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코골이 장치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3초

임상가를 위한 특집 3 -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의 치료 - 무엇으로 치료할 것 인가? 구강내장치를 중심으로 - (Treatment of Snoring and Obstructive Sleep Apnea - Oral Appliance Therapy of Snoring and OSA -)

  • 송윤헌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48권3호
    • /
    • pp.190-195
    • /
    • 2010
  • Oral appliance therapy is a simple, reversible way for improving snoring and/or obstructive sleep apnea. It may be indicated for the patients who are unable to tolerate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CPAP) or who have potential risks for surgical intervention. Oral appliance therapy increases airway space by the providing stable anterior positioning of the mandible, pulling out tongue, lifting up soft palate, or changing the muscle activity of the genioglossus. Currently, more than 80 different types of oral appliances have been introduced for snoring and/or obstructive sleep apnea. They are classified by their characteristics such as mode of action, adjustability and material used. This article provides a detailed clinical protocol and treatment procedure for oral appliance therapy.

멀티센서 기반 수면장애 개선을 위한 의사결정 지원시스템의 설계 (Design of Decision Support System for Improvement of Sleep Disorder Based on Multi-sensor)

  • 임성현;박석천;박장호;김응환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2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243-245
    • /
    • 2012
  • 대표적인 수면장애로 수면 무호흡증과 코골이가 있는데 수면다원검사를 통해 진단할 수 있다. 그러나 수면다원검사는 비용적, 공간적, 시간적 제약이 수반되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려는 연구가 대두되고 있다. 수면장애와 그 요인을 검출하기 위해 가속도센서, 소음센서, 온도센서, 습도센서로 구성된 측정 장치에서 획득한 데이터와 건강, 운동, 생활습관 데이터를 활용하여 어떤 요인에 의해 수면장애의 정도가 악화되고 개선되는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의사결정 지원시스템을 설계한다. 또한 홈 게이트웨이와 뷰어 역할에 스마트 폰을 사용하여 일반인이 보다 쉽게 측정하고 측정결과와 추론결과를 지속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한국인 성인 남성 폐쇄성수면무호흡 환자의 측모 두부 방사선계측학적 비교 (Cephalometric differences in obstructive sleep apnea between obese and non-obese Korean male patients)

  • 황상희;박인숙;남기영;김종배;조용원;서영성;안병훈;박신구;박효상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02-213
    • /
    • 2008
  • 본 연구는 비만도에 따른 한국인 남성 폐쇄성수면무호흡 환자의 측모 두부 방사선계측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동산의료원 수면클리닉에 수면장애를 주소로 내원하여 수면다원검사 후 치과에서 측모 두부방사선계측사진 촬영을 한 87명의 성인 환자들을 체질량지수(BMI)와 수면무호흡지수(AHI)에 따라 비비만 단순코골이군(Non-obese, simple snorers), 비만 단순코골이군(Obese, simple snorers), 비비만 수면무호흡군(Non-obese, OSA patients), 비만 수면무호흡군(Obese, OSA patients)의 4군으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그 결과, 4군 중 비만 수면무호흡군의 수면무호흡지수가 가장 컸으며, 비만 수면무호흡군보다 비비만 수면무호흡군의 하악각이 더 크고 혀 길이는 더 작았다. 또한, 비비만 수면무호흡군보다 비만수면무호흡군의 설골이 더 전하방에 위치하였고, 수면무호흡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기여 인자는 비만 수면무호흡군에서는 혀 길이, 비비만 수면무호흡군에서는 설골의 후방위치였다. 이처럼 비만 수면무호흡 환자와 비비만 수면무호흡 환자의 측모 두부방사선계측학적 특성과 기여 인자가 다르게 나타나므로, 치료방법도 따라서 다르게 선택해야 할 것이다. 비만 수면무호흡 환자들에게는 먼저 체중감량이 권고되어야 할 것이고, 비비만 수면무호흡 환자들은 폐쇄부위에 따라 구강 내 장치나 Nasal CPAP(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UPPP (uvulopalatopharyngoplasty) 등이 추천될 수 있을 것이다.

수면의 질을 측정하기 위한 안대형 생체신호 측정기기 개발 (Development of an Eye Patch-Type Biosignal Measuring Device to Measure Sleep Quality)

  • 안창선;임재관;정봉수;김영주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12권5호
    • /
    • pp.171-180
    • /
    • 2023
  • 우리나라 3대 수면 질환으로는 코골이, 수면무호흡증, 불면증이 있다. 수면 부족은 만병의 근원이며 수면 부족으로 인한 질병은 심혈관계 질환, 인지장애, 비만, 당뇨, 대장염, 전립선암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나타난다. 수면 관리 중요성을 인식한 정부도 2018년 7월부터 수면다원검사를 국민건강보험 혜택을 적용해서 작은 부담으로 검사를 받아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불면증 환자는 시간적·공간적·경제적 부담감을 해소하고 일상생활 속에서 수면의 질을 관리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병원이 아닌 일상생활 속에서 수면관리에 활용할 수 있는 안대형 생체신호 측정기기를 개발하였다. 측정기기에서는 6개 생체신호(안구동작, 뒤척임, 체온, 산소포화도, 심박수, 오디오)를 측정할 수 있다. 사용되는 센서로는 안구동작, 뒤척임은 자이로스코프센서(MPU9250, InvenSense, 미국)가 사용되었다. 센서값 입력 범위는 258~460°/sec 단위로 조정되며, 입력 범위값 내에서 작동상태를 확인하였다. 체온, 산소포화도, 심박수는 센서(MAX30102, Analog Devices, 미국)를 사용하였다. 체온은 30~45℃ 작동상태를 확인했으며, 산소포화도 사용범위는 미사용상태는 0%이고 사용상태는 20~90%의 작동상태를 확인하였다. 심박수의 범위는 40~180 bpm에서 작동상태를 확인하였다. 오디오 신호는 센서(AMM2742-T-R, PUIaudio, 미국)를 통해서 생체신호를 측정하며 감도는 -42±1 dB이며 주파수 범위는 20~20 kHz에서의 작동상태를 확인하였다. 시스템 구성은 생체신호 측정기기와 데이터수집 장치로 PC 및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되었다. 측정된 데이터는 모바일과 PC로 수집되며 수집된 데이터는 수면의 단계를 판단하고 수면 유도와 수면장애에 대한 사전 선별기능을 진행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앞으로 간편하게 가정에서 불면증 환자들에게 수면의 질을 측정할 수 있게 되어 불면증 환자들의 치료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

코골이와 폐쇄성수면무호흡증 환자에서 무호흡 심도에 따른 구강내 장치의 치료효과 및 환자의 적응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icacy and Compliance of Oral Appliances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Apnea in the Treatment of Snoring and Obstructive Sleep Apnea)

  • 안홍균;이광호;정성창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23권4호
    • /
    • pp.419-432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icacy and compliance of a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MAD)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sleep apnea in the snorers and obstructive sleep apnea patients. Fifty-four patients (45 males, 9 females, aged 20 - 68years ) who visited Seoul National Uiversity Dental Hospital(SNUDH) to seek for the treatment of snoring and sleep apnea we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nocturnal polysomnography and they were instructed to wear MAD regularly which was designed to increase the size of the upper airway by advancing the mandible. The evaluation of the efficacy and compliance of the MAD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apnea and the duration after the usage of MAD ( 1week, 1month, 3months, 6months, 12months) was made by using quesionnaires mad in Department of Oral Medicine and Oral diagnosis, SNUDH.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 1. All subjects results were habitual snoreres and 43 patients(79.6%) complained the loudness of snoring that can be heard out of the room. 2. Apnea index(AI) of the total subjects was mean 29.4$\pm$26.9 and respiratory disturbance index(RDI)was mean 37.6$\pm$28.0. And there was nodifference in the efficacy and the compliances of MAD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apnea. 3. The severityi of apnea by the questionnaires significantly corresponded with the results of nocturnal polysomnography, and this fact potentiated the diagnostic value of the questionnaire. 4. after the usage of MAD, there was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frequency of snoring, the loudness of snoring, frequency of apnea, daytime sleepiness nad the refreshment after sleep(p<0.001) regardless of the apnea index(AI) and respiratory distrubance index(RDI). 5. The degree of the satisfaction with MAD was mean 74.4$\pm$18.4% and that of the discomfort with the MAD was 31.4$\pm$19.6%. But there was no serious complication in occlusion and temporomandibular joint with the usage of MAD and the duration of the discomfort was mean 3.3$\pm$2.2 weeks. 6. Forty-one patients(75.9%) continued the usage of MAD but thirteen patients(24.1%) stopped the use of MAD because of the discomforts and insufficient results with it.

  • PDF

어린이의 수면호흡장애 (Sleep Disordered Breathing in Children)

  • 양연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357-367
    • /
    • 2022
  • 수면호흡장애(sleep disordered breathing, SDB)는 상기도의 완전한 또는 부분적 폐쇄로 인해 수면 중 반복적인 저호흡과 무호흡이 나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이다. 소아 SDB 유병률은 대략 12 - 15%이며, 호발 연령은 주로 3 - 5세의 미취학 어린이이다. 어린이는 코골이와 잦은 각성부터 야뇨증, 과잉행동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증상을 보인다. 어린이에서 SDB의 주원인은 편도 및 아데노이드 비대로 인한 상기도의 폐쇄이다. SDB를 치료하지 않으면 학습 장애, 인지 장애, 행동 문제, 심혈관 질환, 대사 증후군, 저성장 등과 같은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다. 소아치과 의사는 SDB의 위험이 있는 소아를 감별하는 특별한 위치에 있다. 소아치과 의사는 SDB와 관련 있는 임상 양상을 인지하고, 소아 수면설문지, 측 모두부계측 방사선사진, 휴대용 간이수면검사 등을 이용하여 SDB를 선별하여 전문가에게 의뢰할 수 있어야 한다. 소아치과에서는 치료를 위해 상악궁 확장, 하악 전방 유도장치, 설소대 절제술 등을 시행할 수 있다. 소아치과 의사는 장기간의 구호흡과 저위설, 설소대단축증 등이 비정상적인 안면골격 성장 및 수면 문제를 일으킬 수 있음을 인지하고, 이러한 문제점들을 예방할 수 있도록 조기에 개입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