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큰가슴근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1초

근전도 바이오피드백을 적용한 어깨뼈 동적 안정화운동이 위등세모근, 큰가슴근 및 앞톱니근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capular Dynamic Stabilization Exercise Applying EMG Biofeedback on Upper Trapezius, Pectoralis Major and Serratus Anterior Activities)

  • 윤삼원;강종호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159-164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근전도 바이오피드백을 적용한 어깨뼈 동적 안정화운동이 위등세모근, 큰가슴근 및 앞톱니근 활성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었다. 건강한 성인 남성 15명이 연구에 자발적으로 참여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대응표본 t-검정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근전도 바이오피드백 적용 시 위등세모근과 큰가슴근의 활성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01), 앞톱니근의 활성도는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1). 이를 통해 근전도 바이오피드백을 적용한 어깨뼈 동적 안정화 운동이 선택적으로 앞톱니근의 활성도를 증가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어깨뼈 동적 안정화 운동에 근전도 바이오피드백을 적용한 첫 연구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여겨진다.

출하 일령에 따른 오리육의 화학적 특성

  • 채현석;안종남;유영모;김동훈;함준상;정석근;이종문;최양일
    • 한국축산식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축산식품학회 2004년도 제34차 추계 국제 학술대회
    • /
    • pp.278-282
    • /
    • 2004
  • 본 연구는 오리고기의 사육일령에 따른 부위별 화학적 특성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오리고기의 단백질 함량은 70일령의 가슴 및 다리 육이 각각 21.13, 19.61%로 45일령보다 높게 나타났다. 지방은 45일령의 가슴 육이 1.04%이었으나 70일령에서는 1.38%로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무기물에서 칼슘(Ca)의 함량은 가슴 및 다리 육에서 $142.1{\sim}161.1ppm$ 으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사육일령에 따라서 가슴 육은 사육일령이 증가할수록 약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칼륨(K)의 함량은 가슴 육에서 45일령이 1469.7ppm이고 70일령 1883.1ppm으로 약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미노산에서 methionine은 가슴 및 다리 육에서 0.43, 0.46%로 다리 육에서 약간 많이 함유하고 있었으나, 사육 일령에서는 상호 차이가 없었다. Glutamic acid는 가슴 육보다 다리 육에서 약간 더 많이 함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콜라겐 함량은 45일령의 가슴살에서 0.65, 70일령 0.77g/100g으로 사육일령이 증가함에 따라 많았다. 껍질을 제거한 날개 육에서는 45일령이 1.98이었고 70일령이 2.13g/100g으로 70일령이 0.15g/100g 이상 많았다. 콜레스테롤은 가슴육의 45일령이 10.45, 70일령이 11.28mg/100g으로 사육일령이 증가함에 따라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 PDF

다른 지면 조건에서의 푸시업 플러스 운동이 어깨 안정근의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A Effect of the Shoulder Stabilizer Muscle Activity During a Push-up-Plus on a Different Condition Surface)

  • 김진섭;이동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1호
    • /
    • pp.399-405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지 면이 다른 조건(안정, 상지 불안정, 하지 불안정, 상하지 불안정)에서의 푸시업 플러스운동이 어깨 안정근의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18명의 정상인이 자발적인 참여를 했다. 측정 방법은 지지 면이 다른 조건에서 푸시압 플러스를 수행 하는 동안 위세모근, 큰가슴근, 앞톱니근을 표면 근전도로 기록 하였다. 연구 대상자에게는 총 7일 동안 측정을 실시하였다. 결과 값은 푸쉬업 플러스를 실시한 실효치 값의 평균으로 제시하였다. 분석 방법은 반복 측정된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위세모근과, 큰가슴근은 다른 조건의 지지 면과의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5). 하지만 앞톱니근에서는 상하지가 불안정한 조건일 때 푸쉬업 플러스 운동을 하는 동안 근 활성도가 가장 많이 향상되었다(p<.05).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어깨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푸쉬업 플러스 운동 방법으로는 상 하지가 모두 불안정한 지지 면을 제공 할 때 가장 효과적 이였다.

한국인 시신에서 랑거겨드랑활의 변이 (Variation of the Axillary Arch in Korean Cadaver)

  • 정현석;조성우;이재호
    • 해부∙생물인류학
    • /
    • 제31권4호
    • /
    • pp.167-170
    • /
    • 2018
  • 랑거겨드랑활은 겨드랑에서 흔히 나타나는 변이다. 랑거겨드랑활의 해부학적 그리고 임상적 중요성 때문에 이에 대한 관심이 많다. 학생실습과정에 68세 여성 시신의 오른쪽 팔에서 근육변이가 관찰되었다. 이 근육은 넓은등근의 가쪽모서리에서 근육의 형태로 일어났다. 그 후 힘줄의 형태로 겨드랑동맥과 정중신경을 가로질러 지나간 후 넓어지며 다시 근육의 형태로 큰가슴근에 부착되었다. 우리는 이 근육변이를 소개하고 이것의 임상적 의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Comparison of CPR Results And Muscle Fatigue According to Chest Compression Performer's Own Breathing Method

  • Jun-Ho Ju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12호
    • /
    • pp.175-182
    • /
    • 2023
  • 본 연구는 세 집단의 심폐소생술 결과와 근피로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마네킹의 가슴압박을 할 때 큰 소리를 내어서 숫자를 세는 집단(A그룹), 숫자를 세지 않으며 자율호흡을 하는 집단(B그룹), 숫자를 세지 않으며 복식호흡을 하는 집단(C그룹)이다. 각 그룹에 12명씩의 인원을 배정하였고 5분간의 가슴압박을 시행한 후 심폐소생술 결과를 마네킹과 연결된 프로그램으로 분석하고 시행자의 근피로도를 무선근전도로 분석하였다. 가장 효율적인 방법은 B그룹으로 나타났다. 정상 범위 내에서 압박의 속도와 깊이만을 본다면 C그룹이 더 효율적일 것이나 B그룹이 근피로도가 현저히 낮게 나타났으며 A그룹은 흉부압박의 깊이에서 정상범위에 미치지 못했고 근피로도는 가장 높게 나타났다. 손의 위치 정확도 또한 B그룹이 가장 정확한 것으로 나타나 흉부압박에 대한 집중력을 유지하는 것에도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푸시업과 무릎 푸시업, 벽 푸시업 운동시 어깨안정근 활성도의 비교 (Comparison of Scapular Stabilizer Muscles Activity among Push-Up, Knee Push-Up and Wall push-Up)

  • 김용권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4호
    • /
    • pp.123-131
    • /
    • 2023
  • 이 연구는 일반 푸시업과 무릎 푸시업, 벽 푸시업 운동시 어깨 안정근의 활성도 차이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어깨관절에 통증이 없고 푸시업 운동을 하지 않은 대학생 남자 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어깨 안정근의 활성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표면 근전도를 이용하여 위등세모근, 아래등세모근, 중간등세모근, 앞톱니근, 앞세모근, 뒤세모근, 큰가슴근, 가시아래근에 부착하였다. 일반 푸시다운은 무릎 푸시다운과 벽 푸시다운 보다 근활성도가 유의하게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푸시업 동작에서는 앞톱니근과 가시아래근이 다른 어깨안정근에 비해 근활성도가 유의하게 더 컸으며, 일반 푸시업 동작이 무릎 푸시업과 벽 푸시업 보다 근활성도가 유의하게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UT/LT 비율에서는 무릎 푸시다운이 벽 푸시다운 보다 유의하게 낮았으며, UT/SA 비율은 푸시다운과 푸시업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적으로 푸시업과 푸시다운 동작 시에는 앞톱니근과 앞어깨세모근, 가시아래근이 다른 어깨안정근보다 근활성도가 높고, 일반적인 푸시업 운동이 무릎 푸시업과 벽 푸시업 운동보다 근활성도 측면에서는 더 효과적이다. 그러나 푸시다운을 할 경우에는 어깨안정화를 위해 무릎을 굽힌 상태에서 푸시다운을 하는 것이 더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작은가슴근의 단축이 등세모근과 큰가슴근의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hortening of Pectoralis Minor Muscle on Muscle Activity of Trapezius and Pectoralis Major Muscles)

  • 양회송;배세현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1권4호
    • /
    • pp.85-92
    • /
    • 2013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he length of the pectoralis minor on muscle activity of trapezius and pectoralis major in subjects in subjects with shortened pectoralis minor muscle. METHOD : The subjects was participated in 36 with shortened pectoralis minor muscle. All subjects was examined the length test of pectoralis minor muscle. we divided by 3 groups. group I(n=12) was for 4~5cm of length of pectoralis minor muscle, group II(n=12) was for 5~6cm, group III(n=12) was for above 6cm. The EMG activity of upper trapezius, middle trapezius, lower trapezius and pectoralis major muscle activity was measured by surface EMG while elevationg the right arm in sitting postion with head to the neutral, shoulder elevation $135^{\circ}$ with scaption. Data were analyed using one-way ANOVA with a Tukey post hoc test. RESULT : The EMG activity differed significantly among the three groups(p<.05). The group III had significantly greater EMG activity of upper trapezius and pectoralis major muscles than group I and II(p<.05). Also, The group III had significantly smaller EMG activity of lower trapezius muscle than group I and II(p<.05). But, thes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MG activity of the middle trapezius muscle among the groups (p.05). CONCLUSION : Therefore, the result of this study should be suggested that the shortened pectoralis minor muscle was affected the EMG activity of the upper trapezius, lower trapezius and pectoralis major. Ultimately the length of the pectoralis minor muscle leads to the muscle imbalance in shoulder girdle.

노계육의 탕적 온도에 따른 육질 및 저장 특성 변화

  • 채현석;유영모;안종남;함준상;김동훈;정석근;이종문;최양일
    • 한국축산식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축산식품학회 2004년도 정기총회 및 제33차 춘계 학술대회
    • /
    • pp.274-278
    • /
    • 2004
  • 본 연구는 노계의 도계과정에서 탕적온도가 닭고기의 육질에 미치는 영향과 저장특성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가슴살의 육색의 황색도($b^{\ast}$)는 저장 1일의 가슴살 경우 고온 탕적시 황색도가 가장 낮은 경향을 나타냈다. 이러한 경향은 저장 3일, 5일에서도 비슷하였다. TBA(지방산패도)는 저장 3일에 탕적온도가 높아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도체상태에서 깃털 유무는 저온탕적 처리구에서 평균 1.95개를 나타냈으나 중, 고온탕적에서 각각 1.15, 0.95으로 고온으로 갈수록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잔모는 $59^{\circ}C$의 저온탕적 처리구에서는 55%이었으나 중, 고온탕적 처리구에서 각각 30, 25%를 나타내 고온으로 갈수록 잔모 제거율이 높았다. 도체 미생물 분포에서 저장 5일에 총세균수의 변화는 $59^{\circ}C$에서 $4.27Log_{10}CFU/cm^2$으로 나타났고, 중,고온 탕적 처리구에서 각각 4.21, 4.10으로 약간 저하되는 경향을 나타냈으나 큰 차이는 없었다. 결과를 종합하면 탕적온도가 증가할수록 도체상태는 양호하였으나 고온일 경우는 저장성이 저하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 PDF

열린사슬운동과 닫힌사슬운동이 큰가슴근과 위팔세갈래근의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Open and Close Kinetic Chain Exercise on the Muscle Activity of Pectoralis Major and Triceps)

  • 김주오;장상훈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52-61
    • /
    • 2018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open and close kinetic chain exercise on the muscle activity of pectoralis major and triceps. Method: Twenty healthy male college students were assessed three times over two weeks. The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OKCE(Open Kinetic Chain Exercise) and CKCE(Close Kinetic Chain Exercise). On the first day, the 7th day and the last day, The MP(mean power) and PT(peak torque) of the PM(pectoralis major) and TR(triceps) during the exercise were measured with an electromyography device and the study was compared. Result: In the present study, it was found that Statistical analysis of the measured values at the end of experimental period reveal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P and PT values of TR and PM.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KCE and OKCE may be an effective physical therapy intervention for strengthening muscular activity in patients with low activity in the upper limb, including normal subjects, although it is not suitable for effective exercise by selecting either CKCE or OKCE.

어깨뼈 내밈 운동 시 어깨관절 수평 벌림과 수평모음 저항과 외부 무게에 따른 앞톱니근, 위등세모근, 그리고 큰가슴근 근활성도 비교 (Comparison of the Serratus Anterior, Upper Trapezius, and Pectoralis Major Muscle Activity According to Horizontal Abduction and Horizontal Adduction Resistance and External Weight During Protraction Exercise)

  • 배창환;김규령;추이저;김명권;박수형
    • 대한정형도수물리치료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7-46
    • /
    • 2021
  • Background: The increase in the activity of the upper trapezius (UT) muscle and decrease in the activity of the serratus anterior (SA) and lower trapezius (LT) muscle produce an abnormal scapulohumeral rhythem. Therefore, the SA is the focus of therapeutic exercise protocols for the rehabilitation.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activity of the muscles according to resistance levels during protraction exercise. Methods: Thirteen healthy 20 to 30 years old male and female subjected participated in the study. All subjects performed the scapular protraction exercise with the weights of 0, 5, and 10kg, combined with horizontal shoulder abduction and adduction. The electromyography data of the SA, UT, and pectoralis major (PM) during the exercise were recorded using surface electrodes. The ratios of PM/SA and UT/SA were calculated. Repeated one-way ANOVA was used to determine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uscle activity of the SA and PM (p<.05). Specifically, SA had the highest activity and PM had the lowest activity at an abduction resistance 10kg (p<.0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atios of UT/SA and PM/SA (p<.05). The ratio of PM/SA was the lowest at the abduction resistance of 10kg (p<.01). Conclusion: According to this study, for the selective activation of the serratus anterior, protraction exercises should be applied as a method of adding resistance to protraction and horizontal abdu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