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큐 손실

Search Result 83, Processing Time 0.056 seconds

A Study on the Queue Structure for the Enhancement of the Cell Loss QoS (셀 손실 QoS향상을 위한 큐 구조에 관한 연구)

  • 이영교;안정희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Industry Society
    • /
    • v.3 no.1
    • /
    • pp.19-26
    • /
    • 2002
  • This paper propose the queue structure of cell buffering in the output buffer of ATM switch for the traffic with the different QoS. The proposed queue structure can minimize the cell loss ratio of bursty traffic, maximize the queue utilization through the sharing of real-time queue and non-real-time queue. To evaluate the proposed queue structure, we compare the CLP and cell average delay of the proposed queue and fixed queue using the bursty traffic patterns.

  • PDF

VQS4 Mechanism for the Priority Control in ATM Traffic (ATM 트래픽 성능향상을 위한 대기행렬구조의 제안 및 평가)

  • 안정희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Conference
    • /
    • 1998.10a
    • /
    • pp.147-150
    • /
    • 1998
  • ATM 환경의 다양한 QOS를 갖는 트래픽의 우선순위제어를 위해, ATM 스위치의 출력 버퍼에 저장되는 셀의 큐메카니즘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큐 방식은 가변큐공유(VQS4 : Variable Queue Sharing with 4 queue)방식으로서 기존의 고정 큐 방식의 문제점인 버스트 트래픽으로 인한 큐 오버플로우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CBR 큐, VBR-rt큐, VBR_nrt 큐, ABR 큐의 영역을 가변적으로 공유하여 큐 자원의 이용율을 최대화시킴으로써 순간 버스트 트래픽 유입으로 인한 셀손실율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한다. VQS4 방식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버스트 특성이 강한 트래픽 패턴을 이용하여 고정 큐를 이용한 HOL과 제안 방식인 VQS4의 셀손실률 및 평균 지연률을 비교하였으며 시뮬레이터는 Visual Slam 2.0(AweSim)을 이용하여 작성했다.

  • PDF

A simple method for reducing the complexity of EPLA packet scheduling algorithm (EPLA(Expected Packet Loss Amount) 패킷 스케쥴링 알고리즘의 복잡도를 줄이는 간단한 방법)

  • Lee, Young-Du;Nhan, Nguyen Thanh;Koo, In-So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10b
    • /
    • pp.511-512
    • /
    • 2008
  • EPLA 패킷 스케줄링 알고리즘은 IEEE 802.22 WRAN 시스템의 실시간 트래픽 전송 지원을 위한 패킷 스케줄링 알고리즘으로 참고문헌[4]으로 제안되었다. 패킷 기반 무선 전송 시스템에서 실시간 트래픽의 경우 짧은 데이터 유효 시간을 가지며, 만약 데이터 유효 시간이 초과할 경우 실시간 트래픽 데이터로써의 가치를 상실하기 때문에 시스템에서는 해당패킷을 전송하지 않고 제거해 버린다. 그러므로 실시간 트래픽의 중요한 서비스 품질(QoS) 인자인 요구된 패킷 손실율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실시간 트래픽의 데이터 유효 시간을 고려하여 자원을 할당하여야 한다. 기존의 패킷 스케쥴링 알고리즘들은 많은 경우 큐의 맨 앞에 위치한 패킷의 지연 시간을 고려하지만 EPLA는 패킷이 저장되는 큐 내의 다음 프레임에서 제거 될 것으로 예상되는패킷의 손실양을 고려하여 자인을 할당함으로 기존의 실시간 패킷 스케줄링 알고리즘에 비해 훨씬 좋은 성능을 보인다. 하지만 EPLA는 예상되는 패킷 손실양을 계간하기 위해서 모든 사용자의 큐에 저장된 패킷들을 확인해야하므로 높은 복잡도를 가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각 사용자로부터 피드백 받은 부채널의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큐를 확인하여 횟수를 제한함으로써 패킷 손실을 성능의 손실 없이 복잡도를 줄이는 간단한 방법을 제안하고, 실시간 트래픽인 음성 트래픽과 비디오 트래픽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해 이를 확인한다.

  • PDF

A Sender-based Packet Loss Differentiation Algorithm based on Estimating the Queue Usage between a TCP sender/receiver (TCP 송수신자간의 큐사용률 추정을 이용한 송신자 기반의 패킷손실 구별기법)

  • Park, Mi-Young;Chung, Sang-Hwa;Lee, Yun-Sung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6 no.1
    • /
    • pp.133-142
    • /
    • 2011
  • When TCP operates in multi-hop wireless networks, it suffers from severe performance degradation due to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wireless networks and wired networks. This is because TCP reacts to wireless packet losses by unnecessarily decreasing its sending rate assuming the losses as congestion losses. Although several loss differentiation algorithms (LDAs) have been proposed to avoid such performance degradation, their detection accuracies are not high as much as we expect. In addition the schemes have a tendency to sacrifice the detection accuracy of congestion losses while they improve the detection accuracy of wireless losses. In this paper, we suggest a new sender-based loss differentiation scheme which enhances the detection accuracy of wireless losses while minimizing the sacrifice of the detection accuracy of congestion losses. Our scheme estimates the rate of queue usage which is highly correlated with the congestion in the network path between a TCP sender and a receiver, and it distinguishes congestion losses from wireless losses by comparing the estimated queue usage with a certain threshold. In the extensive experiments based on a network simulator, QualNet, we measure and compare each detection accuracy of wireless losses and congestion losses, and evaluate the performance enhancement in each scheme. The results show that our scheme has the highest accuracy among the LDAs and it improves the most highly TCP performance in multi-hop wireless networks.

A Packet Dropping Algorithm based on Queue Management for Congestion Avoidance (폭주회피를 위한 큐 관리 기반의 패킷 탈락 알고리즘)

  • 이팔진;양진영
    •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
    • v.3 no.6
    • /
    • pp.43-51
    • /
    • 2002
  • In this paper, we study the new packet dropping scheme using an active queue management algorithm. Active queue management mechanisms differ from the traditional drop tail mechanism in that in a drop tail queue packets are dropped when the buffer overflows, while in active queue management mechanisms, packets may be dropped early before congestion occurs, However, it still incurs high packet loss ratio when the buffer size is not large enough, By detecting congestion and notifying only a randomly selected fraction of connection, RED causes to the global synchronization and fairness problem. And also, it is the biggest problem that the network traffic characteristics need to be known in order to find the optimum average queue length, We propose a new efficient packet dropping method based on the active queue management for congestion control. The proposed scheme uses the per-flow rate and fair share rate estimates. To this end, we present the estimation algorithm to compute the flow arrival rate and the link fair rate, We shows the proposed method improves the network performance because the traffic generated can not cause rapid fluctuations in queue lengths which result in packet loss

  • PDF

End-to-End QoS-aware Active Queue Management for Multimedia Services (멀티미디어를 위한 종단간 QoS-aware 능동적인 큐 관리 방안)

  • Kim, Hyun-Jong;Ham, Kyeong-Gon;Cho, Kee-Seong;Choi, Seong-G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0.07a
    • /
    • pp.349-352
    • /
    • 2010
  • 본 논문에서 우리는 DiffServ 환경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요구하는 품질 수준을 고려하는 QoS-aware AQM(Active Queue Management) 방안을 제안한다. 지연과 손실에 민감한 IPTV 및 VoIP와 같은 실시간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사용 증가로 인해 QoS 제공은 필수적이며, 이에 따라 응용계층에서 명시된 QoS 요구 수준을 네트워크 계층에서 인식하여 전달망에서 QoS를 제공할 수 있는 큐 관리 방안이 필요하다. 기존 DiffServ의 수정된 DSCP 필드를 이용하여 요청된 QoS 품질 정보를 네트워크 장비에 전달하고 해당 서비스의 지연 및 손실률 요구 수준에 대한 threshold margin을 도출하고 이 범위 내에서 큐의 임계값을 능동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종단간 IPTV 및 VoIP와 같은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QoS를 보장할 수 있다.

  • PDF

A New Queue Management Algorithm for Congestion Control in Internet Routers (인터넷 라우터의 혼잡제어를 위한 새로운 큐 관리 알고리즘)

  • 구자헌;송병훈;정광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10c
    • /
    • pp.490-492
    • /
    • 2000
  • 기존의 인터넷 라우터는 Drop tail 방식으로 패킷을 관리한다. 따라서 네트워크 트래픽의 지수적인 증가로 인한 혼잡 상황으로 발생하는 패킷 손실을 해결할 수 없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에서는 RED(Random Early Detection)와 같은 능동적인 큐 관리 알고리즘을 제시하였다. 하지만 RED는 동적으로 변화하는 인터넷 트래픽에 대하여 단지 큐 크기의 변화 정보를 얻어 혼잡 상황을 제어하기 때문에 성능에 있어는 매우 비효율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RED를 개선한 MRED를 제안했다. MRED는 RED에 비하여 휴리스틱한 방법을 이용하여 폐기 확률 값을 계산하고, 이를 실험을 통하여 MRED의 성능을 검증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QoS of Real-Time Traffic in Bursty Queueing Scheme (버스트 큐잉 구조에서 실시간 트래픽 QoS에 관한 연구.)

  • Kim, Gwang-Joon;Jang, Hyok;Na, Sang-Dong;Bae, Chul-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1999.11a
    • /
    • pp.401-405
    • /
    • 1999
  • 본 논문은 실시간성 서비스인 버스트 트래픽을 갖는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망에서 실시간 연결 수락 제어를 위한 종단간의 지연보장을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실시간 서비스 트래픽 서비스 품질의 성능에 대해 분석하였다. 셀 손실 확률은 QoS(Quality of Service)의 기준이 되므로 제안된 실시간 알고리즘은 일정한 버퍼 메모리 크기와 연결 요청에 대한 수락 여부 즉, 연결 수락 여부의 결정을 위한 하나의 큐잉 서비스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트래픽 소스 각 타입에 대한 초과된 셀에 대한 셀 손실 확률은 트래픽 소스 타입 전체에 하나만 존재하더라도 요구를 충족시킬 수 없으므로, 본 논문에서 제안된 버스트 트래픽 특성에 따라 지연보장 알고리즘을 이용한 큐 서비스 방식은 기존의 종단간 지연 보장 알고리즘들에서 사용하던 씬 정렬을 이용하지 않고 몇 개의 FIFO 큐로 구성된 라운드로빈 큐를 이용하여 복잡성을 크게 감소시켰으며 실시간 서비스와 비실시간 서비스의 서비스방식을 효과적으로 결합하여 다양한 QoS를 보장해야 하는 ATM망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고 제안된 알고리즘에 산출되는 각각의 셀 손실 확률에 충분한 상한선을 제공하는 전형적인 매개변수를 사용하여 성능을 분석한다.

  • PDF

Internet Congestion Control Using Queue Prediction (큐 예측을 통한 인터넷 혼잡 제어)

  • 권성기;장봉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c
    • /
    • pp.301-303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 혼잡제어를 위한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라우터 큐에 예측제어함수를 적용하여 미래의 혼잡상황을 예측하고 소스에게 미리 피드백을 수행하여 혼잡제어를 한다. 예측제어함수는 실제 큐와 예측된 큐의 오차를 계산하여 주기적으로 예측함수를 갱신하는 NLMS 방식의 예측제어함수를 적용한다. 피드백 정보의 전송지연으로 인한 혼잡상황 악화가 발생하기 전에 혼잡상황에 대응할 수 있으므로 라우터 버퍼 사용효율의 최적함을 유지할 수 있으며 버퍼 오퍼플로우로 발생하는 패킷의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다. 혼잡상황을 야기하도록 과도한 트래픽을 생성하여 라우터에서 예측함수를 적용하는 경우와 단지 혼잡알림제어를 수행하는 경우를 비교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예측함수를 적용하는 경우는 시스템 성능효율을 증가시키며 라우터 버퍼 크기를 최적하게 사용할 뿐만 아니라 오퍼플로우가 발생하지 않았으나 예측함수를 적용하지 않고 혼잡알림제어를 수행하는 경우는 과도한 큐 크기와 오버플로우가 발생하였음을 시뮬레이션을 통해서 보인다.

  • PDF

Design of Active Queue Management Control System Based on Wavelet Neural Network (웨이블릿 신경 회로망에 기반한 능동 큐 관리 제어 시스템 설계)

  • Kim, Jae-Man;Park, Jin-Bae;Choi, Yoon-H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5.07d
    • /
    • pp.2720-2722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웨이블릿 신경 회로망에 기반을 둔 능동 큐 관리(Active Queue Management) 제어 시스템을 설계하는 것을 제안한다. 제안한 제어 시스템에서 웨이블릿 신경 회로망은 능동 큐 관리를 위한 제어기로 사용한다 TCP 동적 모델의 실제 출력, 큐의 길이와 웨이블릿 신경 회로망을 이용한 출력의 오차가 최소화가 되도록 웨이블릿 신경 회로망의 파라미터 값들을 변화시키며 각각의 파라미터 값들은 경사 하강법을 통해 학습시킨다. 마지막으로 제안한 방법은 모의실험을 통해 패킷 손실률과 큐의 길이의 관점에서 제안한 방법의 향상성을 보이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