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콘텐츠 인지

Search Result 1,410,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Dicon Report

  • Hwang, Bu-Yeong
    • Digital Contents
    • /
    • no.7 s.158
    • /
    • pp.112-115
    • /
    • 2006
  • 내가 누구인지 말할수 있는 자는 누구인가. 문학에서는 내가 누구인지 스스로 말할수 없어도 큰 문제가 되지 않지만 브랜드에서는 아니다. 내가 누구인지 스스로 말할 수 없다면 아무도 말할 수 없게 된다. 그렇다. 우선 내가 말해야 한다. 내가 누구인지는 내가 무슨 일을 하는가(I am what I do)에 달려 있다. 내가 하는 일이 무엇인지, 어떤 고유한 존재의 의미를 가지는지 미션으로 말하라. 이는 모든 브랜드와 브랜드를 둘러싼 모든 활동의 출발점이다.

  • PDF

Context-aware Mobile AR System for Personalization, Selective Sharing, and Interaction of u-Contents in u-Space (지능형 정보 공간에서 u-콘텐츠의 개인화, 선택적 공유 및 상호작용을 위한 맥락 인식 증강 현실 시스템)

  • Suh, Young-Jung;Park, Young-Min;Shin, Choon-Sung;Yoon, Hyo-Seok;Chang, Yoon-Je;Woo, Woon-Tack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a
    • /
    • pp.598-605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지능형 정보 공간에서의 모바일 증강 현실 기반 환경 제어, u-콘텐츠의 개인화, 선택적 공유 및 협업의 개념을 포함하는 맥락 인식 모바일 증강 현실 (Context-aware Mobile AR) 시스템을 제안한다. 유비쿼터스 컴퓨팅 인프라의 발전으로 눈에 보이지 않는 컴퓨팅 리소스들로부터 획득되는 환경 및 개인의 맥락정보와 u-콘텐츠 활용의 용이성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사용자들이 눈에 보이지 않는 수많은 스마트 오브젝트들을 인지하기가 어려우며, 인터페이스의 복잡성으로 인하여 스마트 오브젝트들을 제어하는 것 역시 쉽지 않다. 또한, 다양한 u-콘텐츠의 획일적인 증강은 사용자에게 혼란만을 가중시키는 문제를 유발한다. 따라서, 제안된 시스템은 맥락 인지 기술과 모바일 증강 현실 기술을 접목하여 개인화된 스마트 오브젝트 컨트롤과 개인화된 u-콘텐츠의 증강 및 선택적인 공유를 가능하게 하고자 한다.

  • PDF

Personalized Recommendation System Design Using Senior Recognition Response and Online Activity History (시니어 인지반응과 온라인 활동 이력을 활용한 개인화 추천 시스템 설계)

  • Yun, You-Dong;Ji, Hye-Sung;Lim, Heui-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6.10a
    • /
    • pp.587-590
    • /
    • 2016
  • 최근 통신 기술의 발달로 온라인을 통한 대규모 콘텐츠의 유통이 가능해졌으나, 사용자들은 수많은 콘텐츠 사이에서 원하는 정보를 찾는 시간이 단축되는 것을 원했다. 이로 인해 다양한 분야에서 개인화된 콘텐츠를 추천해주는 추천 시스템(recommendation system)에 대한 요구가 점차 높아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니어를 위한 추천 시스템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또한, 시니어 세대의 변화에 따라 시니어 관련 콘텐츠 연구도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스마트 기기 및 서비스가 젊은 층에 친화적으로 개발됨으로써 시니어 층의 접근성을 감소시키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신체적 변화를 겪는 시니어 세대 위해 추천 시스템에서 인지반응 데이터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시청하기 적합한 환경을 제공함과 동시에 활동 이력을 중심으로 개인화 추천 시스템을 설계하여 시니어 사용자들의 개념 변화(concept drift) 문제로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콘텐츠를 추천받을 가능성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The Effect of Perceived Anthropomorphic Characteristics on Continuous Usage Inten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Voice Speaker : Based on the Integrated Adoption Model (인공지능 음성 스피커의 의인화 특성 지각 정도가 지속적 이용 의향에 미치는 영향: 통합 수용 모델을 기반으로)

  • Lee, Sungjoo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1 no.11
    • /
    • pp.41-55
    • /
    • 2021
  • AI voice speaker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forming an early market and development for AI-based goods and service with growing attention from many people. In this context, this research examined factors affecting continuous intention of AI voice speaker based on the integrated adoption model, which combined two factors of perceived playfulness and innovation resistance with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It was also examined whether three perceived anthropomorphic features(i.e., perceived rational support, perceived intimacy, perceived cognitive openness) have influences on continuous intention of AI voice speaker. The data was collected by an online-survey and were responses of those who are in their 20s and 30s and have experienced in using AI voice speaker. They were analyzed by using SEM(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showed that all of perceived ease of use,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playfulness and innovation resistance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continuous intention of AI voice speaker. In addition, all of perceived rational support, perceived intimacy and perceived cognitive openness as perceived anthropomorphic features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perceived ease of use,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playfulness. The implications of found results in this research was also discussed.

Design of XR content authoring tool considering elderly healthcare users (고령자인 헬스케어 사용자를 고려한 XR 콘텐츠 저작도구 설계)

  • Sunghee Lee;Jeonghoon Lee;Taehong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3.11a
    • /
    • pp.735-736
    • /
    • 2023
  • 높은 몰입감과 실재감을 제공하는 XR 기술이 고령자들의 인지능력, 주의력, 시각적 기억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며 노인의 건강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본 연구는 인지기능 향상을 위한 XR 융합훈련프로그램에 사용될 콘텐츠 저작 시 젊은이와 노령층의 디지털 격차, 선호도의 차이, 노화에 따른 신체·인지능력의 저하 등 고려해야 할 이슈를 소개하고,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XR 콘텐츠 저작도구를 제안한다.

the 3D Contents DID Image System which Holograms(Clock) (3D 홀로그램을 사용한 (시계)콘텐츠 DID 영상시스템)

  • Yang, Sung-Young;Park, Dea-W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2.10a
    • /
    • pp.139-142
    • /
    • 2012
  • It reflects the value of 2D contents goods. It uses, 3D when holograms DID charm of the goods, the buying power and necessary etc. DID image system are the stamp. 3D holograms and DID image systems, the screen, it plans CMS from the research which it sees and it embodies 3D hologram contents DID image systems. Also charm, also the buying power and analysis, the comparative stamp do satisfaction etc. in about 2D contents and 3D contents and 3D holograms DID.

  • PDF

Study on Contents Production and Effect for according to Medium Characteristic (매체 특성에 따른 콘텐츠 제작 및 효과에 관한 연구)

  • Joo, heon-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3.05a
    • /
    • pp.331-332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매체의 특성에 따른 콘텐츠 제작 효과에 대해서 나타내었다. 콘텐츠를 제작함에 있어서 어떠한 매체를 사용하여 콘텐츠를 제작하는 것이 더 콘텐츠를 잘 활용하여 제작하는 것인지에 대한 콘텐츠 특성을 이해하고 이를 가지고 콘텐츠를 제작하며, 이때 콘텐츠로서 갖는 특성들을 매체별로 나타내었다. 또한 매체의 특성에 따라 매체의 효과에 대해서 나타내었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매체로서 이미지 매체와 영화매체 그리고 연극 매체를 중점으로 미디어들의 효과에 대해서 장점과 단점 그리고 특성들을 다양한 측면에서 고찰하여 나타내었다.

  • PDF

Comparison of Effects of Cognitive Health Promotion Program on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n Elderly depending on Group Size (인지건강증진 프로그램의 집단크기별 효과 비교)

  • Yi, Yeo-Jin;Park, Kwang-Hi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2 no.8
    • /
    • pp.310-317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done by group-based application was to clarify the effect of cognitive health promotion program depending on group size. Data of 377 elderly who had a normal cognitive function was obtained through each health centers located in Incheon city. In the result, there was significant effects on cognition and quality of life, but no effect on depression. Also theres was no difference of the program's effect depending the group sizes. The result of this study would support the program of this study could be provided to more elderly by group-based application.

Escape Theory Approach to Consumers' Belief Biases (소비자의 신념편향에 대한 도피이론적 접근)

  • Han, Woong-Hee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4 no.11
    • /
    • pp.411-421
    • /
    • 2014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cognitive narrowing on the consumers' belief biases in the light of the escape theory. Current study research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gnitive narrowing and the consumers' belief biase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below. The degree of the consumers' belief biases is higher when the degree of the cognitive narrowing is higher than lower. On the basis of this result,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suggested and the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