics and chemistry between the muddying plot and the control plot during and after finishing of the free-ranging perio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ntertillage and muddying by the ducks resulted in a small variation in stagnant water pH, and reduced the dissolved oxygen and $\textrm{P}_2\textrm{O}_5$, although the physiochemical properties of soil were not changed.

Characteristics of turbid water on watershed in rainy season (하천유역의 강우기 탁수발생 특성)

  • Lee, Yo-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944-1947
    • /
    • 2008
  • 강우기에 하천 유역에서의 탁수 발생은 대상 지역의 토양, 토지 이용형태와 식생 분포, 강우의 강도, 토지의 경사 등에 따라 큰 영향을 받게 된다. 본 연구에는 토지의 이용형태에 따른 강우 시 탁수 발생량을 평가하고자 용담댐 유역의 탁수 발생특성 조사를 실시하였다. 2005년의 조사지점은 유역면적이 가장 작은 주자천 유역과 구량천, 금강본류를 대상으로 하였다. 구량천과 금강본류는 용담댐 유역을 구성하는 가장 큰 두 소유역이며 다를 지역에 비해 오염원이 많아 용담댐수질에 많은 영향을 주는 하천이다. 현장조사는 6월 27일부터 7월 3일 까지 실시하였다. 2007년 조사 대상 지역은 주자천 유역의 주천교 지점과 금강본류 유역의 월곡교 지점을 선정하였다. 현장조사는 6월21${\sim}$22일, 9월14${\sim}$15일 2회에 걸쳐 실시하였으며 시간별 현장 탁도 측정 및 시료 채취를 통한 분석을 병행하였다. 2005년에 실시한 조사결과 오염원이 많고 유역이 넓은 천천은 7월 1일에 유입량이 최대로 348.16CMS였으며, 그날 탁도는 오후 2시 10분조사시에 최대 2060NTU를 나타냈다. 구량천은 같은날 조사를 실시하여 유량은 최대 200.33CMS였고, 최대 탁도는 763NTU를 나타냈다. 반면 주자천에서는 최대 탁도가 98.4NTU를 나타내 가장 탁도가 높은 금강본류와는 약 13배의 차이를 나타냈다. 2007년 1차 조사는 6월 21${\sim}$22일에 걸쳐 이루어 졌다. 주천교 지점은 시간최대 강우 17mm가 발생한 시점에 최대 92NTU의 탁도를 나타내었고 그 이후 감소하여 20NTU이하의 탁도를 유지하였다. 반면, 월곡교 지점은 시간최대 23mm의 강우가 발생하였고, 최대 탁도는 3,610NTU에 도달하였으며 1,000NTU이상의 고탁도가 6시간 이상 유지된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미개발지역인 주천교 지점의 경우 강우에 의한 탁수 발생이 상대적으로 적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월곡교 지점과 같이 개발로 인해 노출된 토양의 경우 강우에 의해 쉽게 침식이 일어나 고탁도의 탁수를 발생시킴을 보여준다. 그러나 주천교지점에서 2005년에 조사한 자료와 비교해 보면 2007년이 적은 강우임에도 불구하고 탁도는 높게 나타난 결과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는 토지이용의 고도화에 따른 영향으로 판단되었다. 연구 결과 유역내에서 탁수 발생은 같은 강도의 강우에 있어서 큰 차이를 보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강우기에 저수지에서의 탁수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상류 유역의 탁수 발생원 관리가 중요함을 보여주고 있으며, 토지 이용 형태에 따른 토양 침식 방지 대책이 강우기의 댐 내 탁도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중요한 방안으로 판단된다.

  • PDF

Effect of Turbid Water on Fishes in the Streams of Imha Reservoir (임하호 유입지천에 서식하는 어류에 미치는 탁수의 영향)

  • Yu, Sam-Hwan;Kim, Jeong-Sook;Shin, Myung-Ja;Lee, Jong-Eun;Seo, Eul-Won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19 no.10
    • /
    • pp.1410-1416
    • /
    • 2009
  • The present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turbid water on fishes in streams which branch into a turbid water area (Yeongyang-gun) and a non-turbid water area (Cheongsong-gun), and finally flow into the Imha reservoir. In a comparison of water quality, the chemical status of the water showed higher pH, DO and SS in the turbid water area than in the non-turbid water area. Also, high density of clay minerals such as vermiculite (V) and illite (I), which is from clay mineral leakage during rainfall, was detected in turbid water, resulting in an increase of turbidity. Fishes inhabiting the turbid water showed irregular spaces in gill lamella, cell separation, edema, and clubbing in epithelial tissues. Also, the gill surface showed roughness and plenty of muddy debris substances inside the gills. The Bowman's space was expanded because of contraction of the glomerulus in the Bowman's space of the kidney tissues. Antioxidant enzymes such as SOD, CAT, GPX, and GST showed higher activities in the specific tissues, muscles and kidney, of fishes living in turbid water than in the non-turbid area. We suggested that; first, the antioxidant activities were increased due to removal of harmful radicals generated in fish bodies in the turbid water area, second, long-time exposure of these histological changes in the tissues might have induced secondary lesion accompanying the inaccurate physiological constancy of fishes.

A Study on Numerical Analysis of Selective Withdrawal from Reservoir (저수지 선택취수에 관한 수치해석 연구)

  • Kim, Young-Do;Kim, Tae-Won;Yi, Yong-Kon;Kim, Woo-G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302-1306
    • /
    • 2007
  • 여름철의 강우시 저수지에 주로 유입되는 고탁수층은 저수지내의 수체에 대하여 밀도차와 유속차를 가지며, 난류혼합을 일으키면서 주변수를 유입하며 하류방향으로 이송 확산되어 간다. 임하댐과 같은 대형 저수지는 수심이 30 m가 넘는 관계로 여름철에 2개의 수온약층이 존재한다. 따라서 댐체에 도달한 고탁수층은 저수지내의 밀도성층으로 인하여 주로 중층에 분포하게 되며, 가을철에 발생하는 수평확산과 전도현상으로 인해 저수지 전역에 분포하게 되어 탁질입자의 분포에 따라 탁수현상의 장기화를 유발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탁수문제의 저수지내 대책으로는 홍수기에 고탁수층을 우선적으로 취수하는 방법이 있다. 고탁수층은 이와같이 수온약층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취수탑 주변의 선택취수 결과에 영향을 받는다. 형성된 탁수층을 효율적으로 선택배제하기 위해서는 취수시설에 접근하는 성층흐름을 정확하게 이해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3차원 CFD를 사용하여 밀도성층에 따른 취수탑 주변의 접근흐름을 수치해석하여 방류수심, 방류유속 및 밀도성층구조의 선택배제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였다. 임하댐 취수설비에 적용한 결과에 의하면 상층, 중층, 하층에서 취수탑 문비를 개도하였을 경우, 취수탑 주변에서만 유속이 증가하였을 뿐 저수지 내에서는 유속이 크게 증가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문비 개도구간의 변화에 따라 수심별 유속분포는 크게 변화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문비를 조절하는 것은 저수지 전체의 유동을 깨뜨리지 않으면서 취수탑 인근에서 선택취수가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정밀한 현장조사를 수행하여 저수지와 방류수의 탁도변화를 모니터링하였으며, 취수탑 개구부 주변의 연직 유속분포를 측정하였다. 3차원 수치모의 결과와 현장에서 관측한 유속장을 비교함으로써 본 연구에서 제시한 실제 탁수배제능력을 검증하였다.를 구축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로와 접하는 건물의 경우 모서리부 광고 효과가 지배적이며 대부분 곡선돌출형이 사용되고 있었다. 그러므로 모서리 저층부를 필로티로 계획하여 보행흐름을 원활하게 하고 대신 입면을 투명하게 하여 간접광고(내부전시) 효과를 유도하는 것이 좋다. 특히 원형모서리는 건물 특화 성격이 강하므로 불가피할 경우 소형 액센트 광고 위치를 미리 벽면으로 할애하는 것이 경관 및 입면계획에 유리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불확실도 해석모형 등의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여 제시하였다. 모든 입출력자료는 프로젝트 단위별로 운영되어 data의 관리가 손쉽도록 하였으며 결과를 DB에 저장하여 다른 모형에서도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HyGIS-HMS 및 HyGIS-RAS 모형에서 강우-유출-하도 수리해석-범람해석 등이 일괄되게 하나의 시스템 내에서 구현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HyGIS와 통합된 수리, 수문모형은 국내 하천 및 유역에 적합한 시스템으로서 향후 HydroInformatics 구현을 염두에 둔 특화된 국내 수자원 분야 소프트웨어의 개발에 기본 토대를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았다. 또한 저자들의 임상병리학적 연구결과가 다른 문헌에서 보고된 소아 신증후군의 연구결과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자극에 차이가 있지 않나 추측되며 이에 관한 추후 연구가 요망된다. 총대장통과시간의 단축은 결장 분절 모두에서 줄어들어 나타났으나 좌측결장 통과시간의 감소 및 이로 인한 이 부위의 통과시간 비율의 저하가 가장 주요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차가운 생수 섭취가 주로 결장 근위부를 자극하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 아닌가 해석된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생다시마를 주원료로 개발된 생다시마차와 생다시마 음료가 만성 기능성 변비 증세를 개선하는 효능이 잠재적으로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생약제재의 변비약 수준으로

  • PDF

Effect of turbidity current on organic carbon cycle in Daecheong reservoir (탁수가 대청호 유기탄소 순환에 미치는 영향)

  • Dong Min Kim;Se Woong Ch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148-148
    • /
    • 2023
  • 산업 고도화로 인하여 복잡하고 다양한 유기물의 사용량이 증가하였으며, 공공수역 내 새로운 오염물질이 유입됨에 따라 생화학적 산소요구량(BOD) 중심의 수질평가에 한계를 나타내었다. 이후 난분해성 물질을 고려한 유기물관리 정책과 총량관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국내 하천과 호소에서는 총 유기탄소(TOC)를 유기물 관리지표로 설정하였다. 그러나 부영양 하천과 호소에서 TOC는 외부 부하뿐만아니라 식물플랑크톤의 과잉성장에 의해 증가할 수 있는 항목이므로 TOC 관리정책 추진을 위해서는 유기물의 기원에 대한 파악이 필요하다. 한편, 우리나라와 같이 몬순 기후대에 속한 댐 저수지의 경우 강우시 유입하는 탁수에 의해 다량의 유기물과 인이 유입되기도 하지만 식물플랑크톤의 제한요인 중 광량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식물플랑크톤의 광합성은 수체 내 유기탄소 내부생성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나 점 단위의 실험적 방법을 활용한 유기탄소 순환 해석은 저수지의 시·공간적인 변동성을 고려하기에 한계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금강 수계 최대 상수원인 대청호를 대상으로 3차원 수리-수질 모델을 적용하여 유기탄소 성분 별 유입과 유출, 내부생성 및 소멸량을 평가하고 탁수가 저수지에서의 유기탄소 순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유기탄소 물질수지 해석을 위해 AEM3D 모델을 사용하였으며 2018년을 대상으로 입력자료를 구축한 후 보정 및 검정을 수행하였다. 모델은 유기탄소를 입자성, 용존성, 그리고 난분해성과 생분해성으로 구분하여 모의하며 유기물질 성상별 실험결과를 이용하여 입력자료를 구축하였으며 유기탄소순환 해석을 위해 4가지의 탄소성분과 조류 세포 내 탄소의 질량 변화율을 계산하였다. 이를 위해 외부 유입·유출부하율, 수체 내 생성(일차생산, 재부상, 퇴적물과 수체 간 확산) 및 소멸률(POC 및 조류 침강, DOC 무기화, 탈질)을 고려하였으며 탁수의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탁수 포함여부 시나리오를 구성하고 유기탄소 생성 및 소멸기작별 변동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모델은 2018년의 물수지를 적절히 재현하였으며 저수지의 수온 및 탁도 성층구조를 잘 재현해내면서 전반적인 수질을 적절하게 모의하였다. 탁수를 고려하였을 시 연간 TOC 부하량 중 내부기원 부하량은 56% 수준이였으나 탁수를 배제한 경우 내부기원 부하량은 82%로 나타났다. 특히, 연평균 Chl-a 농도가 44~48% 차이가 발생하면서 1차생산량이 약 4배가량 증가하였다. 몬순지역에서의 탁수는 체류시간이 긴 성층 저수지에서 식물플랑크톤 성장제어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전반적인 유기탄소 순환을 해석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인자로 작용하였다.

  • PDF

Evaluation of GIS-based Soil Erosion Amount with Turbid Water Data (탁수자료를 이용한 GIS 기반의 토사유실량 평가)

  • Lee, Geun-Sang;Cho, Gi-S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2 no.4 s.31
    • /
    • pp.75-81
    • /
    • 2004
  • Because geological types and land cover conditions of Imha basin have a very weak characteristics to soil erosion, most soil particles (low into river and bring about high density turbidity in Imha reservoir when it rains a lot. This study used GIS-based RUSLE model and analyzed soil erosion to make basic data for the countermeasures of turbidity reduction in Imha reservoir. Total soil erosion amounts was evaluated as 5,782,829 ton/yr using rainfall data(2003) and especially Dongbu-basin was extracted as most source area or soil erosion among Imha sub-basin. Also it was evaluated that soil erosion amount by RUSLE model was suitable by applying turbidity survey dat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