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콘칼로리미터

검색결과 156건 처리시간 0.03초

무기 입자 강화제와 브롬(Br) 난연제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복합재료의 난연성 향상에 관한 연구 (Fire Resistance Study of PP Thermoplastic Composites with Particulate Reinforcements and Br Flame Retardants)

  • 곽성복;황성덕;남재도;고재송;최형기
    • 폴리머
    • /
    • 제26권2호
    • /
    • pp.260-269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범용 열가소성수지인 폴리프로필렌에 다양한 입자 강화제로 무기질 폐기 제올라이트, 탈크, 탄산칼슘 등을 첨가하여 소재를 복합재료화 하였다. 또한 입자 사이즈에 따른 열안정성과 입자 강화제에 따른 난연 특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입도 분석 결과 폐기 제올라이트가 85.34 $mu extrm{m}$, 탄산칼슘이 33.93 $mu extrm{m}$, 탈크가 18.51 $mu extrm{m}$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난연성 측정으로 산소지수(LOI, ASTM D2863)와 콘 칼로리미터 (ASTM E1354 ISO 5660)를 사용하였으며, 열 안정성 측정으로는 TGA를 사용하였다. 입자 강화제와 난연제 DBDPO를 사용한 결과 최대 열 방출 속도(M-HRR)는 탈크>탄산칼슘>폐기 제올라이트 순으로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콘 칼로리미터 실험 결과, 난연제 DBDPO만 혼합하였을 경우보다 입자 강화제를 첨가 혼합하였을 경우가 난연 효율이 대략 2배 정도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산소지수 결과도 콘 칼로리미터와 유사한 경향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광학현미경(OM)과 주사전자현미경(SEM)을 사용하여 입자 강화된 복합재료의 연소되는 과정의 단면을 연소 단계별로 관찰함으로써 연소 표면에서의 입자 강화제의 배열 양상 및 산소 공급의 특성 등을 연구하였다.

헵탄의 화원 직경 변화를 고려한 대형콘칼로리미터의 발열량 측정 결과 분석 (Analysis of Heat Release Rate with Various Diameter of Heptane Pool Fire Using Large Scale Cone Calorimeter)

  • 유우준;남동군;염문천;김성찬;유홍선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8권5호
    • /
    • pp.1-7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대형 콘 칼로리미터(large scale cone calorimeter, LSC)를 사용하여 헵탄 풀 화재(pool fire) 실험에서 화원의 직경 변화에 따른 발열량(HRR) 측정 결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발열량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연소율(burning rate)은 A. Hamins의 연구 자료에서 제시한 모델링 곡선과 비교하여 정확성을 검증하였으며, 산소 소모법에 의한 연소효율(combustion efficiency)은 이론발열량에 비해서 91% 정도로 J. Gore이 제시한 헵탄의 연소효율 92%와 유사한 것을 확인하였다. 엔탈피소모법에 의한 열손실은 전체 발열량의 54% 정도로 측정부에서 대류 발열량으로 측정되었으며, 본 연구 결과는 화재실험에서 발열량 측정값의 신뢰성 분석(reliability analysis)을 위한 기초 연구 자료로 활용하는데 유용한 정보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고체 가연물 주위의 유동과 열적 두께의 변화가 열방출률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 of Flow around Solid Combustibles and Thermal Thickness on Heat Release Rate Characteristics)

  • 홍터기;서동표;박설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4권3호
    • /
    • pp.28-34
    • /
    • 2020
  • 고체 가연물 주위의 유동과 열적 두께의 변화가 열방출률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해보기 위해 ISO 5660-1 콘 칼로리미터 실험을 수행하였다. 고체 가연물로는 연소반응 중 Char를 발생시키지 않는 Polymethyl methacrylate (PMMA)를 선정하였고 열침투깊이를 계산하여 PMMA의 열적 두께를 구분하였다. 콘 칼로리미터의 덕트 유동을 12, 24, 40 L/s로 설정하여 가연물 주위에 강제 유동을 발생시킨 뒤 PMMA의 연소 시 측정된 열방출률을 측정함으로써 열분해 특성을 분석하였다. 열적으로 얇은 가연물의 열방출률은 주위의 유동 변화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았지만, 열적으로 두꺼운 가연물은 유량의 변화에 따라 열방출률이 크게 영향 받는 것을 확인하였다.

Aminoalkyl-bis-phosphonic acid 유도체의 연소특성

  • 진의;정의형;안성준;오정규;정영진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3년도 춘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86-87
    • /
    • 2013
  • 새로운 알킬렌디아미노알킬-비스-포스포닉산 유도체인 3종을 합성하고, 그들의 연소특성을 측정하였다. 알킬렌디아민 및 알데히드에 아인산을 첨가하여 한 단계로 반응시켜 91.3~97.3%의 수득률을 얻었다. 연소특성은 육송에 화합물을 도포한 후 콘칼로리미터(ISO 5660-1)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Heat flux는 25kW로 고정하였다. 시험결과 착화시간은 육송에 비해 51s~83s 정도 지연되었으며 착화시간이 지연 될수록 최대 열방출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콘칼로리미터를 이용한 도시철도차량 내장재료별 발열량 비교 (The Heat Release Rate Comparison of Subway car's Interior Materials using Cone Calorimeter)

  • 이철규;이덕희;정우성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70-76
    • /
    • 2005
  • The interior materials of the urban subway car in operation are now being changed to new materials that meet the latest law in effect, the fire safety criteria of the urban railway vehicle. It was well known fact that the composite materials, that were applied to last subway car, were weak on the fire. Contrary to this materials, materials in work have good resistance to the fire. On the paper,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fire safety level on the subway car, cone calorimeter was used to measure the heat release rate and total heat released according to the ISO 5660. A high radiative heat flux of 50kW/m2 was used to burn out all materials and to simulate the condition of fully developed fire case in the tests.

  • PDF

리기다 소나무, 밤나무, 느티나무의 연소성질 비교 (Comparison of Combustion Properties of the Pinus rigida, Castanea sativa, and Zelkova serrata)

  • 정영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3권4호
    • /
    • pp.73-78
    • /
    • 2009
  • 본 연구는 콘칼로리미터를 사용하여 한국 리기다 소나무, 밤나무, 느티나무의 연소성질을 조사하였다. 이들 종에 대한 열방출율과 연기 발생량을 측정하였다. 숯생성으로 인한 연소성 억제 증대에 대하여, 느티나무는 리기다 소나무, 밤나무에 비하여 좋은 성질을 보였다. 밤나무는 리기다 소나무, 느티나무에 비하여 높은 CO수율과 높은 $CO/CO_2$ 수율을 나타내었다.

한국에서 자란 목재(리기다 소나무, 밤나무, 굴참나무, 느티나무)의 연소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the Wood (Pinus rigida, Castanea sativa, Quercus variabilis and Zelkova serrala) grew up in Korea)

  • 시남;진의;오정규;정영진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321-324
    • /
    • 2011
  • 건자재로서 나무 결함 중의 하나는 화재에 대한 취약성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서 자란 리기다 소나무, 밤나무, 굴참나무, 느티나무의 연소성질을 시험하는 것과 건자재로서의 사용에 대한 바람직한 특성을 알아내는 것이며 연소억제를 위해 실온에서 3종류의 암모늄염 즉, ammonium sulfate, monoammonium phosphate, 그리고 diammonium phosphate를 20 wt% 수용액에 각각 리기다 소나무를 함침시켜 건조시킨 후 재료의 난연성을 시험하였다. 콘칼로리미터(ISO 5660-1)를 이용하였고 분석 결과로는 열방출랑을 비롯하여, 가스방출량, 발화점 등을 측정하여 비교분석하였다.

  • PDF

실내 바닥재의 연소에 따른 Non-$CO_2$ 배출량 분석 (Analysis of Non-$CO_2$ Emission by Combustion of Inner Floor Materials)

  • 이해평;황미정;박영주;김민중;김민주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발표회 초록집
    • /
    • pp.353-35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주택화재가 발생할 경우, 실내 바닥재로부터 발생하는 연소생성가스들 가운데 $CO_2$ 및 non-$CO_2$ 가스의 배출량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실험 방법으로는 주택에서 널리 쓰이는 타일카페트, 러버타일, PVC비닐석면, 데코타일, 모노륨 등 5가지 종류의 실내 바닥재를 대상으로 콘칼로리미터와 NDIR을 이용하여 연소에 따른 $CO_2$ 및 non-$CO_2$ 가스들에 대한 배출량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 PDF

Cone Calorimeter를 이용한 실물화재 예측 및 위험성 평가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Estimation Actual Fire Test Result and Evaluation Fire Hazard Using a Cone Calorimeter)

  • 유상훈;문성웅;이동호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165-169
    • /
    • 2011
  • 실제 화재의 위험성을 평가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직접 실재 화재 조건을 모사 또는 구현하여 평가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비용과 시간 및 환경 문제를 생각한다면 쉬운 일은 아니다. 따라서 단위 재료를 태우거나, 전산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화재를 예측하는 방법을 활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콘칼로리미터 실험 결과를 기초 데이터로 실제 화재 실험인 room corner test의 총열방출량을 추정하였다. 그 결과 가연물의 부피 및 밀도와 보정상수를 활용하여 실제 총열방출량에 근접한 결과값을 얻을 수 있었으며, 산출된 총열방출량을 근거로 전산시뮬레이션을 수행, 시뮬레이션 결과값을 통해 재실자의 화재 및 연기에 대한 위험성 평가를 할 수 있었다. 본 결과를 통해 화재 시뮬레이션 수행 시 가연물에 따른 화재에 의한 위험성 평가를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