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컴퓨터이용교육

Search Result 1,478, Processing Time 0.046 seconds

A Method of Programming Learning using LED component (LED 소자를 이용한 프로그래밍 교육 방안)

  • Chai, Soo-Phung;Hong, Myung-Hui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8a
    • /
    • pp.181-188
    • /
    • 2004
  • 정보화된 미래사회를 준비하기 위하여, 우리나라에서는 실과의 한 영역과 학교재량시간을 통하여 컴퓨터 교육을 하고 있다. 그러나 실과 교육과정은 지나치게 기능 위주의 내용으로 되어있고, 학교 재량시간을 이용한 컴퓨터 교육에서는 타자연습이나 컴퓨터 활용교육만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교육은 컴퓨터와 친숙해지는 데는 도움을 줄 수 있지만, 고차원적인 사고력을 지닌 학생을 교육하는 데는 도움이 되지 못한다. 특별히 컴퓨터의 무한한 사용 가능성을 이용하여 창의적 문제 해결력을 기르는 교육은 매우 필요하다 하겠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문제 해결 능력 교육, 즉 문제 상황이 주어지고 이것을 해결하는 프로그래밍 교육이 매우 유용하나, 지금까지의 프로그래밍 교육은 지나치게 언어 기술교육에 초점을 두고, 단순 반복과 암기, 아동의 발달단계를 고려하지 않음으로 인해 오히려 창의성을 해치고 학습의 흥미도를 저하시켜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 수준에 맞춰 구체적인 결과물이 보이고, 쉽고 흥미롭게 학습할 수 있는 프로그래밍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해 'LED 소자를 이용한 프로그래밍 교육 방안'을 설계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서 초등학교 학생들이 쉽고 재미있게 프로그래밍에 접근하고, 고차원적인 문제 해결력을 기르는 컴퓨터 교육과정의 한 모델을 제시하였다.

  • PDF

Using Mathematics Education(Integration Method) through Computer (컴퓨터를 이용한 수학 교육(적분 방법)에 대한 연구)

  • Jun, Sang-Pyo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3 no.1
    • /
    • pp.213-218
    • /
    • 2008
  • Through the development of computer and multimedia, many different kinds of theories about instructional method are presented. Especially, many lectures in associated with E-learning are done. In mathematics teaching, mathematica-algebra system lecturing, computer and Maple Matlab lecturing etc, are accomplished. There are many controversies among educators in problems originated by computer teaching. In this paper, we going to make a research about problems which are caused by mathematics computer-based education and present a desirable way of computer based education through studying comprehension rate and application ability among learner who uses omputer learning and other learner who uses exiting blackboard-based learning with statistical analysis after sampling test

  • PDF

Functions of Computer Education in the knowledge-based information society (지식정보사회에서 컴퓨터 교육의 역할)

  • Choi Hyeoung-Jung;Lee Sung-J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6.05a
    • /
    • pp.829-832
    • /
    • 2006
  • 지식정보사회로의 전환에 따라 컴퓨터는 교육에 있어서 교육 내용으로써 뿐만 아니라 교육적 활용의 측면으로도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특히 학교 환경에서 컴퓨터를 교육에 활용하고자 하는 정보통신기술교육이 강조되면서 이와 인식을 같이 하는 컴퓨터교육의 필요성도 강조되어 실시되고 있다. 그러나 제7차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중 고등학교 일반 교과에서의 컴퓨터 교육은 응용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컴퓨터의 도구적 활용을 상대적으로 강조하게 되어 있어 교과로서의 컴퓨터 교육에 대한 컴퓨터 교육의 정체성 확립과 급격한 변화속에서의 컴퓨터 교육의 방향을 설정하지 못한 채 그 활용만을 위주로 전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학교 컴퓨터 교육의 현황을 살펴보고, 지식정보사회에서의 교과로서 컴퓨터 교육의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한 컴퓨터교과에 대한 개념, 컴퓨터 교육의 필요성과 역할에 대해 모색하였다.

  • PDF

A Reactivation Methods of Robot Using Education at the Secondary School (중등학교에서 로봇이용교육 활성화 방안)

  • Ma, SookHee;Lho, YoungUh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9.05a
    • /
    • pp.507-510
    • /
    • 2009
  • 7차 교육과정에서는 초등학교 실과교과에 로봇에 대한 내용이 교과에 포함되어 있다. 또한 각 기관의 영재 교육 기관에서도 로봇이용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로봇 이용 프로그래밍 교육은 학생들의 흥미도 향상과 창의력 향상에 이점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일부 학교에서 방과 후 교육에서 로봇교육을 일부 많이 실시하고 있지만 일반학생을 대상으로 한 로봇이용 교육은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여학생의 경우에는 컴퓨터에 대한 친숙도가 남학생에 비해 낮은 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학생을 대상으로 한 로봇 이용교육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기위한 기초 연구로 중등학생의 로봇이용교육의 실태를 분석한다. 특히 여학생들의 로봇 이용 교육에 대한 실태를 분석함을 목적으로 한다.

  • PDF

자동제어 교육에서의 컴퓨터 소프트웨어 이용

  • 오준호
    • Journal of the KSME
    • /
    • v.28 no.2
    • /
    • pp.165-168
    • /
    • 1988
  • 컴퓨터는 그 자체만으로도 일반인의 흥미와 관심을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한 기자재이다. 이러한 컴퓨터를 자동제어 교육에 십분 활용함으로써 교육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교육에 대한 과감한 투자로서 컴퓨터등 기자재를 과감히 확보하고 이를 활용함과 아울러 이에 따른 적절한 교과내용의 재검토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글에서는 주로 컴퓨터 시뮬 레이션 등 소프트웨어 활용에 대하여 주로 언급하였으나 이를 데이터수집 및 해석, 디지틀 제어 등 하드웨어로서의 컴퓨터 활용도 더욱 교육에 도입되어야 할 것이다.

  • PDF

A Study of the Promoting Problem Solving Ability using Computer Scientists Story (컴퓨터 과학자를 이용한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에 관한 연구)

  • Kim, Hyoung-Eun;Kim, Jong-Hoon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1a
    • /
    • pp.191-196
    • /
    • 2006
  • 오늘날 IT산업이 급속도로 진보하고 있다. 단순한 자원이나 노동력보다는 첨단과학 기술을 이용하여 얼마나 의미 있는 정보를 찾아내고 활용하는가에 따라 개인의 경쟁력이 좌우된다. 이러한 미래사회에 대비하기 위해 7차 교육과정에서는 지식 위주의 암기 교육이 아닌 창의력과 문제해결력 신장을 중요하게 여기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학교의 컴퓨터교육은 지나치게 기능위주의 내용이나, 단순 소프트웨어와 컴퓨터의 활용법에 관한 내용만을 강조하고 있어 이러한 취지를 잘 살리고 있지 못하다. 또한 교육자료 조차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의 수박겉핥기 식의 컴퓨터 활용법 및 소프트웨어 사용법 위주 교육에서 벗어나, 컴퓨터의 원리에 대한 내용을 연구함에 있어 초등학생들이 좀더 체계적으로 쉽게 다가갈 수 있도록 컴퓨터 과학자들을 이용하여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고자 한다.

  • PDF

Real-Time Remote Lesson System using System Internet (인터넷을 이용한 실시간 원격 강의 시스템)

  • 강경신;최영규;박성순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1.11a
    • /
    • pp.241-244
    • /
    • 2001
  • 인터넷 이용의 확대로 가정마다 컴퓨터 보급이 크게 증가하면서 인터넷을 이용한 교육이 증가하고 있다. 학교에 가지 않아도 컴퓨터를 이용하여 듣고 싶은 수업을 원하는 시간에 지구촌에 있는 학생들과 함께 수업을 듣고 토의할 수 있다. 컴퓨터의 보급 증가와 인터넷 사용증가로 인하여 인터넷 교육이 하나 둘 나오기 시작했다. 그리고, 미래 프로젝트의 하나인 실시간 원격 교육이 가능하게 되었다. 실시간 원격 강의 시스템을 이용하면,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고 누구든지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교육을 받을 수 있다. 앞으로 정보 통신망의 발달과 음성 및 화상 압축기술이 발달하면 실시간 동영상 등으로 학생들은 더 종은 교육을 쉽게 접할 수 있게 될 것이다.

  • PDF

국내 교육기관의 컴퓨터 윤리 교육에 관한 연구

  • 정선필;김영렬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2002.06a
    • /
    • pp.446-451
    • /
    • 2002
  • 컴퓨터는 우리가 살고 이는 사회를 바꾸고 있다. 컴퓨터의 이용으로 편리해져가는 이른바 정보화 시대 속에서 필연적으로 컴퓨터로 인한 파괴적인 또는 반사회적인 행동이 나타나고 있다. 이런 컴퓨터의 사용은 우리에게 윤리적 토대에서 정확하고 올바른 판단과 의사결정을 요구하게 되었다. 컴퓨터 바이러스 유포, 공공기관과 사설망의 컴퓨터 네트웍에 침입하여 정보파괴, 프로젝트 진행 중 취득하는 정보의 악용하기도 한다. 또 익명성이란 특징의 인터넷 안에서 망가지고 있는 컴퓨터 사용자들의 윤리의식이 사회적인 문제화 되고있다. 이러한 변화는 새로운 컴퓨터 윤리학이라는 분야를 연구를 하는 계기가 되었고 70년대의 태동기를 거쳐서 현재는 적지 않은 연구가 결과가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하나의 학문분야로서 컴퓨터 윤리학은 컴퓨터의 보급과 결과를 또 컴퓨터 기술의 본질과 영향력을 분석하고 컴퓨터 사용을 위한 정책을 제시하고 있다. 컴퓨터의 사용에 대한 기술적 내용은 대부분 학교 교육을 통해 전달되고 있다 하지만 테크니컬한 컴퓨터 교육의 증가에 따른 국내의 중, 고등교육기관과 대학에서의 컴퓨터 윤리 교육에 대한 관심은 부족한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는 컴퓨터 윤리과목이 개설되어 있는 교육기관을 파악하여 현재 우리나라의 컴퓨터 윤리 교육에 대한 문제점과 해결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교육용 소프트웨어의 개발 및 이용

  • 방명석
    •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 /
    • v.3 no.2
    • /
    • pp.7-8
    • /
    • 1990
  • 미국의 코넬대학(Cornell University)은 컴퓨터그래픽 분야에서 선두주자의 하나로서 알려져 있다. 수년동안 그들은 교육성(Dept. of Education)의 연구비를 받아서 교육용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Socrates(Study of Complementary Research and Teaching in Engineering Science)"라는 연구사업을 수행하였다. 이 연구사업의 목적은 컴퓨터를 이용한 교육을 증가시키기 위한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이 대학은 다른 대학들보다 컴퓨터시설이 매우 충실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개발된 소프트웨어들의 사용이 모든 대학들에서 받아들이기에는 어려움이 많다. 그러나 다소의 차이는 있지만 컴퓨터의 사용을 강의실로 끌어들여야 하는 문제점은 어느 대학에서나 존재한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Socrates에 대한 소개와 함께, 이의 이용방법에 대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Computer-Aided Use of Information among School Children (초등학생의 컴퓨터를 활용한 정보 이용 실태 분석 -정보통신 윤리교육의 측면에서-)

  • Lee, Kwang-Woo;Kim, Young-Ki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8a
    • /
    • pp.161-171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컴퓨터 이용 실태를 분석하여 정보통신 윤리교육에 보다 나은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제시하여 연구하였다. 첫째, 초등학생의 컴퓨터 이용 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초등학생의 인터넷 이용과 대화방 사용실태는 어떠한가? 셋째, 초등학생의 불법 복제와 정보통신 윤리 실태는 어떠한가? 위와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인천광역시 서구 지역에 있는 초등학교 학생들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여 응답하도록 하였으며 그 설문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토대로 결론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컴퓨터 이용시간 및 컴퓨터를 이용하여 주로 하는 일을 살펴보면 컴퓨터 이용 시간의 적절한 조절 능력과 컴퓨터 활용 능력의 배양이 필요하다. 둘째, 건전한 인터넷 문화를 이룰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 셋째, 개인의 인격이 존중되듯이 개인의 사생활도 보호되어야 한다. 넷째, 불건전 사이트에 대한 의식은 대다수의 초등학생들이 부정적인 견해를 견지하고 있다. 따라서 보다 나은 인터넷 서핑을 위해서는 아동들로 하여금 불건전 사이트에 대한 접속을 차단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방법을 모색하고 지도를 통해 불건전 사이트에 접속하지 않도록 하는 교육이 실시되도록 하여야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