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타운젠트 방전

Search Result 7,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LCD 백라이트용 형광램프에서의 광 방출 광의 전파

  • Im, Yu-Ri;Han, Guk-Hui;Jeong, Jong-Yun;Im, Hyeon-Gyo;Jo, Yun-Hui;Kim, Hyeon-Cheol;Yu, Dong-Geun;Jo, Gwang-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0.02a
    • /
    • pp.417-417
    • /
    • 2010
  • 작은 직경의 외부 전극 형광램프와 냉음극 형광램프는 LCD-TV의 광원으로 사용하고 있다. 교류 전압으로 구동되는 외부전극 형광램프와 교류 및 직류 전압으로 구동되는 냉음극 형광램프에서 광 방출 신호를 관측하였다. 이러한 빛은 양광주의 고전압부에서 접지부로 $10^5-10^6\;m/s$의 속도로 전파한다. 램프에서 방출된 광이 양광주를 따라 전파하는 현상은 일반 형광등과 네온싸인관에서도 동일하게 관측된다. 이러한 빛의 전파 현상은 지난 70년의 형광 램프 역사상 처음 관측되었다. 양광주 영역의 플라즈마는 높은 전압과 수 십 kHz가 인가되는 전극부에서 발생한 고밀도 플라즈마의 확산으로 생성된다. 고전압이 인가된 전극부에서 발생한 고밀도의 플라즈마는 인가되어지는 구동 주파수에 해당하는 섭동으로 작용하여 플라즈마 파동으로 양광주 영역으로 전파된다. 이러한 플라즈마 파동은 고밀도 전극부에서 저밀도 양광주 영역으로 플라즈마 밀도의 차이에 의하여 된다. 이때 파동의 전파 속도는 관 전류에 따라 달라진다. 타운젠트 방전 이전의 저 전류일 때는 ${\sim}10^5\;m/s$이며, 타운젠트 방전 이후 글로우 방전에서의 전파 속도는 ${\sim}10^6\;m/s$로 증가한다. 또한 타운젠트 방전 이전의 저 전류에서는 파동이 감쇠하는 경향을 보이며, 고 전류에서의 파동의 감쇠는 매우 작다. 관측된 광신호의 결과로부터 전파되는 파동의 원인은 플라즈마 확산에 의한 밀도의 차이에 의한 것으로 해석된다. 즉, 수 십 kHz의 구동 주파수를 갖는 플라즈마 파동이 양광주의 플라즈마 밀도 구배에 의하여 전파된다. 이러한 파동은 높은 전압이 인가되는 전극부에서 낮은 전압부로 향하는 조류의 흐름과 같이 나타난다.

  • PDF

The Collision of Electrons in the Townsend's Discharge (타운젠트 방전에서 전자의 충돌)

  • Cho, Yeon-Chan;Lee, Eun-Woong;Cho, Hyun-Kil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7.11a
    • /
    • pp.224-225
    • /
    • 2007
  • This paper is to be linked the discharge theory with parameter t the coefficient of restitution used in physics. The collisions is of particular importance in high voltage engineering, nuclear, and high-energy physics. Here the bodies collided may be atoms, nuclei or various elementary particles, such as electrons, protons, and so on.

  • PDF

The Effect of Electron Diffusion on the Instability of a Townsend Discharge (전자 확산 효과가 Townsend 방전 불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 Mikhailenko, Vladimir
    • Journal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 /
    • v.21 no.3
    • /
    • pp.130-135
    • /
    • 2012
  • The role of the electron diffusion on the stability of a Townsend discharge was investigated with the linear stability theory for the one-dimensional fluid equation with drift-diffusion approximation. It was proved that the discovered instability occurs as a result of the coupled action of electron diffusion and the perturbed electric field by space charge. The larger electron diffusion results in the faster growth rate at the regime of small perturbation of the electric field by space charges.

Circuit Analysis in the Operation of Atmospheric Pressure Plasma Jet Device

  • Kim, Dong-Jun;Jeong, Jong-Yun;Kim, Yun-Jung;Jo, Yun-Hui;Han, Guk-Hui;Kim, Jung-Gil;Jo, Gwang-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1.02a
    • /
    • pp.231-231
    • /
    • 2011
  • 바늘침 전극을 사용한 대기압 플라즈마 제트의 전기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접지 전극 위치, 안정 커패시터 크기 등 변수에 따라서 플라즈마 제트 방전 특성의 변화를 조사한다. 각 실험조건의 등가회로를 통해서, 플라즈마 방전 특성(IV-curve)을 분석한다. 등가회로에서 안정 커패시터 Cp, 유리관 내부 플라즈마 저항 RP, 접지측 유리층 커패시턴스 CG, 대기 접지 RA, 등의 각 변수들을 검토한다. Rp 및 Rj는 방전이 강해질수록 작아진다. 특히 타운젠트 방전 후 Rp 및 Rj는 약 수십 $k{\Omega}$으로 작아진다, 회로 전체 임피던스와 비교하면 아주 작은 값이다. 안정 커패시터 와 접지 측 유리 층의 임피던스는 수백 $k{\Omega}$으로 아주 크다. 방전이 진행되면서 플라즈마 저항 Rp 및 Rj가 급감하여도 Cp 및 CG의 역할로 회로전체 임피던스가 일정한 값을 유지할 수 있어서 전류가 급증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대기 접지 RA는 $M{\Omega}$으로, 접지 전극이 없을 때 방전 개시전압도 높아진다.

  • PDF

Influences of the electrode surface states on the spark voltage in gas discharges (기체방전에서 불꽃파괴전압에 미치는 전극표면상태의 영향)

  • 백용현;이복희;전덕규;조성욱;서국철
    • Electrical & Electronic Materials
    • /
    • v.4 no.1
    • /
    • pp.65-72
    • /
    • 1991
  • 본 논문은 전극의 표면상태가 기체방전의 전리성장과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것으로 질소-산소 혼합가스중의 순수전극과 오손전극의 상태에서 전압-전류 특성과 글로우방전 개시전압을 측정하였다. 순수전극의 경우, 압력과 전극간의 거리의 곱이 8(Torr-cm)이하이고 산소의 혼입량이 0.005(%)이하일 때의 전리성장은 암류로부터 안정타운젠트방전을 거쳐 글로우방전으로 이행되었으며 글로우방전 개시전압은 거의 일정하였다. 동일의 전극표면상태에서 조차 방전개시전압은 산소혼입비에 의존하며 방전횟수에 따른 이의 변화는 산소의 함량이 0.1(%)부근에서 크게 나타났다. 방전횟수와 산소혼입량의 증가에 따른 방전개시전압의 상승은 주로 전극표면에서의 산소흡착층의 형성과 부착작용에 의한 NO, $O_{2}$, NO$_{2}$, $O_{3}$와 간은 부이온의 생성에 기인된 것으로 여겨진다.

  • PDF

Observation of Discharge Mode Transient from Townsend to Glow at Breakdown of Helium Atmospheric Pressure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헬륨 대기압 유전체 격벽 방전기의 타운젠트-글로우 방전 모드 전이 연구)

  • Bae, Byeongjun;Kim, Nam-Kyun;Yoon, Sung-Young;Shin, Jun-Seop;Kim, Gon-Ho
    • Journal of the Semiconductor & Display Technology
    • /
    • v.15 no.2
    • /
    • pp.26-31
    • /
    • 2016
  • The Townsend to glow discharge mode transition was investigated in the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DBD) helium plasma source which was powered by 20 kHz / $4.5 kV_{rms}$ high voltage at atmospheric pressure. The spatial profile of the electric field strength at each modes was measured by using the intensity ratio method of two helium emission lines (667.8 nm ($3^1D{\rightarrow}2^1P$) and 728.1 nm ($3^1S{\rightarrow}2^1P$)) and the Stark effect. ICCD images were analyzed with consideration for the electric field property. The Townsend discharge (TD) mode at the initial stage of breakdown has the light emission region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anode. The electric field of the light emitting region is close to the applied field in the system. Immediately, the light emitting region moves to the cathode and the discharge transits to the glow discharge (GD) mode. This mode transition can be understood with the ionization wave propagation. The electric field of the emitting region of GD near cathode is higher than that of TD near anode because of the cathode fall formation. This observation may apply to designing a DBD process system and to analysis of the process treatment results.

Discharge Characteristics of the Cold Cathode and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s (냉음극 및 외부전극 형광램프의 방전 특성)

  • Cho Guangsup;Lee Dae H.;Lee Joo Y.;Song Hyuck S.;Gill Doh H.;Koo Je H.;Choi Eun H.;Kim Sang B.;Kim Bong S.;Kang June G.;Cho Mee R.;Hwang Myung G.;Kim Young Y.
    • Journal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 /
    • v.14 no.1
    • /
    • pp.49-57
    • /
    • 2005
  • The characteristics of current and voltage in a basic discharge experiment are investigated for a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with ballast capacitors attached at both ends of lamp and for a capacitive coupled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In the current-voltage characteristics for a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except ballast capacitors, it is shown that the typical glow discharge with the cathode fall follows after the dark current and Townsend firing discharge. However, in the characteristics for a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including ballast capacitors, the current increases as the voltage increases in the glow discharge region without representing a cathode fall since the most voltage is loaded at two capacitors. The characteristics for the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shows the same as that of the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in the respect of glow discharge characters, and the external electrode itself roles the ballast capaci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