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타인평가

검색결과 199건 처리시간 0.03초

수치심이 자비명상에 대한 저항감에 미치는 영향: 자비 대상(자기 vs. 타인)의 조절효과 (The Influence of Shame on the Dislike for Loving-kindness & Compassion Meditation: The Moderator Effect of Object of Loving-kindness & Compassion)

  • 박도현;김완석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3권2호
    • /
    • pp.131-157
    • /
    • 2017
  • 자비명상은 자기 자신으로부터 시작하여 다른 사람들에게 자애와 연민의 마음을 불러일으키는 수련법으로 근래 다양한 치료적 장면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다. 한편 수치심은 부정적 자기개념을 포함하는 무의식적이고 암묵적인 정서라고 알려져 있다. 수치심은 자기에 대한 부정적 평가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자비명상 중에 수치심이 높은 사람들은 자신에 대한 자비의 마음을 불러일으키기 어려워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수치심의 이런 특징이 자비명상수련 대상에 따라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자비명상을 자애명상과 연민명상으로 나누어 두 개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1은 자애명상 실험으로서 참가자(N = 108)들을 자기를 대상으로 한 자기-자애 처치와 긍정적 타인을 대상으로 한 타인-자애 처치에 무선 할당하였다. 이들에게 8분간의 처치를 가하고 수치심에 따라 지시문에 대한 저항감과 몰입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실험 2(N = 116)는 연민명상 실험으로서 실험 1에서의 자애명상 처치를 연민명상 처치로 바꾸어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험을 실시하였다. 두 가지 실험을 행한 이유는 자애심과 연민심에 심리학적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정 때문이었다. 실험 1의 결과, 수치심이 높을수록 자기-자애명상 지시문에 대한 저항감을 크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타인-자애명상 지시문에 대해서는 수치심의 영향이 없었다. 실험 2의 결과 역시, 수치심이 높을수록 자기-연민명상 지시문에 대한 저항감을 더 크게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타인-연민명상 지시문에 대해서는 수치심의 영향이 없었다. 이러한 결과에 대해, 수치심 정서의 특징과 관련하여 논의하였으며, 부정적 자기개념을 가진 사람들에게 자비명상을 적용할 때에 고려할 사항들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농인 청소년의 감정 경험 및 표현 특성 (Experiencing and Expression of Deaf Adolescents)

  • 박지은;김은예;장은정;정이내;음영지;손진훈
    • 감성과학
    • /
    • 제19권3호
    • /
    • pp.51-58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농인들이 감정을 경험하고 표현할 때 그 특성이 청인과 어떻게 다른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농인과 청인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세 가지 감정을 유발 시키면서 얼굴 표정을 녹화하였다. 감정의 경험 내용은 자기보고식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되었고, 감정의 표현은 녹화된 얼굴 표정을 평정하였다. 두 집단 간에 경험 감정 속성이 동일한지 그리고 본인이 보고한 감정과 타인이 평가한 감정이 일치하는지를 비교하였다. 경험 감정의 유형 및 강도 점수는 청인과 농인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표현 감정 평정 결과는 기쁨에서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청인들의 기쁜 표정은 본인이 느낀 강도보다 타인에게 더 강하게 평가되는 반면, 농인들은 본인이 느낀 기쁨의 강도보다 훨씬 낮게 평가되었다. 이는 농인들의 감정 상태를 청인들은 알아차리지 못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이러한 결과는 농인 청소년들의 감정 표출 방식이 같은 또래의 청인들과 달라 서로간의 감정적 교류나 대인관계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초등 4학년 학생들의 과학 관련 진로 포부와 과학 정체성 관계의 변화 (The Chang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4th Graders' Career Aspirations in Science and Science Identities)

  • 강은희;김찬종;최승언;노태희;유준희;김희백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841-856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과학 정체성 개념을 사용하여, 과학에 대한 흥미는 높지만 과학 관련 진로에 대한 포부가 낮았던 초등 4학년 학생들의 진로 포부의 변화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목적에 맞는 참여자를 선별하였고, 14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2회(4학년, 5학년)의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과학 경험에 대한 학생들의 설문조사, 교사로 부터 제공받은 자료 또한 심층면담 자료를 뒷받침하는 보조 자료로 사용하였다. 1차면담(4학년)에서 과학 관련 진로에 대한 포부가 낮았던 14명의 학생들은 2차면담(5학년)에서 다양한 변화를 보여주었는데, 6명은 지속적으로 낮은 진로 포부를, 6명은 보통의 진로 포부를, 그리고 2명은 높은 진로 포부를 보였다. 이 가운데 세 명의 초점 학생을 선정하였고, 과학 정체성 요소와 진로 포부의 관계를 깊이있게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진로와 관련하여 개인마다 가치를 두는 과학 정체성 요소가 달랐으며(윤우는 타인의 평가, 태우는 자신의 흥미, 인제는 과학 능력), 이러한 요소에 따라 요소들 사이의, 그리고 요소와 과학 관련 진로 포부 사이의 상호작용은 개인마다 다른 양상을 보여주었다. 시간이 흐르면서 참여자들이 겪은 경험과 주변의 타인들과의 상호작용은 과학 정체성 요소의 변화에 영향을 주었고, 이는 요소들 사이의 상호작용을 통한 과학 관련 진로 포부의 변화로 이어졌다. 동료와의 관계에 대한 인식(나에 대한 동료의 평가와 동료에 대한 나의 평가에 대한 인식)과 과학 관련 진로에 대한 인식 또한 학생들이 자신에 대해 판단하고 과학 관련 진로에 대한 포부를 형성하는데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어, 이를 고려한 주변의 지원과 과학 관련 진로에 대한 안내가 필요함을 제안한다.

CDMA 이동통신 시스템의 당면과제

  • 구행선
    • 전자공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42-44
    • /
    • 1994
  • 1924년 미국 특허청은 무선통신을 위한 하나의 새로운 신호방식에 대하여 특허를 부여했다. 이로써 Alfred Goldsmith는 Spread Spectrum을 이용한 통신방식을 실용화시키는 첫 장을 열었다. 이후 1970년대까지 이 특유한 통신방식은 보안을 최우선으로 하는 군용 무선통신의 전유물이라고도 할 수 있었다. 그러나 타인에 의하여 도청되거나 방해받는 확률이 작은만큼 남에게도 간섭내지 방해를 거의 주지않는다는 Spread Spectrum 통신방식의 특징때문에 1980년대 이후부터는 이 방식을 이용한 다수의 상용 통신제품과 서비스가 개발되기 시작하였다. 최근 셀룰라 시스템의 디지틀화 과정에서 CDMA 방식이 도입된 것도 바로 이러한 특징 때문이었던 것이다. 이제는 미국내의 통신산업체협회(TIA)에서 CDMA Air Interface 규격인 IS-95가 공식 발표됨에 따라 이미 국제적으로 채택되어 사용되고 있는 TDMA 방식의 첫 경쟁기술로 부상하였으나 CDMA 방식이 오늘에 이르기까지는 많은 논란과 평가들이 있었다. 비록 그간의 TIA의 TR45.5 소위원회와 다수의 산업체 및 연구기관들의 노력으로 상당부분의 의문점들이 해결되었으나 여타의 새로운 통신기술들이 그러하였듯이 CDMA방식을 이용한 셀룰라 및 개인통신 서비스가 실용적이고 편리한 상용제품으로 자리잡기 위하여는 몇 가지 진지하게 생각해 보아야 할 과제들이 있다. 이제 각 분야별로 CDMA이동통신 시스템의 당면과제에 대하여 간략히 나열하여 보고자 한다.

  • PDF

생체정보 이용과 프라이버시 보호

  • 전명근;문기영
    • 정보보호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11-18
    • /
    • 2005
  • 정보 통신의 발달로 네트워크를 통한 개인 신원의 확인이나 인증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기존의 패스워드에 의한 개인 확인방법은 비교적 구현이 용이한 반면에 타인에게 노출되어 오용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으며, 다수의 패스워드를 기억에 의존하여 관리하는 것도 쉽지 않은 형편이다. 이에 개인의 고유한 생체적 특징에 기반을 둔 생체인식 시스템이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으나, 이를 둘러싼 프라이버시 침해 논의로 그 적용이 제약받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생체정보와 프라이버시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먼저 생체정보 이용에 있어서의 프라이버시 침해요인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국제적 동향과 프라이버시 영향평가에 대해서 알아본다 다음으로 현재 우리 주변에서 생체인식시스템과 관련하여 주요 이슈로 다루어지고 있는 US-VISIT, 지문날인, 생체여권, CCTV에 의한 방범시스템과 같은 국내외의 활용 현황들을 알아보고 생체정보보호를 위한 정책동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동결기간과 해동 후 냉장이 우육의 지방산 조성과 TBA가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reezing Period and Rechilling Process after Thawing on Fatty Acid Composition and TBA Value of Beef Loin)

  • 문윤희;김미숙;정인철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88-295
    • /
    • 2000
  • 동결기간과 해동후 재냉장이 우육의 지방산 조성. TBA가 생육향 및 가열육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홀스타인의 등심부위를 -2$0^{\circ}C$에서 6, 12 및 18개월 동경, 해동한 것과 이것을 1$^{\circ}C$에서 3일간 재냉장한 것에 대하여 실험하였다. 신선육의 총지질 중성지질 및 인지질의 단일 불포화지방산에 대한 포화지방산의 비율(MUFA/SFA)은 각각 1.35, 1.10 및 1.34이었으며 동결기간이 길어지면서 점점 감소하였다. 동결 6개월째 우육은 TBA가는 0.37 mg/MA/kg으로 신선육의 0.15 mg/MA.kg 보다 높아졌으나 산패취는 느끼지 못했다. 동결 12개월과 18개월째 우육의 TBA가는 각각 0.53과 0.64mg/MA/kg이었으며 산패취를 느낄수 있었다. 한편 재냉장한 우육은 동결기간에 관계없이 TBA가가 높아지고 생육향 평가 점수가 낮아졌으나 MUFA/SFA와 가열육향은 동결 6개월째에 향상되었고 12개월 및 18개월 째에는 저하되어 동결기간에 따라 재냉장 효과의 차이를 보였다.

  • PDF

사무음환경 개선을 위한 컴퓨터 소음의 감성적 평가 (Subjective Evaluation of Computer Noise for Improving the Acoustical Environment of Open-plan Offices)

  • 정정호;송희수;전진용;조문재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01-106
    • /
    • 2002
  • 최근 사무환경에서 컴퓨터 사용시간이 급증함에 따라 컴퓨터 소음의 불쾌감으로 인한 저소음형 컴퓨터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효율적인 소음조절을 위하여 컴퓨터 소음에 대한 실태 조사를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물리적 측정치와 더불어 심리음향학적 각종 파라메타를 계산하였다. 또한 일반적 업무 Task가 주어진 상태에서 컴퓨터 소음에 대한 근무자의 상하한계치 설정을 위한 청감실험을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가장 시끄럽게 인식되는 소음은 팬소음(사용자 컴퓨터)과 키보드 사용음(타인 컴퓨터)으로 나타났으며, 약 55%의 사용자들이 보통 컴퓨터 소음에 대해 시끄럽게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현재 사용중인 컴퓨터의 소음에 대해 사용자의 약 20% 정도만이 조용하게 느끼며, 컴퓨터 소음이 업무효율을 떨어뜨린다는 응답도 약 35%로 나타났다. 팬소음, CD-Rom 구동음, HDD 작동음에 대해 청감실험을 실시한 결과, 각 소음의 상하한치는 각각 31∼51dB(A), 34∼54dB(A), 34∼58dB(A)로 나타났다.

  • PDF

안전한 정보보호제품 개발 보증을 위한 인증 제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ertification System for Assurance of Secure Information Security Product Development)

  • 강수영;박종혁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247-252
    • /
    • 2010
  • IT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네트워크를 통해 방대한 양의 정보가 이동하고 있다. 인터넷을 사용하는 사용자들은 올바른 사용으로 유용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나, 올바르지 않은 사용을 하는 공격자는 악의적인 목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타인의 개인 정보를 노출시키고 유포하여 다양한 피해를 발생시키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정보보호제품이 개발되고 있다. 안전한 정보보호제품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개발 과정부터 보안이 필요하며, 안전한 제품을 보증하기 위하여 제품 평가 및 보안 모듈에 대한 평가 제도들이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정보보호제품이 안전하게 개발될 수 있도록 기존 정보보호제품 인증 제도뿐만 아니라, 정보보호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 제품을 개발할 때 시행되고 있는 다양한 인증 제도까지 포함하여 연구함으로써, 더욱 안전하고 견고한 제품 개발 및 보증 방안을 제안한다.

안전한 스마트폰 보안을 제공하기 위한 정보보호제품 인증 제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formation Security Production Certification System for Secure Smart Phone Security)

  • 박종혁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970-974
    • /
    • 2010
  • IT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이동 중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요구를 충족하기 위하여 스마트폰 보급이 급증하고 있다.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사용자들은 올바른 사용으로 유용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나, 올바르지 않은 사용을 하는 공격자는 악의적인 목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타인의 개인 정보를 노출시키고 유포하여 다양한 피해를 발생시키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서비스들이 개발되고 있으나, 공격들이 지능화됨에 따라 보안을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안전한 스마트폰을 사용하기 위해서 개발 과정부터 안전한 제품을 보증하기 위한 정보보호제품 평가 및 보안 모듈에 대한 평가 제도들에 대하여 알아보고, 안전한 스마트폰 보안을 제공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하여 제안한다.

CSR 수혜자 소구 유형이 기업정체성매력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CSR Beneficiary Appeals on the Attractiveness of Corporate Identity)

  • 김문섭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313-323
    • /
    • 2016
  • CSR에 대한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기업들은 CSR 활동에 투자하고 있다. CSR이 기업에 대한 긍정적 평가 및 매출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되지만, CSR이 기업평가에 미치는 영향이 없거나 부정적이라는 의견도 적지 않다. 본 연구는 CSR의 효과가 크지 않은 문제 해결에 대한 실마리를 찾기 위하여 친사회적 행동의 하나인 기부에 대한 연구를 검토하고 CSR에 대한 연구에 도입하고자 한다. 즉, CSR의 수혜자 소구 유형이 소비자의 기업정체성매력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러한 영향의 기제를 밝히기 위하여 CSR 동기에 대한 소비자의 동기 추론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 결과, CSR 수혜자를 타인이 아닌 소비자 자신으로 소구하면 기업정체성매력에 대한 평가가 하락하였으며, CSR 동기를 기업의 매출을 증진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의심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또한 CSR 수혜자 소구 유형이 기업정체성매력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CSR 동기 추론이 매개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기업이 CSR 활동을 소비자에게 커뮤니케이션하는데 있어서 기업의 사업에 초점을 맞추기보다 CSR 활동의 진실한 목적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