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퀘르세틴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31초

루틴, 퀘르세틴, 식이섬유 혼합물 설계를 이용한 전분소화 지연 효과의 최적화에 대한 융합 연구 (Convergence Study on the Optimization for Suppression of Starch Hydrolysis using Rutin, Quercetin and Dietary Fiber Mixture Design)

  • 오임경;배인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35-41
    • /
    • 2020
  • 본 연구는 루틴, 퀘르세틴, 식이섬유가 전분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을 통계적 혼합물 설계방법을 이용하여 확인하고자 하였다. 세 가지 성분들은 모두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전분소화 지연 효과가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도 퀘르세틴과 식이섬유가 함께 섞였을 때 가장 높은 지연 효과를 보였다. 이 혼합물 설계는 simplex-centroid 실험설계법을 이용하였고, 최적 모델은 quadratic 모델에서 나타났다. 이때 얻어진 회귀방정식을 통하여 유의한 상승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최적화 통계 방법을 사용하여 혼합비를 분석한 결과 퀘르세틴과 식이섬유가 72: 28 비율에서 전분 소화 지연 효과가 최대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전분소화에 대한 영향을 3차원 표면 도표로 시각화하여 나타내었으며, 이 결과로 퀘르세틴과 식이섬유의 상호작용으로 인하여 전분 소화를 15% 이상 지연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헛개나무과병추출물 중 퀘르세틴 분석 (Analysis of quercetin in extract of Hovenia dulcis Thunb)

  • 허수정;오재명;오현숙;문명희;배윤영;이성혜;김지안;구용의
    • 분석과학
    • /
    • 제29권6호
    • /
    • pp.255-260
    • /
    • 2016
  •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에 따라 건강기능식품이란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한 식품을 말한다. 또한, 건강기능식품은 고시화한 원료와 영업자가 개별적으로 신청한 개별인정형 원료로 나누어진다. 그 중 개별인정형 원료의 시험법은 고시화를 위해 표준화가 필요하며 2가지 이상의 원료가 복합적으로 혼합되어 제조될 경우 제품에 대한 적용성 검토가 요구된다. 개별인 정형 원료 중 헛개나무과병추출물의 지표성분인 퀘르세틴을 대상으로 전처리방법을 표준화하였으며, 표준화한 퀘르세틴 시험법의 밸리데이션을 수행한 결과 회수율은 97.1~105.4%, 표준편차는 1.15~3.11%였다. 검량선의 직선성은 결정계수($R^2$)가 0.999 이상을 나타냈고 검출한계는 $0.12{\mu}g/mL$, 정량한계는 $0.36{\mu}g/mL$를 나타냈다. 표준화한 퀘르세틴 시험법의 적용성 검토를 위해 헛개나무과병추출물의 유통제품을 수거하여 분석한 결과, 퀘르세틴 표시 함량 대비 82.5~105.1%로 적합하였다.

감마선 조사로 유도된 간세포와 조혈계 손상 마우스에서 퀘르세틴 투여 후의 방사선방호 효과 (Radioprotective Effect of Quercetin Post-Treatment against γ-Irradiation-Induced Hepatocellular and Hematopoiectic System Damage in Mice)

  • 강정애;윤선혜;노종국;최대성;장범수;박상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7호
    • /
    • pp.970-974
    • /
    • 2015
  • 본 연구는 BALB/c 마우스에서 감마선 조사 후 퀘르세틴을 7일 동안 경구 투여하여 감마선 조사로 인한 조혈계 및 간세포 손상에 대한 방사선 회복 효과를 검토하였다. 퀘르세틴을 투여한 군은 감마선 조사군에 비해 비장 및 흉선 지수, 백혈구 수치가 증가하여 조혈 면역계 손상에 대해 보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ALT와 AST의 활성도 감마선 조사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간세포 손상에 대한 보호 효과를 확인하였다. 방사선 조사에 의해 체내에서 생성된 자유라디칼은 생체물질과 결합하여 지질과산화를 일으키고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도하여 조직을 손상시킨다. 퀘르세틴을 투여한 군의 지질과산화는 감마선 조사군에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나 방사선에 의한 장애를 감소시켰으며, 항산화 효소도 감마선 조사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생체 내 항산화 활성도 회복시켰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방사선 조사후에 퀘르세틴의 투여는 방사선에 의한 조혈계 및 간세포 손상에 대해 회복 효과가 있어 방사선 보호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TREK-1 채널에 대한 플라보노이드의 효과 (The effect of flavonoids on the TREK-1 channel)

  • 김양미;김경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2660-2667
    • /
    • 2011
  • TREK-1 채널은 two-pore 도메인 포타슘 (K2P) 채널로서 세포내 pH, 세포막의 신전, 불 포화 지방산, 온도, 휘발성 마취제, 신경세포방어물질에 의해 잘 조절된다. TREK-1 채널은 포타슘 이동에 의해 신경세포의 흥분성과 안정막전압을 조절한다. 최근 TREK-1은 전립선 암세포에서도 과발현됨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TREK-1 채널에 대한 플라보노이드 효과는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기생리학적 방법 중의 하나인 excised inside-out patch기법을 이용하여 TREK-1 채널을 조절하는 플라보노이드를 탐색하는 것이다. TREK-1 채널이 발현된 CHO 세포에서 단일채널 팻취고정 방법을 이용하여 커큐민 (curcumin), EGCG (epigallocatechin-3-gallate), 퀘르세틴 (quercetin)에 의한 TREK-1 채널의 차단효과를 증명하였다. 퀘르세틴과 커큐민의 차단효과는 가역적으로 회복되었으나 EGCG는 거의 회복되지 않았다. 퀘르세틴, EGCG, 커큐민의 상대적 채널 활성도 (relative channel activity)는 $73{\pm}2.3%$ (n=5), $91{\pm}3.2%$ (n=7), $94{\pm}5.6%$ (n=4)까지 감소하였다. CHO 세포에 발현된 TREK-1 채널에 대한 커큐민, 퀘르세틴, EGCG의 $IC_{50}$는 각각 $1.04{\pm}0.19\;{\mu}M$, $1.13{\pm}0.26\;{\mu}M$, $13.5{\pm}2.20\;{\mu}M$ 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플라보노이드가 TREK-1 채널을 억제하며, 이 조절은 신경계 또는 종양세포에서 플라보노이드의 약리학적 작용 중의 하나임을 제시한다.

퀘르세틴 및 퀘르세틴 배당체들의 벤조피렌에 대한 유전독성억제효과 (Antigenotoxicity of Quercetin and Its Glycosides Against Benzo(a)pyrene-induced Genotoxicity)

  • 김정한;허문영
    • 약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414-421
    • /
    • 1998
  • In order to compare the suppressive effect of quercetin and its glycosides, such as quercitrin (quercetin-3-rhamnoside), isoquercitrin (quercetin-3-glucoside), hyperin (querceti n-3-galactoside)and rutin (quercetin-3-rhamnosyl glucoside), on the genotocicity by benzo(a)pyrene(B(a)P), in vitro sister chromatid exchange(SCE) test using mouse spleen lymphocytes and in vivo micronucleus test using mouse peripheral blood were performed. B(a)P-induced SCEs in vitro were slightly decreased by the simultaneous treatment of quercetin and its glycosides,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ecrease. On the other hand, MNU induced micronucleated reticulocytes(MNRL7s) in vivo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a dose-dependent manner in all compounds tested. However,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quercetin aglycone and glycosides in the suppressive effects under experimental condition of this study. To elucidate, the action mechanism of quercetin aglycone and its glycosides against B(a)P-induced genotoxicity, the assay of DNA binding with B(a)P was studied. Quercetin aglycone and its glycosides inhibited B(a)P metabolism in the presence of S-9 mix and decreased the B(a)P/DNA binding in the calf thymus DNA with S-9 mix. These results suggest that antigenotoxicity of quercetin antiglycosides on B(a)P-induced genotoxicity is due to decrease of DNA binding with B(a)P through the inhibition of metabolism with B(a)P in the calf thymus DNA. Therefore, quercetin and its glycosides may act as an antigenotoxicity agent and may be useful as a chemopreventive agent of polycyclic aromaic hydrocarbons like B(a)P.

  • PDF

퀘르세틴의 가용화 , 퀘르세틴 및 루틴의 토끼 십이지장 점막 투과성 (Solubilization of Quercetin , and Permeability Study of Quercetin and Rutin to Rabbit Duodenal Mucosa)

  • 전인구;서은하
    • 약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59-69
    • /
    • 1998
  • To increase the solubility of quercetin, which is a practically insoluble flavonoid of Ginkgo biloba leaf, the effects of nonaqueous vehicles. Their cosolvents, water-sol uble polymers and modified cyclodextrins (CDs) were observed. Polyethylene glycols, diethyleneglycol monoethyl ether, and their cosolvents with water showed a good solvency toward quercetin. Also the aqueous solutions of povidone, copolyvidone and Cremophor RH 40 was effective in solubilizing quercetin. Complex formation of quercetin with ${\beta}$-cyclodextrin (${\beta}$-CD), dimethyl-${\beta}$-cyclodextiin (DMCD), 2-hydroxypropyl-${\beta}$-cyclodextrin (HPCD) and ${\beta}$-cyclodextrin sulfobutyl ether (SBCD) in water was investigated by solubility method at $37^{\circ}C$. The addition of CDs in water markedly increased the solubility of quercetin with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AL type phase solubility diagrams were obtained with CDs studied. Solubilizaton efficiency by CDs was in the order of SBCD >> DMCD > HPCD > ${\beta}$-CD. The dissolution rates of quercetin from solid dispersions with copolyvidone, povidone and HPCD were much faster than those of drug alone and corresponding physical mixtures, and exceeded the equilibrium solubility (3.03${\pm}1.72{\mu}$g/ml). The permeation of quercetin through duodenal mucosa did not occur even in the presence of enhancers such as bile salts, but the permeation was observed when the mucus layer was scraped off. This was due to the fact that quercetin had a strong binding to mucin ($58.5{\mu}$g/mg mucin). However rutin was permeable to the duodenal mucosa. The addition of enhancer significantly increased the permeation of rutin in the order of sodium glycocholate.

  • PDF

LED 광 조건에 따른 메밀 새싹의 생육 및 기능성 물질 분석 (Effects of LED Light Conditions on Growth and Analysis of Functional Components in Buckwheat Sprout)

  • 전아영;김기현;권수정;;조성우;우선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0권3호
    • /
    • pp.388-393
    • /
    • 2015
  • 메밀 새싹 채소 재배 시 광 조건에 따른 생육 차이는 일반 메밀 새싹과 쓴 메밀 새싹의 품종에 관계없이 암 조건, 적색광, 청색광, 혼합광(청색 + 적색 + 백색), 자연광 순으로 나타났다. 루틴의 함량 차이는 메밀 새싹에서 루틴 함량차이는 일반 메밀 새싹 보다 쓴 메밀 새싹에서 더 높았다. 일반 메밀 새싹과 쓴 메밀 새싹 모두에서 자연광, 혼합광(청색 + 적색 + 백색), 청색광, 적색광, 암조건 순으로 나타났다. 자엽과 배축의 경우에는 자엽에서 배축보다 6배 가량 높게 나타났다. 퀘르세틴 함량은 일반 메밀 새싹에 비해 쓴 메밀 새싹의 함량이 10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광 조건에 따른 함량 차이는 자연광에서 가장 높았고 다음 혼합광, 적색광, 청색광 순이고 암 조건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자엽과 배축의 경우에는 자엽에서 배축보다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메밀 새싹 채소의 클로로겐산은 일반 메밀 새싹과 쓴 메밀 새싹의 함량 차이가 비교적 작았다. 광 조건에 따른 차이는 자연광에서가장 높았고 LED광에서는 혼합광, 청색광, 적색광 순으고 암 조건에서 가장 낮았다. 루틴과 퀘르세틴과는 다르게 클로로겐산의 경우에는 배축에서 더 많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국내 육성 신품종 포도의 부위별 생리활성 물질의 함량 (Contents of Phenolic Compounds and trans-Resveratrol in Different Parts of Korean New Grape Cultivars)

  • 장은하;정성민;박교선;임병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708-713
    • /
    • 2013
  • 국내 가공 및 생식용으로 육성된 신품종 포도와 캠벨얼리, MBA 품종의 부위별 레스베라트롤, 카테킨, 에피카테킨, 퀘르세틴, 총 폴리페놀 및 총 안토시아닌 함량을 분석한 결과 품종과 부위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나타났다. 레스베라트롤 함량은 과피에서는 나르샤와 흑보석 품종이, 잎에서는 나르샤 품종이, 송이줄기에서는 MBA 품종이, 전정가지에서는 캠벨얼리, 흑보석 품종이 높았다. 카테킨 함량은 종자와 송이줄기에서 함량이 높았고, 포도 품종 중 종자에서는 MBA 품종이, 송이줄기에서는 MBA, 흑보석 품종이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에피카테킨 함량은 종자와 송이줄기, 전정가지에서만 분석되었으며, 포도 품종 중 종자에서는 MBA 품종이, 송이줄기에서는 캠벨얼리, 나르샤 품종이, 전정가지에서는 캠벨얼리 품종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퀘르세틴 함량은 잎에서만 분석되었으며 포도 품종 중 흑보석과 나르샤 품종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과육을 제외한 나머지 부위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총 안토시아닌 함량은 유색계 포도 중 캠벨얼리를 제외한 나머지 품종에서 높은 함량을 나태었다. 특히 포도 부위별 생리활성 물질을 분석한 결과 가식부위보다 비과식부위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정금나무 열매(Fruit of Vaccinum oldhami)의 분리 정제물(클로로겐산, 퀘르세틴 및 퀘르시트린)에 관한 항산화 및 미백활성 검증 (Antioxidant and Whitening Activities of Chlorogenic Acid, Quercetin, and Quercitrin from the Fruit of Vaccinum oldhami)

  • 채정우;오민정;염현지;이진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15-128
    • /
    • 2023
  • 정금나무 열매(Fruit of Vaccinum oldhami)를 분리 정제하여 클로로겐산(CA), 퀘르세틴(QT) 및 퀘르시트린(QR)을 얻었다. 전자공여능 측정 결과, CA, QT, QR은 각각 1,000 ㎍/ml의 농도에서 91.9%, 89.9%, 77.4%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ABTS+ 라디칼 소거능 측정 결과, QT 및 QR은 1,000 ㎍/ml의 농도에서 각각 99.5%, 91.4%를 나타내었으며, CA는 100 ㎍/ml의 농도에서 90% 이상의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Tyrosinase 억제 활성 측정 결과, CA, QT, QR은 각각 1,000 ㎍/ml이 농도에서 29.5%, 34.7%, 23.7%의 저해율을 나타내었다. MTT assay를 통해 B16F10의 세포 생존율을 측정한 결과, CA, QT, QR 모두 100 ㎍/ml의 농도에서 80% 이상의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단백질 발현을 측정한 결과,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CA에서 TRP-1, TRP-2의 단백질 발현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QT에서는 TRP-1, TRP-2 및 tyrosinase에서 우수한 단백질 발현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CA의 mRNA 발현 억제율을 측정한 결과, MITF의 mRNA 발현 억제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으며, TRP-1, TRP-2 및 tyrosinase의 mRNA 발현량은 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QT는 농도가 증가할수록 MITF, TRP-2, tyrosinase의 mRNA 발현이 감소하였다. QR의 mRNA 발현 억제율을 측정한 결과, 농도가 증가할수록 mRNA 발현량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하의 결과에 따라 CA, QT, QR의 항산화 및 미백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수종 용제 중 퀘르세틴의 용해성 및 안정성 (Solubility and Physicochemical Stability of Quercetin in Various Vehicles)

  • 곽혜선;김혜원;전인구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4권1호
    • /
    • pp.29-34
    • /
    • 2004
  • The solubility and stability of quercetin in various vehicles were determined. The solubility of quercetin at $28^{\circ}C$ increased in the rank order of isopropyl myristate < oleyl alcohol < propylene glycol monolaurate < oleoyl macrogol­6 glycerides < linoleoyl macrogol-6 glycerides < propylene glycol laurate (PGL) < propylene glycol monocaprylate (PGMC) < polyethylene glycol-8 glyceryl linoleate < caprylocaproyl macrogol-6 glycerides < diethylene glycol mono ethyl ether (DGME). The addition of DGME to non-aqueous vehicles such as PGL ad PGMC markedly increased the solubility of quercetin. From the stability studies, it was found that quercetin was unstable due to rapid oxidation by dissoved oxygen. The addition of a combination of ascorbic acid and edetic acid (EDTA) at 0.1 % markedly decreased the degradation rates of quercetin in 40% polyethylene glycol 400 in saline. Quercetin was relatively unstable in non-aqueous vehicles such as PGL and PGMC alone, and PGL-PGMC co-solvent The degradation of quercetin in such non-aqueous vehicles was fast, depending on temperature. The addition of butylated, hydroxytoluene, butylated hydroxyanisole, citric acid and/or EDTA at 0.1 % was effective in retarding the degradation of quercet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