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큰땅빈대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초

한국산 대극속 3분류군의 분류학적 재검토 (Taxonomic reviews on three taxa of Korean Euphorbia L.)

  • 지성진;오병운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00-106
    • /
    • 2009
  • 한국산 대극속 3분류군에 대한 외부형태 형질과 학명을 재검토하였다. 줄기의 생장양상, 잎의 배열, 부속체의 유무, 자방 털의 유무, 종자의 형태 및 종부의 유무 등이 분류군들을 식별하는데 유용한 형질임이 확인되었다. 외부형태 형질, 기준표본 및 원기재문 등에 근거하여 낭독, 큰땅빈대 및 애기땅빈대의 정명은 E. fischeriana, E. hypericifolia 및 E. maculata로 밝혀졌으며, 정확한 종 동정을 위해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한국 미기록 귀화식물: 아메리카대극과 털땅빈대 (Two Newly Naturalized Plants in Korea: Euphorbia heterophylla L. and E. hirta L.)

  • 지성진;박수현;이유미;이철호;김상용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64-170
    • /
    • 2011
  • 부산광역시와 제주도에서 대극과의 미기록 귀화식물 2종을 발견하였다. Euphorbia heterophylla L. (아메리카대극)은 부산광역시 동래구 안락동 수영강변 공원에서 확인되었으며, E. dentata Michx. (톱니대극)과 비교하여 원줄기 잎은 호생하며, 소총포의 선체 입구는 원형인 특징으로 구별된다. 또한 Euphorbia hirta L. (털땅빈대)은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예래동 예래마을에서 확인되었으며, E. hypericifolia L. (큰땅빈대)와 비교하여 삭과에 털이 있는 특징으로 구별된다.

한국산 대극속(Euphorbia L., Euphorbiaceae)의 세포분류학적 연구 (Cytotaxonomic study of Korean Euphorbia L. (Euphorbiaceae))

  • 정규영;오병운;박기룡;김주환;김미숙;남기흠;장창기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79-293
    • /
    • 2003
  • 한국산 대극속(Euphorbia L.) 13종의 체세포염색체의 분류학적 가치를 평가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 취급된 분류군들의 체세포염색체수는 2n= 12, 20, 22, 28, 40, 42, 56이었고, 기본염색체수는 x=6, 7, 10, 11이었다. 본 연구에서 체세포염색체수가 처음으로 밝혀진 분류군은 낭독(E. pallasii Turcz.; 2n=20), 단주낭독(E. hylonoma Hand.-Mazz; 2n=20.), 두메대극(E. fauriei H. L$\acute{e}$v. & Vaniot ex H. L$\acute{e}$v.;2n=28), 암대극(E. jolkini Boiss.; 2n=28)의 4종류이었으며, 기존의 보고와 일치하는 분류군은 개감수(E. sieboldiana Moor. & Decne.; 2n=20), 붉은대극(E. ebracteolata Hayata; 2n=20), 땅빈대(E. humifusa Willd. ex Schlecht.; 2n=22)의 3종류이었다. 반면 기존의 보고와 다르게 나타난 종류는 흰대극(E. esula L.; 2n= 16, 20, 60, 64 vs 2n=20), 등대풀(E. helioscopia L.; 2n=12, 42 vs 2n=42), 참대극(E. lucorum Rupr.; 2n=28, 40 vs 2n=56), 대극(E. pekinensis Rupr. in Maxim.; 2n=24 vs 2n=28, 56), 큰땅빈대(E. maculata L.; 2n=28, 42 vs 2n=12), 애기땅빈대(E. supina Raf.; n=7 vs 2n=40)이었다. 낭독, 붉은대극, 단주대극은 염색체의 수와 크기 및 부수체의 존재에 의해 다른 분류군들과 뚜렷히 구분되었으며, 큰땅빈대, 땅빈대, 애기땅빈대는 외부형태, 해부, 화분학적 형질의 공통성에도 불구하고 기본염색체수 및 체세포염색체수에서 차이를 보였다. 체세포염색체에서 얻어진 결과는 Webster(1967)의 분류체계보다 Ma and Hu(1992)의 분류체계가 타당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 얻어진 체세포염색체에 관한 형질은 절 수준에서 분류학적으로 유용하게 적용되었으며, 일부 종의 유연관계를 파악하는데 그 유용성이 인정되었다.

큰땅빈대와 애기땅빈대의 라디칼 소거, 세포독성 억제 및 항염증 활성 비교 (Comparison of Radical Scavenging, Anticytotoxic,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Euphorbia Maculata and E. supina)

  • 임태진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5권8호
    • /
    • pp.1131-1142
    • /
    • 201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antioxidant, anticytotoxic, and anti-inflammatory properties of Euphorbia maculata ethanol extract with those of E. supina ethanol extract.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radical and superoxide scavenging activities of E. maculata at $50{\mu}g/mL$ were $38.3{\pm}3.7$ and $21.5{\pm}1.2%$, respectively, whereas those of E. supina at the same concentration were $109.4{\pm}0.9$ and $59.5{\pm}4.8%$, respectively.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ies of E. maculata and E. supina at $10{\mu}g/mL$ were $14.70{\pm}0.63$ and $26.17{\pm}1.36nmol/mL$ Trolox, respectively. Cupric reducing antioxidant capacities of E. maculata and E. supina at $10{\mu}g/mL$ were $10.22{\pm}0.97$ and $62.99{\pm}5.28nmol/mL$ Trolox, respectively. Total phenolic contents of E. maculata and E. supina at $50{\mu}g/mL$ were $29.03{\pm}0.14$ and $87.89{\pm}0.20nmol/mL$ gallic acid, respectively. E. maculata and E. supina were reported to prevent supercoiled DNA breakage induced by peroxyl and hydroxyl radicals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where protection against the supercoiled DNA breakage provided by E. supina was greater than that provided by E. maculata. E. maculata and E. supina at $100{\mu}g/mL$ inhibited tert-butyl hydroperoxide-induced cytotoxicity in HepG2 cells by $49.4{\pm}4.3$ and $87.3{\pm}4.5%$, respectively. E. maculata and E. supina at $500{\mu}g/mL$ inhibited lipopolysaccharide-induced nitric oxide production in RAW 264.7 cells by $63.1{\pm}7.0$ and $85.2{\pm}1.6%$, respectively. The antioxidant capacities including DPPH radical scavenging, superoxide scavenging, oxygen radical absorbance, and cupric reducing antioxidant activity were found to be highly correlated with total phenolic content (0.896 < r < 0.983, p < 0.01) and anticytotoxic activities (0.915 < r < 0.960, p < 0.01). However, the superoxide scavenging activity was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r = 0.604, p > 0.05) with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Thus, these findings demonstrated that the radical scavenging, anticytotoxic, and anti-inflammatory capacities of E. supina were more potent than those of E. maculata.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elucidate the properties of polyphenolic constituents in E. supina responsible for these effects and the underlying mechanis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