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크레이들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6초

샌드위치 복합재로 구성된 CT(Computed Tomography) 장비 Cradle 제작기술 및 X선 투과성능 평가 (Manufacturing Technology and Evaluation for X-ray Transmission Performance of CT Cradle composed of Sandwich Composites)

  • 이상진;김종철;김민우;박자연
    • Composites Research
    • /
    • 제22권6호
    • /
    • pp.13-17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 단층촬영 장비의 크레이들에 대한 샌드위치 복합재 3차원 형상을 결정하였고,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구조성능 기준을 만족하는 적층 패턴을 제안하였으며, 균일한 X선 투과 성능을 만족하는 생산공법을 제안하였다. 크레이들 설계는 다른 부품과의 공간, 고정 방법, 헤드레스트 부품과의 조립조건을 고려하였다. 정해진 위치에 135 kg 하중이 가해질 때, 크레이들 끝단부 처짐이 20 mm 이하인 기준을 만족하는 적층패턴을 결정하였다. 생산공법 측면에서 우선 카본 소재/폴리에스터 수지로 핸드레이업을 하였으나, 기포 및 과잉수지로 불균일한 X선 투과성능을 보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첫 번째 층은 동일소재를 인퓨전 공법으로 하고 나머지 층은 카본 소재/에폭시 수지의 프리프레그 적용으로 X선 투과성능을 개선하였다.

CRAY 슈퍼컴퓨터

  • 정봉화
    • 전산구조공학
    • /
    • 제5권2호
    • /
    • pp.37-42
    • /
    • 1992
  • 크레이 리서치(Cray Research Inc.)는 1972년 미국의 Seymour Cary가 슈퍼컴퓨터의 설계, 제작, 판매 및 기술지원을 목표로 Wisconsin주 Chippew Fall에 설립한 회사로, 혀재까지 세계 각지에서 300여 시스템을 공급한 슈퍼컴퓨터의 선두주자이다. 슈퍼컴퓨터의 역사를 이야기 할 때 크레이의 역사를 빼놓을 수 없을 정도로, 크레이 리서치는 1976년 세계최초의 슈퍼컴퓨터인 CRAY-1 시스템을 발표한 이래 끊임없는 연구노력을 경주하여, 1982년에 CRAY X-MP 시스템, 1985년에 CARY-2 시스템, 1988년에 CRAY Y-MP 시스템, 1992년에 CRAY C-90 시스템을 발표하였으며, 이들 시스템들은 각각 당 시대에 세계 최고의 성능을 지닌 슈퍼컴퓨터로 공인되어져 왔다.

  • PDF

수퍼컴퓨터의도입과 활용전망-초당 20억회의 계산능력

  • 양영규
    • 정보화사회
    • /
    • 통권5호
    • /
    • pp.36-38
    • /
    • 1988
  • 우리나라 기초과학의 육성과 첨단산업기술의 개발을 위해 활용되어질 국내 최초의 수퍼 컴퓨터가 미국 크레이 리서치사이- "CR-AY -2/4-128" 시스팀으로 선정되었다. 수퍼컴퓨터의 성능과 활용분야를 알아본다.

  • PDF

전지구 예보모델의 대기-해양 약한 결합자료동화 활용성에 대한 연구 (Application of Weakly Coupled Data Assimilation in Global NWP System)

  • 윤현진;박혜선;김범수;박정현;임정옥;부경온;강현석
    • 대기
    • /
    • 제29권2호
    • /
    • pp.219-226
    • /
    • 2019
  • Generally, the weather forecast system has been run using prescribed ocean condition. As it is widely known that coupling between atmosphere and ocean process produces consistent initial condition at all-time scales to improve forecast skill, there are many trials on the application of data assimilation of coupled model. In this study, we implemented a weakly coupled data assimilation (short for WCDA) system in global NWP model with low horizontal resolution for coupled forecast with uncoupled initialization, following WCDA system at the Met Office. The experiment is carried out for a typhoon evolution forecast in 2017. Air-sea exchange process provides SST cooling and gives a substantial impact on tendency of central pressure changes in the decaying phase of the typhoon, except the underestimated central pressure. Coupled data assimilation is a challenging new area, requiring further work, but it would offer the potential for improving air-sea feedback process on NWP timescales and finally contributing forecast accuracy.

이런과학자, 저런 기술자 - 기행의 공학자 '시모어 크레이'

  • 현원복
    • 과학과기술
    • /
    • 제30권3호통권334호
    • /
    • pp.32-34
    • /
    • 1997
  • 그는 기자들의 인터뷰 요청을 번번이 거절하고 고객의 방문도 받아들이지 않았다. 마지못해 중요한 고객과 만나는 경우에도 간이식당으로 데려가서 앉혀 놓고 핫도그를 게걸스레 먹은 뒤 미안하다는 말 한마디만 남기고 부리나케 연구실로 되돌아 갔다. 인류 최초의 슈퍼컴퓨터를 설계 제작한 '치피와폴즈(미국 위스콘신주의 작은 도시이름)의 마술사'이며 전설적인 전기공학자 시모어 크레이는 슈퍼컴퓨터에 큰 이름을 남기고 1996년 10월 미국 콜로라도주 콜로라도 스프링에서 자동차사고로 별세했다. 향년 71세.

  • PDF

충돌 입자의 크기에 따른 알루미늄 합금과 적외선창의 입자침식 저항성 연구 (Research about Size Effect of Solid Particles on Erosion Resistance of Aluminum Alloy and Infrared Windows)

  • 홍윤기;문관호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4권12호
    • /
    • pp.1027-1034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실험적 연구를 통해 고체 입자의 크기가 입자 침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논하였다. 고밀도 폴리에틸렌 입자를 최고 속도 마하 3으로 이단 가스건을 이용해 발사하였다. 발사된 입자를 Al1050, Al6061 T6 알루미늄 합금과 ZnS, 사파이어 적외선창 시편과 충돌시켜 입자침식을 일으켰다. 알루미늄 합금의 표면에는 크레이터가 생성되었다. 크레이터의 크기를 통해, 알루미늄 합금의 입자침식 저항성을 살펴보았다. 적외선창은 시편 표면에 크랙이 생성될 때까지 반복해서 시험하였다. 이를 통해 적외선창의 입자침식 저항 특성을 나타내는 충돌 임계 곡선을 정의할 수 있었다. 다양한 크기의 고체 입자를 이용한 입자침식 시험을 통해, 고체 입자의 크기가 재료의 입자침식 저항성에 선형적으로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달충돌실험(LCROSS) 한국 지상관측 결과

  • 최영준;임홍서;문홍규;성언창;이덕행
    • 한국우주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한국우주과학회보)
    • /
    • 한국우주과학회 2010년도 한국우주과학회보 제19권1호
    • /
    • pp.27.2-27.2
    • /
    • 2010
  • 미국 NASA의 LCROSS(Lunar CRater Observation Sensing Satellite) 위성의 달 충돌실험 지상관측 캠페인의 일환으로 한국천문연구원에서는 보현산과 레몬산에서 2009년 10월 9일 충돌관측을 실시하였다. 충돌 시점의 섬광 관측을 위해서는 레몬산 1m 망원경에 ND 필터를 장착하여 drift scan 방식으로 관측하고, 충돌로 인한 물 분자 등의 흔적을 찾아보기 위해서는 보현산 1.8m 망원경 긴슬릿 분광기를 이용하였다. 물이 많이 존재할 가능성이 보다 높은 Cabeus A 크레이터로 충돌 지점이 변경되어, 기하학적인 이유로 지구상에서는 충돌 섬광이 관측된 곳은 없었으나 보현산 긴슬릿 분광기를 이용한 관측에서는 월출부터 4시간 30분 동안 분광자료를 성공적으로 획득하였다. 이 발표에서는 보현산 망원경의 긴슬릿 분광 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제시할 예정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