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탁수하천

Search Result 113,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Phosphorus Cycle in a Deep Reservoir in Asian Monsoon Are3 (Lake Soyang, Korea) and the Modeling with a 2-D Hydrodynamic Water Quality Model [CE-QUAL-W2] (아시아 몬순지역의 대형댐(소양호)에서의 인순환과 2차원모델의 적용)

  • Kim, Yoon-Hee;Kim, Bom-Chul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37 no.2 s.107
    • /
    • pp.205-212
    • /
    • 2004
  • Phosphorus cycle was studied in a deep stratified reservoir in summer monsoon area (Lake Soyang, Korea) by surveying phosphorus input from the watershed and the movement of phosphorus within the reservoir. And the spa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 of phosphorus was modeled with a 2-dimensional water quality model (CE-QUAL-W2), Phosphorus loading was calculated by measuring TP in the main inflowing river (the Soyang River) accounting for 90% of watershed discharge. TP of the Soyang River showed a large daily variation with the flow rate. High phosphorus loading occurred during a few episodic storm runoff laden with suspended sediments and phosphorus. Because storm runoff water on rainy days have lower temperature, it plunges into a depth of same temperature (usually below 20m depth), forming an intermediate turbidity layer with a thickness of 20 ${\sim}$ 30 m. Because of stable thermal stratification in summer the intermediate layer water of high phosphorus content was discharged from the dam through a mid-depth outlet without diffusing into epilimnion. The movement of runoff water within the reservoir, and the subsequent distribution of phosphorus were well simulated by the water quality model showing a good accuracy. The major parameter for the calibration of phosphorus cycle was a settling velocity of detritus, which was calibrated to be 0.75 m ${\cdot}$ $day^{-1}$. It is concluded that the model can be a good simulator of limnological phenomena in reservoirs of summer monsoon area.

Effect of Turbidity Changes on Tissues of Zacco koreanus (탁도 변화가 참갈겨니 (Zacco koreanus) 조직에 미치는 영향)

  • Shin, Myung-Ja;Kim, Jeong-Sook;Hwang, Yun-Hee;Lee, Jong-Eun;Seo, Eul-Won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41 no.1
    • /
    • pp.73-80
    • /
    • 2008
  • Present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uddy water on the gill and the kidney tissues of Zacco koreanus under high turbidity rearing condition. The gill of Z. koreanus showed abnormal shapes in its secondary lamellae and a rough surface with impure debris in the high level of turbidity and the longer raising period condition. In addition, the gills showed the edema, the exfoliation of epithelial cell, and the fusion of the secondary lamellae. In case of kidney tissue, the atrophied glomerulus was observed, and the empty space in Bowman's capsule was wider. The SOD activities in both gill and kidney tissues were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high level of turbidity. On the while, CAT and GPX activities were shown constant level in the gill, but were increased in the kidney in the high turbid muddy wat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harmful radicals which generate by high level of turbidity could be removed partly by antioxidant enzymes in the kidney. The concentrations of micro heavy metal ions accumulated in the gill increased drastically at the 1,000 NTU.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is considered that the exposure to the high level of turbidity for long period may affect on the structures of tissues, and change the enzymatic balance in Z. koreanus, causing the fatal disease.

Analysis of flow rate-SS discharges characteristics and causes during rainfall season in Daegi-cheon Watershed (대기천 유역에서의 강우기 유량-SS배출 특성 및 원인분석 연구)

  • Kim, Jonggun;Lee, Suin;Park, Byeongki;Won, Chulhee;Kum, Donghyuk;Choi, Joongdae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21 no.1
    • /
    • pp.9-15
    • /
    • 2019
  • The Daegi-cheon watershed is located in the upper part of the Han River, which has the representative highland vegetable growing complexes. This watershed has a large impact on the water quality and aquatic ecosystem in the upstream of the Han River by discharging a large amount of turbid water during rainfall season. For proposing an efficient turbid water management and policy,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flow rate and SS and its causes needs to be carried out preferentially.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flow rate and SS concentration was analyzed in the Daegi-cheon watershed, and in turn the turbidity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tudy, in the normal flood flow condition, it was shown that SS concentration changed arbitrarily due to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other hand, the SS concentration was considerably high in the very high flow condition. Based on the field survey, this could be the reason why the effects of the steep valley and slope collapse according to the very high flow rate as well as the source in the agricultural fields were greatly contribut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tructural best management practice that can stabilize the steep slope and reduce river bed loss along with the typical source managements plans.

A study on the change of sediment yields and erosion spatial distribution by rainfall variation (강우집중에 따른 토양침식의 공간분포 및 침식량 변화에 관한 연구)

  • Kim, Seong Won;Lee, Dae Eop;Jeong, Anchul;Lee, Gi h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121-121
    • /
    • 2021
  •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국내의 강우량과 강우패턴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최근 30년 여름철 집중호우의 평균강수량은 1980년 694.5 mm에서 2000년대 768.7 mm로 평균강수량이 74.2 mm 증가하였다. 평균강수일수는 36일에서 40일로 약 4일 증가하였다. 집중호우의 증가로 국소적 홍수에 의한 재해규모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토양침식은 물의 순환과정에서 있어 나타나는 하나의 현상으로 토양손실을 의미한다. 강우량과 지형 및 토양특성이 토양침식량을 결정하는 주요한 요인이다. 토양침식은 농경지 감소, 고탁수 하천유입, 하천 및 호소내 퇴적으로 인한 수생태환경 변화 등의 다양한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 그동안 우리나라는 토양침식량을 예측하기 위해 연평균 토양침식예측모형을 적용하고 있으며, 최근에 강우강도를 고려한 토양침식모형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동일한 강우량을 Huff 방법을 이용하여 24시간 강수량 자료를 만들고 물리적기반 토양침식모형에 적용하여 나타나는 토양침식과 퇴적 공간분포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 PDF

Variation of Inflow Density Currents with Different Flood Magnitude in Daecheong Reservoir (홍수 규모별 대청호에 유입하는 하천 밀도류의 특성 변화)

  • Yoon, Sung-Wan;Chung, Se-Woong;Choi, Jung-Kyu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1 no.12
    • /
    • pp.1219-1230
    • /
    • 2008
  • Stream inflows induced by flood runoffs have a higher density than the ambient reservoir water because of a lower water temperature and elevated suspended sediment(SS) concentration. As the propagation of density currents that formed by density difference between inflow and ambient water affects reservoir water quality and ecosystem, an understanding of reservoir density current is essential for an optimization of filed monitoring, analysis and forecast of SS and nutrient transport, and their proper management and control. This study was aimed to quantify the characteristics of inflow density current including plunge depth($d_p$) and distance($X_p$), separation depth($d_s$), interflow thickness($h_i$), arrival time to dam($t_a$), reduction ratio(${\beta}$) of SS contained stream inflow for different flood magnitude in Daecheong Reservoir with a validated two-dimensional(2D) numerical model. 10 different flood scenarios corresponding to inflow densimetric Froude number($Fr_i$) range from 0.920 to 9.205 were set up based on the hydrograph obtained from June 13 to July 3, 2004. A fully developed stratification condition was assumed as an initial water temperature profile. Higher $Fr_i$(inertia-to-buoyancy ratio) resulted in a greater $d_p,\;X_p,\;d_s,\;h_i$, and faster propagation of interflow, while the effect of reservoir geometry on these characteristics was significant. The Hebbert equation that estimates $d_p$ assuming steady-state flow condition with triangular cross section substantially over-estimated the $d_p$ because it does not consider the spatial variation of reservoir geometry and water surface changes during flood events. The ${\beta}$ values between inflow and dam sites were decreased as $Fr_i$ increased, but reversed after $Fr_i$>9.0 because of turbulent mixing effect. The results provides a practical and effective prediction measures for reservoir operators to first capture the behavior of turbidity inflow.

A study for the selection of small-dam locations in existing dam's basin by nonparametric index estimation (기존댐 상류 소규모댐 위치선정을 위한 비매개변수적 지수화 방안 연구)

  • Ahn, Byeng-Sun;Park, Joo-Bum;Na, Bong-Kil;Kim, Han-Jung;Cha, You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525-1530
    • /
    • 2008
  • 최근의 기상이변 및 집중호우 등에 대응하기 위해 기존 다목적댐 상류지역에 대한 홍수를 저감시키고, 용수공급, 퇴사 및 탁수저감, 부유물 차단 및 레크레이션 등 기존댐의 효용 증진과 그 가치를 제고하기 위하여 다목적댐 상류에 소규모댐 설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양강, 충주, 횡성, 안동, 임하, 합천, 남강, 밀양, 대청, 용담, 섬진강, 주암(본,조), 부안, 보령, 장흥 등 전국의 다목적댐 15개소의 상류 하천 및 유역을 대상으로 국내외 사례를 조사하여 소규모댐의 정의, 역할, 기능 및 효과를 제시하고 소규모댐의 필요성 및 사업의 타당성을 정립하며, 상류 소규모댐 개발 가능지점 선정을 위하여 댐별 특성을 고려한 수문현황, 환경기초현황 등의 문헌조사와 이를 토대로 도상검토 및 현장조사를 통한 홍수조절, 상류 용수공급, 퇴사, 탁수, 부유물, 레크레이션 등의 소규모댐의 필요성을 제시하여 지자체 및 지역의견 수렴후 개발지점을 선정하는 것이다. 개발지점 선정을 위하여 이수부문 및 치수부문으로 조사목적을 구분하였으며, 이수부분은 인구 현황 및 상수도 이용실태 등을 각 댐별 관련보고서 및 현황 자료를 조사 분석하여 개발의 필요성 및 지점을 결정하였고, 치수부분은 홍수피해액, 수해상습지 및 재해위험지구 등을, 소규모댐의 설치 목적별로 지표들을 핵함수를 이용한 비매개변수적 확률밀도함수법으로 지수화하여 우선순위를 결정하였다.

  • PDF

Optimum Scale Evaluation of Sedment Basin Design by Soil Erosion Estimation at Small Basin (소유역의 토사유실량에 따른 유사저류지 설계적정성 검토)

  • Lee, Sang-Jin;Choi, Hyun;Kwak, Young-Joo;Lee, Bae-S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5 no.2 s.40
    • /
    • pp.25-31
    • /
    • 2007
  • The recent frequent heavy rainfall has caused an increased in soil erosion and the soil drain which drained soil has caused decreased in channel radius and environmental problems by turbidity. In this study, the optimum size of the sediment basin was tested with soil erosion estimated from the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USLE) in the basin using by GIS data. The results show that the estimated soil erosion and the designed soil deposit are $72.1\;m^3$ and $85.0\;m^3$ respectively and the size of sediment basin is proper. In this study the water depth was calculated from the Hec-Ras model to test the stability of the bank and to prove submersion of the inside fields from stream overflow.

  • PDF

Evaluation of SATEEC Daily R Module Considering Spatio-temporal (시공간을 고려한 일단위 SATEEC R 모듈 평가 및 적용)

  • Jang, Chun-Hwa;Ryu, Ji-Chul;Woo, Won-Hee;Kim, Young-Sug;Lim, Kyoung-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48-48
    • /
    • 2012
  • 유역 내 고농도의 탁수문제는 수자원의 효용 가치 하락, 댐 기능의 저하 및 관광 자원으로써의 가치 하락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을 발생시킨다. 또한 자원으로서의 토양손실을 야기시켜 토양 재조성을 위한 시간적, 비용적 문제를 발생시킨다. 하천의 탁수저감, 자원으로써의 토양 보전 관리를 위해서는 토양유실 저감 대책을 세우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정확한 토양유실량 및 유사량을 평가하여야 한다. 토양유실량 및 유사량을 평가하기 위해 Sediment Assessment Tool for Effective Erosion Control (SATEEC)이 널리 사용되어 오고 있으며, SATEEC System은 다양한 모듈 보완을 통하여 현재 SATEEC System ver. 2.2까지 개발되었다. SATEEC System ver. 2.2는 시공간변화를 고려한 일단위 R factor산정이 가능하며, 이 R factor산정 모듈은 단일강우를 고려할 수 있는 Williams, Foster, Cooley, CREAMS의 R factor산정 공식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SATEEC System ver. 2.2에서는 같은 속성의 셀에 대해서는 함께 연산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유역의 크기나 셀크기에 상관없이 최대 연산시간은 비슷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렇게 개발된 SATEEC System ver. 2.2룰 이용하여 낙동강 수계에 위치한 임하댐유역의 유사량을 평가하였으며, 유사량 평가를 위한 유달률 산정을 위하여 유전자 알고니즘 기반의 SATEEC SDR모듈을 사용하였다. 유사량 평가 결과 보정기간동안 $R^2$ = 0.591, NSE = 0.573, 검정기간 동안 $R^2$ = 0.927, NSE = 0.911로 높은 적용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SATEEC System ver. 2.2는 표토 보전 및 관리를 위한 예비 단계 평가 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 PDF

Evaluating the Effect of Upper Dams Release on Downstream Water Quality in Nakdong River Basin (낙동강수계 다목적댐군의 방류량과 하류 수질과의 관계 분석)

  • Choi, Jung-Kyu;Kim, Yu-Kyung;Jung, Yong-Rak;Shin, Sang-Il;Chung, Se-W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307-1311
    • /
    • 2007
  • 유역의 자연 유출량이 줄어드는 갈수기 동안 낙동강 본류의 수질은 상류지역의 댐 방류량에 큰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수질이 취약한 중 하류부지역의 수량과 수질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낙동강 수계의 물 관리를 위해서는 댐 방류량과 하류 수질의 정량적인 관계에 근거한 다목적댐군의 연계운영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정상상태 하천수질모델을 이용하여 낙동강수계 다목적댐군의 방류량과 하류 하천의 수질 관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갈수기 동안 낙동강 수질개선을 위해 필요한 적정 댐 용수공급 시나리오를 제시하는데 있다. 낙동강수계 댐 군의 하류 하천 수질을 고려한 저수지운영 계획 수립을 지원하기 위하여 1차원 정상상태 수질예측모델인 QUAL2E를 구축하고 실측 유량과 수질자료를 이용하여 모델을 보정하고 검증하였다. 검증된 모델은 낙동강수계 상류에 위치한 안동댐, 임하댐, 그리고 중 하류 지류에 위치한 합천댐과 남강댐의 용수공급 시나리오별 하천 수질개선 효과를 분석하는데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낙동강 수질이 악화되는 갈수기 동안 중 하류부에 위치한 상수원의 수질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합천댐과 남강댐에서보다는 상류에 위치한 안동댐과 임하댐에서 용수를 추가 공급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댐 방류량 증감에 따라 수질영향을 가장 크게 받는 하천구간은 수질오염도가 가장 크게 나타나는 금호강합류점${\sim}$고령교구간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낙동강과 같이 수량이 부족한 하천은 오염부하량 삭감 대책과 함께 갈수기 유량조절이 매우 중요한 요소임을 보여주며, 주기적인 수질악화를 겪는 낙동강 중 하류 지역의 수질개선을 위한 상류 다목적댐군의 연계운영 계획 수립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치모의 결과와 현장에서 관측한 유속장을 비교함으로써 본 연구에서 제시한 실제 탁수배제능력을 검증하였다.를 구축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로와 접하는 건물의 경우 모서리부 광고 효과가 지배적이며 대부분 곡선돌출형이 사용되고 있었다. 그러므로 모서리 저층부를 필로티로 계획하여 보행흐름을 원활하게 하고 대신 입면을 투명하게 하여 간접광고(내부전시) 효과를 유도하는 것이 좋다. 특히 원형모서리는 건물 특화 성격이 강하므로 불가피할 경우 소형 액센트 광고 위치를 미리 벽면으로 할애하는 것이 경관 및 입면계획에 유리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불확실도 해석모형 등의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여 제시하였다. 모든 입출력자료는 프로젝트 단위별로 운영되어 data의 관리가 손쉽도록 하였으며 결과를 DB에 저장하여 다른 모형에서도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HyGIS-HMS 및 HyGIS-RAS 모형에서 강우-유출-하도 수리해석-범람해석 등이 일괄되게 하나의 시스템 내에서 구현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HyGIS와 통합된 수리, 수문모형은 국내 하천 및 유역에 적합한 시스템으로서 향후 HydroInformatics 구현을 염두에 둔 특화된 국내 수자원 분야 소프트웨어의 개발에 기본 토대를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았다. 또한 저자들의 임상병리학적 연구결과가 다른 문헌에서 보고된 소아 신증후군의 연구결과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자극에 차이가 있지 않나 추측되며 이에 관한 추후 연구가 요망된다. 총대장통과시간의 단축은 결장 분절 모두에서 줄어들어 나타났으나 좌측결장 통과시간의 감소 및 이로 인한 이 부위의 통과시간 비율의 저하가 가장 주요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차가운 생수 섭취가 주로 결장 근위부를 자극하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

  • PDF

Long Term Variations and Environment Factors of Zooplankton Community in Lake Soyang (소양호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장기변동과 환경요인: 2003~2014)

  • Kim, Moon Sook;Kim, Bomchul;Jun, Man-Sig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51 no.1
    • /
    • pp.29-39
    • /
    • 2018
  • Long-term variation of zooplankton community and species composition was studied from 2003 to 2014 in a deep reservoir, Lake Soyang, in monsoon climate region, Korea. In addition, we examined the correlation with environmental factors. Annual precipitation of watershed showed a large variation in the $705{\sim}1,779mm\;yr^{-1}$ and more than 70% of it was being concentrated from June to September. The water quality of Lake Soyang was shown a clearly seasonal variations and particularly turbid water flowing into the lake during rainy season was the most important environmental factors. Zooplankton community in Lake Soyang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fore and after 2006. Zooplankton biomass has shown a large increase and also showed a change in the zo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since 2006. The of zooplankton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temperature and BOD, Chl. a, TP concentration. These results are considered that nutrient and organic matter contained in the turbid water influences the increase in zooplankton biomass and species composition. However, water quality was limited to account for the increase in biomass of zooplankton. For example, increase of small zooplankton density (rotifer; Keratella cochlearis, Polyarthra vulgaris) in spring which is dominated by diatoms (large size; Melosira, Synedra etc.) is considered as a bottom-up effect by the microbial loop. And increased density of crustaceans in autumn was considered a top-down effects by the relationship between predator and prey of microzooplankton and mesozooplankton. In other words the inflow of allochthonous organic matter during rainy season also affected to zooplankton food web in Lake Soyang. In conclusion, biomass, diversity and long-term variations of zooplankton in Lake Soyang were determined by physico-chemical factors but also it is considered that biological interactions is import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