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크레인 설계 규정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9초

해상 상태를 고려한 모바일하버용 크레인의 구조최적설계 (Structural Optimization of the Mobile Harbor Carne Considering Sea State)

  • 이재준;임원종;정성범;정의진;박경진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5권1호
    • /
    • pp.27-36
    • /
    • 2012
  • 모바일하버는 선박의 대형화로 인하여 항만에 접안 및 정박이 불가능하거나 선박의 접안 대기시간이 길어지는 경우 등 항만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시된 새로운 개념의 시스템이다. 이 새로운 시스템은 해상에 있는 선박에 다가간 후, 모바일하버에 설치된 크레인을 이용하여 선박에 컨테이너를 직접 상, 하역작업을 하도록 고안되었다. 모바일하버용 크레인은 컨테이너를 이송하는 장치로써 그 중요성이 매우 크다.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하버용 크레인의 형태들을 제시하고 각 형태에 따른 구조최적설계를 실시하였다. 불안정한 해상으로부터 발생되는 횡동요 및 종동요와 바람에 의한 풍하중을 최적설계의 하중조건으로 하였다. 또 한국선급 및 각각의 규정들을 최적설계의 제한조건으로 하여 규정을 만족하면서 경량화된 크레인 구조를 최적화하였다.

Offshore bridge crane의 설계 기초값 산출을 위한 전용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Exclusive System for Basic Design of Offshore Bridge Crane)

  • 박세명;이원규
    • 한국기계가공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85-91
    • /
    • 2012
  • Offshore Bridge Crane and Hoist which are used FPSO Ships that can move through self - power and have oil production, store and loading and unloading facilities are increasing demand. These equipments must use Crane safely by pitch and rolling of the high wave. For this, they have to be equipped with high durability and safety. So the advanced shipbuilding industries use a private design system which can be prompt in design and analyze in the first stage. For this study, It was developed a basic design system for "Bridge Crane and Hoist" used on FPSO ships. By developing this automated system for "Bridge Crane and Hoist" design, we will be able to make the design data easy to understand. This basic design system will help reduce the amount of working time it takes to design new systems, construct design databases and get approval for the finished design.

중.저준위방사성폐기물 IP-2형 운반용기 요건 및 평가방안

  • 정성환;최승호;노명섭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2006년도 학술논문요약집
    • /
    • pp.327-328
    • /
    • 2006
  • 중 저준위방사성폐기물(이하, '방폐물'이라 함)을 처분시설로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운반하기 위하여 원자력법[1][2] 및 IAEA 안전운반규정(3) 등 국내외 관련규정의 기술기준을 만족시키는 안전성이 확보된 운반용기를 사용하여야 한다. 방폐물이 저준위비방사능(LSA: Low Specific Activity)물질 또는 표면오염물체(SCO; Surface Contaminated Object)로 분류되고 전용상태로 운반되는 경우는 거의 IP-2형 운반용기를 이용하여 운반하는 것이 가능하다. 방폐물 처분시설이 경주의 임해지역에 건설되어 운영된 것이므로 일부를 제외한 대부분의 방폐물은 IP-2형 운반용기에 적재하여 전용선박을 이용하여 해상으로 운반하게 된다. 전용선박은 크레인을 이용하여 화물을 선적하고 하역하는 Lo/Lo(Lift-on/Lift-off) 방식으로 IMO 규정 및 국내 선박법에 따라 국내에서 설계, 건조될 예정이며, 선박의 규모는 총 톤수 약 2,000톤이며, 약 1,600드럼의 방폐물을 적재할 수 있다. 여기서는 방폐물의 해상운반을 위한 IP-2형 운반용기에 대한 요건 및 관련규정에 따른 기술기준을 입증하기 위한 건전성 평가방안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