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타액선염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4초

구내접근법을 이용한 악하선 적출 (Intraoral Approach in Submandibular Gland Extirpation)

  • 유준영;고광희;윤현중;이국엽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7권2호
    • /
    • pp.186-190
    • /
    • 1995
  • 타석증을 동반한 만성 악하선 타액선염의 경우 악하선 적출은 일반적인 치료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악하선 적출술은 수술의 용이성, 수술시야의 확보 등의 장점으로 구강외접근에 의해서 시행되어져 왔다. 그러나 시대적으로 심미적인 요구가 증대되고 있는 요즈음 구외 접근으로 인한 술후 반흔은 구외접근법의 가장 결정적인 단점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설하선과 함께 적출하여야 할 경우 구내접근과 구외접근을 동시에 실시할 경우 술후 치유과정상의 후유증을 유발할 수도 있다. 반면에 구강내 접근에 의한 악하선의 적출은 수술상의 고도의 난이도로 수술자체의 어려움은 있으나 구강의 반흔을 남기지 않아 심미적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본 저자 등은 타석증을 동반한 악하선 타액선염의 환자에 있어 구내 접근으로 악하선 및 설하선 적출술을 시행하여 좋은 결과를 얻었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악하선 내 타석의 미세형상 및 화학적 조성 (Micromorphology and Chemical Composition of a Sialolith in the Submandibular Gland Duct)

  • 임영관;송호준;김병국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6권3호
    • /
    • pp.161-167
    • /
    • 2011
  • 타석은 타액선에 발견되는 흔한 병리 상태 중 하나이다. 타석의 형성과 관련된 기전은 아직까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악하선의 만성타액선염을 앓고 있는 58세 여성 환자로부터 얻은 타석을 전자현미경 및 에너지분산 X선 분광법을 통해 화학적인 조성과 미세형상을 분석하였다. 전자현미경 평가에서 고도로 광화된 무정형 핵이 층판의 동심원상 구조로 둘러싸인 형태가 관찰되었으나, 이물질, 유기물질 또는 미생물의 소견은 확인되지 않았다. 에너지분산 X선 분광 분석에서 중심부 핵은 Ca, O 및 P로만 구성되어 있었고, C도 중심부 근처에서 높은 함량으로 검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타석의 무기물 조성은 주로 수산화인회석 결정으로 되어 있고 중심핵 주변으로 무기-유기 구조가 형성되어 있어, 악하선관 내 타석의 핵이 무기결정핵의 성장을 촉진하는 타액선염에 의해 이차적으로 형성되었을 가능성을 제시한다.

타액선 종양의 영상진단 (Imaging Diagnosis in Salivary Gland Tumors)

  • 한문희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88-90
    • /
    • 1993
  • 병변의 양상에 따른 감별진단 재발성 이하선 종대를 보이는 경우 타액선조영술이 영상진단방법중 1차적인 선택이 된다. Stensen 씨관이나 중심선관(central glandular duct)의 확장을 보이는 경우 만성 타액선염으로 진단할 수 있다. 소아에서의 단일성 양성종괴의 감별진단은 임파절, 혈관종, 양성혼합종양, 저급점액상피암, 임파관종 등이다. 성인에서의 단일성, 양성으로 관찰되는 종괴는 양성혼합종양, Warthin씨 종양, 저급점액상피암, 선상낭성암, 소포상세포암 등이다. 여러개의 종괴를 보이는 경우 Warthin씨 종양, 소포상세포암, 임파종, 육아종, 전이암 등이며 단일성 낭성종괴의 경우는 branchial cleft cyst,, Warthin씨 종양, 상피낭포 등이다.

  • PDF

비글견에서 발생한 타액선 결석과 타액선류 증례 (Sialocele with Sialolithiasis in a Beagle Dog)

  • 권영항;임수지;장진화;안지영;안세준;정성목;박성준;조성환;최호정;이영원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71-375
    • /
    • 2009
  • 3년령의 비글견이 경부 종괴로 내원하였다. 종괴는 하악의 배쪽 부분에 위치하였다. 환자는 심한 유연 증상을 보였다. 신체 검사, 방사선 검사, 초음파 검사와 컴퓨터단층촬영 결과 타액선 결석과 함께 타액선류로 진단되었다. 타액선 제거술이 수행되었다. 조직병리학적 검사로 타액선 염증과 타액선류로 진단되었다.

악하선에 발생한 Küttner 종양 1예 (A Rare Case of Küttner Tumor Originating from Submandibular Gland)

  • 최병일;강민석;김민기;임범진;변형권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66-69
    • /
    • 2015
  • $K{\ddot{u}}ttner$ tumor is a benign inflammatory disease of the salivary gland that clinically mimics a malignant tumor because of its presentation as a unilateral painless hard mass. However the precise cause of this disease is still unknown. Pathologically, it is characterized by infiltration of IgG4-positive plasma cells. Also, it is accompanied with an elevated level of plasma IgG4. We report one case of $K{\ddot{u}}ttner$ tumor of the right submandibular gland in a 37 year old woman.

  • PDF

의원성 사고로 발생한 타액선염:증례보고 (Sialadenitis caused by iatrogenic trauma: A case report)

  • 김현우;허경회;이원진;허민석;이삼선;최순철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34권2호
    • /
    • pp.107-110
    • /
    • 2004
  • A case of sialadenitis is presented in a patient with painful swelling of the right mouth floor. The condition was caused by trauma on the right mouth floor during dental treatment, which had happened 15 days before admission. On aspiration, mucous secretion was found and ultrasonography showed obstruction of duct. Histopathological studies and surgical investigation established a definite diagnosis of obstructive sialadenitis caused by ductal laceration. As surgical treatment sialodochoplasty was selected. The case and relevant considerations are discussed.

  • PDF

양측 악하선에 수개월 간격을 두고 발생한 면역글로불린 G4 연관 경화성 타액선염 (IgG4-related chronic sclerosing sialadenitis in both submandibular glands that developed at intervals of months)

  • 강태구;김희영;김재구;이경화;이동훈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73-76
    • /
    • 2018
  • IgG4-related chronic sclerosing sialadenitis commonly occurs in the submandibular glands. The gold standard for diagnosis of IgG4-related chronic sclerosing sialadenitis is a tissue biopsy from the affected organ. Herein, we report the probability of occurrence of IgG4-related chronic sclerosing sialadenitis in both submandibular glands that developed at intervals of months. Therefore, long-term follow-up and whole-body evaluation are essent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