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큰마름

검색결과 93건 처리시간 0.02초

대구광역시 안심습지의 식물상 (Flora in Ahnshim Wetland, Daegu Metropolitan City)

  • 유주한;정성관;박경훈;김경태;이우성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62-170
    • /
    • 2008
  • 본 연구는 국내 습지보전 계획수립에 대한 기초자료 제공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안심습지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은 57과 155속 179종 22변종 등 총 201 분류군이 요약되었다. 산림청 지정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은 자라풀이었다. 습지식물의 경우 정수식물은 애기부들, 개피, 줄, 갈대, 고마리, 미나리, 물칭개나물, 침수식물은 말즘, 나사말, 검정말, 붕어마름, 물수세미로 나타났다. 그리고 부엽식물은 가래, 자라풀, 연꽃, 노랑어리연꽃, 부유식물은 생이가래, 개구리밥, 좀개구리밥으로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메귀리, 오리새, 소리쟁이, 묵밭소리쟁이, 털비름, 다닥냉이, 말냉이, 나도재쑥, 개소시랑개비, 벳지, 아까시나무, 족제비싸리, 토끼풀, 자주개자리, 가죽나무, 애기땅빈대, 큰달맞이꽃, 둥근잎유홍초, 둥근잎나팔꽃, 까마중, 큰개불알풀, 뚱딴지, 돼지풀, 도꼬마리, 개망초, 망초, 큰망초, 개쑥갓, 미국가막사리, 만수국아재비, 서양민들레, 붉은씨서양민들레, 방가지똥 등 총 33분류군이었다.

벼에서 애멸구(Laodelphax striatellus Fallén) 개체군 밀도 변동 예측 모델 구축 (Modelling The Population Dynamics of Laodelphax striatellus Fallén on Rice)

  • 권덕호;정인홍;서보윤;김혜경;박창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8권4호
    • /
    • pp.347-354
    • /
    • 2019
  • 벼에 줄무늬잎마름병을 유발하는 애멸구(Laodelphax striatellus)의 온도에 따른 산란 등 성충 활동 특성을 12.5~35.0℃ 10개 항온조건 광주기 14L:10D에서 조사하였다. 산란모델을 만들기 위한 단위 함수를 개발하고 DYMEX를 이용하여 개체군 밀도 변동 모델을 구축하였다. 성충 수명은 15.0℃에서 56.0일로 가장 길었고, 35.0℃에서 17.7일로 가장 짧았으며 온도가 올라감에 따라 수명도 짧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암컷 한 마리당 총산란수는 22.5℃에서 515.9개로 가장 많았으며, 35℃에서 18.6개로 가장 적었다. 산란 모델 개발을 위해 성충발육율, 총산란수, 성충사망율 및 누적산란율 단위모델을 추정한 결과, 단위모델 모두에서 높은 수준의 모델 적합성을 보였다(r2=0.94~0.97). 개체군 밀도 변동 모델은 포트와 포장 실험을 통하여 예측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포트 및 포장 실험 결과 접종 후 30일까지는 각 조사 시점에서 밀도 및 영기 분포 비율의 예측 정확도가 비교적 높았으나 이후에는 1, 2령의 조사 밀도와 예측 밀도 간에 큰 차이가 발생하였고, 영기 분포 변화의 경우도 모델에서 실제 조사 자료보다 1~2단계의 발육 영기가 빠르게 추정되는 경향을 보였다.

한국의 잔디에서 분리한 Sclerotinia homoeocarpa 균의 체세포화합성군 분류 (Vegetative Compatibility Grouping of Sclerotinia homoeocarpa Isolates Infecting Turfgrass in South Korea)

  • 장석원;장태현;홍점규;박종현;정석우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71-176
    • /
    • 2011
  • 동전마름병을 일으키는 Sclerotinia homoeocarpa는 한국에서 가장 일반적인 한지형 잔디 병원균이다. 경기도, 충청남도, 전라북도, 경상북도 등 다양한 지역에서 분리한 13개 균주로부터 유도된 nit 변이균주를 이용하여 의한 체세포화합성군(vegetative compatibility group, VCG) 평가가 이루어졌다. 돌연변이주는 질소동화작용에 근거하여 nit1, nit2, nit3, NitM 등 4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균주간에 돌연변이주 발생정도는 크게 차이가 있었으며 최대 15개의 변이주를 생산한 균주가 있는 반면에 전혀 형성하지 못한 균주도 존재하였다. 선택배지에서 4가지 돌연변이주 유형 중에 nit1과 NitM의 발생빈도(80%)가 높았으며, nit2와 nit3은 발생빈도가 매우 낮았다. 한 개의 큰 체세포화합성군 그룹과 4개의 작은 그룹이 18개 돌연변이주로부터 결정되었다. Nit 변이균주를 이용하여 의한 VCG 평가는 매우 효율적이었으며, 향후 한국의 Sclerotinia homoeocarpa균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생태학적 역학적인 면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지역으로부터 분리된 균주의 평가가 필요하다.

벼 이삭마름병 발병시기와 정도가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evelopment Time and Severity of Rice Ear Blight on Rice Yield and Quality)

  • 심홍식;홍성준;홍성기;김용기;예완해;성재모
    • 식물병연구
    • /
    • 제12권1호
    • /
    • pp.5-9
    • /
    • 2006
  • 일미벼는 착색정도가 심할수록 완전미 비율이 낮아지고, 변색미, 사미, 청미, 쇄미의 비율이 높아지며, 착색정도가 심할수록 현미의 진균 오염정도가 높았으며, 진균종류도 다양하였으며, 출수 직전과 출수시 병원균을 접종한 결과 주당 수량은 무처리 대비 큰 차이는 없었으며, A. alternata, A. padwickii, N. oryzae는 출수 직전에, B. oryzae와 C. lunata는 출수시 접종할 경우 발병이 높았다. 출수 직전 병원균 접종시 N. oryzae가 현미의 완전미 형성에 가장 크게 영향을 주었으며, 출수시 병원균 접종시에는 A. alternata가 현미 품질에 가장 크게 영향을 주었으며, 발병정도가 수량에 미치는 영향은 적은 편이나, 병원균 접종량이 많아질수록 발병율은 매우 높아지고 품질도 저하되었다.

만경강 본류의 자연정화능 향상을 위한 식생학적 진단 (Assessment of Water Purification Plant Vegetation for Enhancement of Natural Purification in Mankyeong River)

  • 이경보;김창환;김종구;이덕배;박찬원;나승용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53-165
    • /
    • 2003
  • 만경강 본류를 대상으로 수질을 개선하기 위한 일환으로 하천식생의 종구성, 하천형태에 따른 군락의 구조, 단면분석을 통한 현존식생의 분포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하천 생태계에 대한 종합적 해석과 식생에 의한 자연정화능 활용방안을 평가하고자 2001년 6월부터 2002년 3월까지 수질 및 식생에 관한 자연정화능을 조사, 평가하였다. 만경강 본류 수질중 T-N의 농도는 갈수기인 겨울철이 17.23 mg/L로 가장 높았으며, 여름철이 8.59 mg/L로 낮았고, 상류보다는 하류에서 그 농도가 높았다. 또한 평균 T-P의 농도는 여름철과 가을철에 각각 0.45, 0.47 mg/L로 비슷하였으나 겨울철에 1.79 mg/L로 농도가 높아졌다. BOD의 농도는 상류유역에서 $0.95{\sim}2.57\;mg/L$$I{\sim}II$급수 수질를 나타내었으나 하류유역에서는 $6.87{\sim}9.72\;mg/L$로 V급수에 가까운 수질이었다. 만경강 상류의 식물상은 73과 134속 218종 33변종으로 총 251종류가 조사되었으며, 중류 일대에서 조사된 식물은 33과 69속 82종 16변종으로 총 98종류가 조사되었다. 그리고 만경강 하류 일대에서 관찰된 식물은 27과 58속 %종 14변종으로 총 85종류가 조사되었다. 만경강 유역에서 자연정화능에 의한 수질개선을 도모하기 위해 식물 생활형별로 하천 정화능이 뛰어난 식물을 조사 분석한 결과 침수식물은 붕어마름, 검정말, 부엽식물은 어리연꽃, 왜개연꽃, 추수식물은 갈대, 줄, 부들, 습생식물은 큰황새 냉이, 고마리 등이 질소 인 흡수능이 우수한 식물이었다.

우포늪에서 번식하는 물꿩의 서식지 이용 특성 고찰 (Characteristics of Habitat Use of Pheasant-tailed Jacana Hydrophasianus chirurgus in Upo Wetland)

  • 백충렬;김태성;이정현;이자연;양병국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87-192
    • /
    • 2014
  • 이 연구는 2013년 6월부터 8월까지 우포늪에서 번식하는 물꿩 Hydrophasianus chirurgus의 서식지 이용 특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물꿩의 개체군 관리를 위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함이다. 연구기간 중 둥지는 총 4개가 관찰되었으며, 둥지의 위치는 수변으로부터 $56.2{\pm}16.37m$에 있었다. 물꿩의 둥지는 모두 가시연꽃(Euryale ferox) 위에 만드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둥지재료는 생이가래(Salvinia natans), 개구리밥(Spirodela polyrhiza), 붕어마름 (Ceratophyllum demersum), 자라풀(Hydrocharis duvia) 등의 수생식물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번식활동에 가장 큰 방해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은 인간의 간섭인 것으로 나타났고, 방해 시 알을 옮기는 행동이 관찰되었다. 관찰된 4개의 둥지 중 2개의 둥지에서 알을 옮기는 행동이 관찰되었으며, 약 1~2m 정도 옮긴 것을 확인하였다. 우포늪은 가시연꽃 군락이 넓게 분포하고 있고, 수심 또한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기 때문에 매년 우포늪을 찾아오는 물꿩의 수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과거에는 우리나라를 찾는 물꿩의 수가 적어 관리 계획에 포함되어 있지 않았으나, 최근 들어 규칙적으로 도래하고 있고, 개체수도 증가하는 추세라 개체군 관리를 위한 방안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애멸구의 날개형태, 성별, 그리고 발육단계별 Rice stripe virus (RSV) 보독률과 이병률 (Rice Stripe Virus (RSV) Acquisition and Infection Rates According to Wing Form, Sex and Life Stage of Small Brown Planthopper (Laodelphax striatellus))

  • 이휘종;강미형;최만영;구현나;김길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419-423
    • /
    • 2015
  • 애멸구(Laodelphax striatellus)는 rice stripe virus (RSV)의 매개충으로 벼에 큰 피해를 주는 해충이다. 본 연구에서는 애멸구의 장 단시형, 암 수, 약 성충에 대한 RSV 보독률과 이병률을 비교하였다. 애멸구의 장 단시형의 RSV 보독률은 각각 60.7%, 63.1%로 크게 차이는 없었다. 암 수에 대한 RSV 보독률은 각각 61.9%, 52.2%로 암컷의 보독률이 더 높았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약 성충의 보독률을 비교한 결과 각각 51.2%, 58.7%로 역시 크게 차이가 나지는 않았다. RSV에 감염된 애멸구에 노출된 건전한 벼의 이병률은 장시형은 53.3%, 단시형은 48.2%를 보였으며, 약 성충의 이병률은 각각 38.2%, 42.6%를 보여 유의성은 없었다. 반면 암컷은 50.5%의 이병률을 보이고 수컷은 22.3%의 이병률을 보여 암컷이 수컷에 비해 22.3% 이병률이 높아 유의성이 있었다. 또한 벼와 애멸구의 RSV 감염여부에 의한 애멸구의 발육기간은 건전한 벼에 RSV 감염 애멸구를 접종 했을 때 가장 긴 것으로 나타났으며, 건전한 벼에 건전한 애멸구를 접종 했을 때 발육기간이 가장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역형상을 고려한 도시 단위 소유역의 유출 해석 (Runoff Analysis for Urban Unit Subbasin Based on its Shape)

  • 허성철;박상식;이종태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1권5호
    • /
    • pp.491-501
    • /
    • 2008
  • 도시 배수구역의 유출특성을 해석하기 위하여서는 유역의 지형특성 및 유출경로를 고려하여 소유역을 분할하고 배수계통에 대한 유출량을 분석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각 소유역의 도달시간과 시간-면적곡선은 유역형상에 따라 상이하게 구성되므로, 이로 인한 유출특성 또한 크게 변화하게 된다. SWMM 및 ILLUDAS 모형에서는 유역형상을 단순 직사각형으로 가정하여 해석함으로써 유역의 기하학적 형상이 지표면 유출에 미치는 영향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를 개선하기 위하여, 국토해양부의 FFC2Q 모형 개발연구에서는 유역형상을 고려하여 지표면 유출해석을 실시함으로써 유출분석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기법을 도입하였다. 즉, 지표면 유출해석을 위한 시간-면적곡선법의 적용에서 단위 소유역의 형상을 대칭형(사각형, 타원형, 마름모꼴), 분산형(삼각형, 사다리꼴), 집중형(역삼각형, 역사다리꼴) 형태로 각각 유형화하여 지표면 유출해석을 하였으며, 그 결과를 비교 분석한 결과 유역의 형상에 따라 유출특성이 크게 상이함을 알 수 있었다. 실제로 배수구역(군자 배수구역)에 적용한 결과 유역형상을 직사각형 보다는 마름모꼴로 적용한 경우에 첨두유출량과 유출수문곡선의 형태에서 실측치에 보다 접근하고 있음을 보여 줌으로 써 개선된 결과를 제시하였다. 또한, 유역형상을 고려한 경우에는 첨두유출량의 경우 분할 수에 큰 영향이 없이 실측치와 유사한 안정된 값을 나타내고 있으나, 사각형으로 단순화한 경우에서는 유역 분할 수가 계산 결과치에 민감한 영향을 주었다.

부유식물과 침수식물이 습지의 주요 수 환경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loating and Submerged Plants on Important Water Environments of Wetland)

  • 이근주;성기준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89-300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습지식물의 유형에 따라 습지의 주요 수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부유식물로는 부레옥잠(Eichhornia crassipes)을 침수식물로는 붕어마름(Ceratophyllum demersum)을 인공습지 실험구에 도입한 후 pH, 용존산소, 수온, 산환환원전위, 영양물질 농도 등 주요 수 환경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수 표면에 주로 존재하는 부유식물은 빛이 수체내로 투과하는 것을 막아, 다른 처리구에 비해 수온이 낮게 나타났으며 주 야 모두 상 하층 수온의 차이도 관찰되었다. 오염물 유입 후 모든 실험구에서 용존 산소가 일시적으로 감소하였다가 다시 회복되었는데 특히 수중에서 광합성을 하는 침수식물 처리구에서 주기성을 가지면서 증가하였고 상승폭 또한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pH 또한 침수식물 처리구에서 주기성을 가지면서 변동하는 것으로 나타나 용존산소의 경우와 같이 광합성의 영향임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에서 습지토양의 산환환원전위가 수생식물의 유무나 유형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이 관찰되었으며 이와 관련된 생지화학적 기작에도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수체 내 총질소와 총인의 농도는 물만 있는 대조구 <물과 토양이 있는 대조구 < 부유식물 처리구 < 침수식물 처리구의 순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식물이 영양물질 제거에도 효과적임을 보여주었다. 부유식물과 침수식물 모두 조류발생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부유식물의 경우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종자(種子) 및 배지상(培地上)에서의 오이류(類) 덩굴마름병균의 형태적(形態的) 및 배양적(培養的) 특징(特徵) (Morphological and Cultural Characters of Didymella bryoniae on Seeds and Culture Media)

  • 이두형
    • 한국균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7-13
    • /
    • 1982
  • 자연상태(自然狀態)에서 Didymella bryoniae에 이병(罹病)된 오이 및 호박 종자(種子)를 습지법(濕紙法)으로 처리(處理)하여 불완전(不完全) 세대(世代)와 완전세대(完全世代)의 특징(特徵)을 조사(調査)하고 Difco PDA, V-8쥬스한천(寒天) 및 water agar leaf medium에서의 특징(特徵)과 비교(比較) 하였다. 병든 종자(種子)가 발아(發芽)할 때 종피(種皮)나 배축(胚軸)에 형성(形成)된 Didymella bryoniae의 병포자(柄胞子)와 Difco PDA, V-8 juice한천(寒天) 및 WALM에 형성(形成)된 본균(本菌)의 병포자(柄胞子)는 형태적(形態的)으로 많은 차이(差異)가 나타난다. 즉 PDA에 형성(形成)되는 병포자(柄胞子)는 무색(無色) 소형단포자(小型單胞子)가 대부분이며, V-8 juice한천(寒天) 및 WALM에 형성(形成)되는 것은 대형단포자외(大型單胞子外)에 격막(隔膜)이 하나 있는 포자(胞子)를 형성하고 또 균주(菌株)에 따라서는 격막(隔膜)이 두개 있는 포자(胞子)를 형성하므로써 마치 병든 종피(種皮)나 배축(胚軸)에 형성(形成)된 것과 흡사하였다. 한편 자양각은 병든 종자(種子)의 표본(標本)에 따라 잘 형성(形成)되는 것도 있었으나 대부분(大部分)의 표본(標本)에서는 형성(形成)되지 않았다. 외부형태적(外部形態的)인 특징(特徵)은 색깔이 진한 흑색(黑色)이며 유두상각공(乳頭狀殼孔) 위에 백색(白色)의 포자괴(胞子塊)가 형성(形成)되는 특징(特徵)을 가지고 있어서 쉽게 병자각(柄子殼)과 구별(區別)할 수 있었다. 불완전(不完全) 세대(世代)인 병자각(柄子殼)이나 병포자(柄胞子)와 같이 자양각의 각방(殼房)과 포자(胞子)의 크기에는 큰 변이(變異)가 없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