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콘크리트 배합

검색결과 1,195건 처리시간 0.046초

150MPa 초고강도 콘크리트의 배합 및 재료역학특성 평가 연구 (Evaluation on Mechanical and Mixing Properties of Ultra-high Strength Concrete with fck=150MPa)

  • 강훈;안종문;신성우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13-120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실내 배합 실험을 통하여 150MPa 초고강도 콘크리트의 제반 물성을 평가한 후 150MPa 초고강도 콘크리트제조를 위한 최적 배합 조건을 제시하고자 하며 압축강도, 응력-변형률 관계, 탄성계수와 인장강도, 휨강도 등과 같은 기본적인 재료역학 특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초고강도 콘크리트의 목표 물성으로 배합강도는 150MPa, 슬럼프 플로는 $700{\pm}50mm$를 목표로 정하여 57개의 배합을 실시하였으며, 각각의 배합조건에 따른 물성 및 역학특성을 검토하였다. 실험결과 초고강도 콘크리트는 보통의 고강도 콘크리트보다 매우 큰 점성을 가지므로 이러한 점성과 콘크리트 타설 및 작업성의 상관성을 고려하여 700~800mm 정도의 플로값을 확보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되며, 재령 56일 압축강도를 100%로 할 때 3일은 64%, 7일은 70%, 28일은 약 95% 발현하였다. 150MPa 정도의 초고강도 콘크리트 제조를 위한 단위 시멘트량은 대략 1030~1150kg/$m^3$ 정도이며, 물-결합재비는 12~14%의 범위 내에서 적당하며, 잔골재율은 점성 및 작업성을 고려하여 30~35% 범위 내에서 결정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고가도 플라이애쉬 콘크리트의 장기 강도 특성에 관한 연구 (The Long-Term Strength and the Workability of High-Strength Fly Ash Concrete)

  • 김진근;박연동;성근열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3권4호
    • /
    • pp.107-115
    • /
    • 1991
  • 플라이애쉬를 혼입한 고강도 콘크리트의 초기 및 장기 강도 특성과 작업성 특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강도 수준이 다른 6종류의 기본 배합을 선정하고 각 기본 배합을 선정하고 각 기본 배합에 대하여 플라이애쉬 첨가량을 0, 10, 20, 30%로 변화시켜 가면서 그 특성을 실험하였다. 또한, 고강도 플라이애쉬 콘크리트의 슬럼프 감소현상을 분석하기 위하여 4종류의 배합을 추가하여 실험하였다. 연구 결과, 제2종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한 경우, 플라이애쉬를 10%혼입한 콘크리트는 대부분 28일 이전에 일반 콘크리트보다 높은 강도를 발현하였다. 또한, 플라이애쉬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보통강도 콘크리트의 슬럼프값은 감소하였으며, 고강도 콘크리트의 슬럼프값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더 많은 양의 고유동화제가 사용되었다.

2단계 배합방법으로 제조된 순환굵은골재 콘크리트의 장기재령 역학적 성능 및 내구성 평가 (Evaluation on Long-term Mechanical Performance and Durability of Recycled Coarse Aggregate Concrete Produced by Two-stage Mixing Approach)

  • 허성욱;손정진;정철우;김영찬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10권4호
    • /
    • pp.475-481
    • /
    • 2022
  • 순환골재는 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미세균열 및 순환골재 표면에 존재하는 시멘트 페이스트 성분의 존재로 인해, 천연골재에 비해 높은 흡수율을 가지며, 이로 인해 콘크리트에 골재로서 사용할 경우 작업성 저하, 강도의 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골재의 수급이 점점 어려워지고 있는 현 상황에, 골재 수급의 대안이 될 수 있는 순환골재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방법으로, 본 연구에서는 Tam et al.이 제안한 2단계 배합과정을 활용하였고, 이를 이용해 제조한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탄성계수, 및 염소이온 확산계수를 일반 배합과정을 적용한 천연골재 콘크리트 및 100 % 치환율의 순환골재 콘크리트와 비교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압축강도와 탄성계수는 물시멘트비에 관계없이, 2단계 배합방법으로 제작한 순환골재 콘크리트가 일반배합과정으로 배합된 순환골재 콘크리트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천연골재 콘크리트에 근접하는 역학적 성능을 발휘하였다. 그러나 염소이온 확산계수의 경우 순환골재 콘크리트가 천연골재 콘크리트보다 높게 측정되었으며, 2단계 배합과정의 적용에 따른 염소이온 확산계수의 감소는 확인할 수 없어, 2단계 배합이 내구성에는 크게 기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배합설계 조건에 따른 고성능 콘크리트의 조기강도 발현특성에 관한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Properties of Early-Strength for high performance Concrete according to Mix Design)

  • 최성우;유종수;백철우;김정식;류득현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9년도 춘계 학술대회 제21권1호
    • /
    • pp.231-232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고성능 콘크리트의 조기강도 발현 특성에 대한 배합설계의 영향을 검토한 것으로서, 특히 혼화재의 종류 및 사용량에 따른 조기재령에서의 강도발현특성을 검토하여, 고성능 콘크리트의 배합설계시 현장 시공조건에 따른 효율적인 배합설계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PDF

조기강도 발현 롤러다짐 콘크리트의 물리.역학적 성능 평가 (Mechanical and Physical Performance of Ultra Rapid Hardening Roller Compacted Concrete for Pavement)

  • 김준모;강희병;이상우;이수진;박성기;원종필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10년도 춘계 학술대회 제22권1호
    • /
    • pp.283-284
    • /
    • 2010
  • 본 연구는 조기강도 발현 롤러다짐 콘크리트의 물리 역학적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적정 배합비로 도출된 라텍스를 첨가한 조기강도 발현 롤러다짐 콘크리트 배합과 동일한 작업성을 가진 라텍스를 혼입하지 않은 배합의 물리 역학적 성능을 비교 평가하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 라텍스를 첨가한 배합이 라텍스의 공극 충진으로 인한 일체화 거동 효과로 인해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 PDF

온도 변화에 따른 탄소 콘크리트 강도 특성

  • 권성대;이근오;손기상
    • 한국산업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안전학회 2002년도 춘계 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299-303
    • /
    • 2002
  • 콘크리트 구조물은 대형화, 다양화, 고급화되어 특수한 용도로서의 사용이 늘어나고 있다. 여기에 주안점을 두어 탄소를 콘크리트에 혼합했을 때 강도에 미치는 영향과 온도변화에 의한 강도 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시행착오 방법을 사용하여 콘크리트에 배합을 해나가는 과정으로 배합비를 처음 소량에서부터 점점 증가시켜나가는 방법을 택하였다.(중략)

  • PDF

레디믹스트 콘크리트의 배합설계(配合設計)를 위한 컴퓨터의 이용에 관한 연구(研究) (Computer Application in Mix Design of Ready Mixed Concrete)

  • 문한영;최재진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6권1호
    • /
    • pp.69-78
    • /
    • 1986
  • 레디믹스트 콘크리트의 품질은 시멘트의 품질, 골재의 입도 및 표면수 등과 같은 사용재료의 변화에 의하여 크게 변화하므로, 사용재료의 변화상태를 신속히 파악하여 배합계산에 반영함으로써 품질변화를 최대한 방지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레디믹스트 콘크리트의 배합계산에 컴퓨터를 사용함으로써 재료의 변화상태에 따른 배합수정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처리하여 시방배합, 현장배합 및 배치량을 계산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였다.

  • PDF

경량골재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에 대한 시험체 기하학적 특성의 영향 (Influence of Specimen Geometries on the Compressive Strength of 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 심재일;양근혁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4권3호
    • /
    • pp.333-340
    • /
    • 2012
  • 경량골재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에 대한 크기 및 형상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9 배합의 실내 실험과 3 배합의 레미콘 배합을 수행하였다. 콘크리트 배합은 보통중량, 전경량 및 모래경량의 3그룹으로 분류되었다. 각 콘크리트 배합에서 원형 또는 사각형 단면을 갖는 시험체의 형상비는 1.0과 2.0이었다. 시험체의 단면 크기는 각 실내배합에서는 50~150mm, 각 레미콘 배합에서는 50~400mm 범위에 있었다. 실험 결과 경량골재 콘크리트의 균열진전과 국부 파괴영역은 보통중량 콘크리트와 상당히 달랐다. 경량골재 콘크리트에서 균열은 골재를 관통하였으며, 균열의 분포영역은 매우 국부적이었다. 이로 인해, 경량골재 콘크리트의 크기효과는 보통중량 콘크리트에 비해 더 크게 나타났으며, 이 현상은 형상비 1.0보다는 2.0인 시험체에서 더 뚜렷하게 나타났다. 김진근 등의 크기효과 예측모델은 경량골재 콘크리트에서 시험체 단면크기가 150mm 이상일 때 과대 평가하였다. 반면, 압축강도에 대한 시험체 형상의 영향을 보정하기 위해 ASTM 및 CEB-FIP에서 제시한 수정계수는 경량골재 콘크리트에서도 안전측에 있었다.

탄산화에 노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배합설계에 대한 연구 - 유전자 알고리즘 적용성 평가 (Concrete Mixture Design for RC Structures under Carbonation - Application of Genetic Algorithm Technique to Mixture Conditions)

  • 이성칠;;권성준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2권3호
    • /
    • pp.335-343
    • /
    • 2010
  • 콘크리트 내부의 철근부식은 구조물의 안전성에 큰 영향을 주므로, 목표 내구수명동안 구 조물의 성능을 확보하려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 연구는 대도시나 지하구조물에서 중요하게 평가되는 탄산화에 대하여, 유전자 알고리즘을 적용한 콘크리트 배합기법에 대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배합인자에 따른 이산화탄소 확산계수를 문헌조사를 통하여 분석하였으며, 습도를 고려한 최적 함수식을 회귀분석을 통하여 도출하였다. 최적 함수식은 12개의 실험자료에 대하여, 물-시멘트비, 단위 시멘트량, 잔골재율, 단위 굵은골재량, 그리고 상대습도를 포함하도록 고려하였으며, 유전자 알고리즘을 통하여, 주어진 이산화탄소 확산계수에 대한 콘크리트 배합을 도출하였다. 3개의 배합에 대하여 검증한 결과, 10% 미만의 상대오차를 보이며 주어진 배합을 잘 추정하였다. 최종적으로 서로 다른 환경과 설계 제원을 가지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가정하여, 목표 확산계수와 단위 시멘트량을 계산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배합을 추정하였다. 제안된 기법은 주어진 확산계수와 배합을 잘 추정하였으며, 다양한 배합인자 및 혼화재료가 고려된 실험 자료를 이용한다면 더욱 합리적인 배합 기법으로 발전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