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컴포넌트기반 개발

Search Result 975, Processing Time 0.068 seconds

Requirements and Component Specifications at for Component-based System Development (컴포넌트 기반 시스템 개발을 위한 요구사항과 컴포넌트 명세화 방안)

  • 박병철;이재호;박수용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10a
    • /
    • pp.489-491
    • /
    • 2000
  • 컴포넌트 기반의 소프트웨어가 개발되어짐에 따라 소프트웨어공학 측면에서 컴포넌트 기반의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컴포넌트 기반 소프트웨어공학(CBSE: Component Based Software Engineering)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1]. 컴포넌트 기반의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데 있어서 최대한 효율성과 생산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개발초기, 즉 요구사항 분석단계에서 기존에 개발되어진 컴포넌트들 중에 사용자가 요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적절한 후보 컴포넌트를 추출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XML의 특성을 활용한 요구사항과 컴포넌트 명세 언어를 정의하고 이를 통해 정형화된 요구사항으로부터 시스템 개발에 필요한 컴포넌트들을 추출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컴포넌트 기반 시스템에서의 소프트웨어 재사용성 모델

  • 정도균;이남용
    • Proceedings of the CALSEC Conference
    • /
    • 2002.01a
    • /
    • pp.484-489
    • /
    • 2002
  • 컴포넌트 기반의 시스템 개발에서의 SW 재 사용성 측정을 위한 접근방법에 대해 논의 컴포넌트 개발 및 컴포넌트 기반 개발에 있어서의 재사용성 개념모델을 제안 컴포넌트 개발 및 컴포넌트 기반 개발과 관련된 생명주기 초기단계에서의 SW 재사용과 관련된 가능성을 제시(중략)

  • PDF

Design of CBD Methodology for Weapon System Embedded Software (컴포넌트 기반의 무기체계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개발방법론 설계)

  • Lee, Jong-Lee;Yun, Hui-B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6.11a
    • /
    • pp.301-304
    • /
    • 2006
  • 본 논문은 컴포넌트 기반의 무기체계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개발방법론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먼저 국방 소프트웨어 개발 관련 규정, 무기체계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기반의 개발 방법 그리고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개발방법의 특징을 바탕으로 기존 CBD 방법론을 분석한다. 그런 다음 개발방법론 설계 고려요소를 도출하고, 고려요소를 바탕으로 컴포넌트 기반의 소프트웨어개발(CBSD)과 컴포넌트 개발(CD)에 대해 어떻게 설계를 할 것인가, 산출물간에 어떤 상호작용을 하는지를 설명하는 컴포넌트 기반의 무기체계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표준 개발방법론을 제시한다.

  • PDF

A Proposal for Component Formal Specification Activities Using Z (Z를 이용한 컴포넌트 정형 명세 활동의 제안)

  • 장종표;이상준;김병기
    • The KIPS Transactions:PartD
    • /
    • v.8D no.1
    • /
    • pp.99-104
    • /
    • 2001
  • As a plan to counteract solving software crisis, the technology that is called Component Based Software Engineering (CBSE or Componentware) is introsuced. Component Based Software Developement (CBSD) Processes as one of the technique among CBSE have been proposed. Component specification activities among CBSD Processed are necessary and important for generating feusable component. However, the existing CBSD processed can't ensure the correctness in requirements are reflected. In this paper, we propose that formal activities wgich specify component using formal specification language Z which is verified with the ability of analysis and logicality. The proposed activities are composed of 5 tasks and 12 subtasks. By presenting specific 19 products, it is also proposed that component specification activities which are the base of CBSD for reusing. The proposed activities are able to improve qualities of component through correctness and verification of requirements specification of users in the early step of component-based software process.

  • PDF

Represention of Java Beans component specification using XML (XML을 이용한 자바 빈즈 컴포넌트 명세의 표현)

  • 김영익;이성은;류성열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a
    • /
    • pp.495-497
    • /
    • 1999
  • 오늘날 소프트웨어는 컴포넌트 기반의 소프트웨어라고 할 수 있다. 새로운 소프트웨어를 개발함에 있어서 컴포넌트를 사용하면 개발 기간과 비용 등 여러 면에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컴포넌트 기반의 소프트웨어의 단점은 3자가 개발한 컴포넌트를 사용함에 따른 유지보수의 어려움이다. 제 3자가 개발한 컴포넌트의 경우 관련 문서, 설계 명세, 도움말 등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유지보수가 불가능하거나 아주 어렵게 된다. 이러한 경우 컴포넌트로부터 설계 명세 등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면 기존 컴포넌트 기반의 소프트웨어를 기능을 향상시키거나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는 등의 컴포넌트의 유지보수가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자바 빈즈 컴포넌트 모델을 기반으로 한 컴포넌트 명세 추출을 보인다. 자바 빈즈 컴포넌트로부터의 명세 추출은 자바의 리플렉션이나 자바 빈즈의 인트로스펙션 기능을 이용하여 소스 파일이 없이 자바 빈즈 컴포넌트의 클래스 파일만을 가지고 가능하다. 추출된 정보로부터 컴포넌트의 추상적인 설계 명세를 얻을 수 있다. XML은 웹 기반의 마크업 언어로써 구조적, 다중 링크, 자기 서술적, 정확성 등의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자바 빈즈 컴포넌트의 명세 표현 형태를 XML을 이용하여 자바 빈즈 컴포넌트 명세의 재사용성, 검색,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함을 제시한다.

  • PDF

Specification of aspect-based software component using XML (XML 을 이용한 Aspect 기반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명세)

  • Lee, Seung-Hyung;Song, Young-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5.11a
    • /
    • pp.405-408
    • /
    • 2005
  • 현재 컴포넌트 기반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의 접근은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인터페이스 디자인과 실행에 중심을 둔 경향이다. 컴포넌트 기반 소프트웨어 개발을 하기 위하여, 전체 시스템을 분석하는 것은 복잡하고, 이해하기 어렵다. 이를 위하여 aspect 기반 컴포넌트 개발방법을 도입한다. Aspect 기반 개발에서는 필요로 하는 컴포넌트를 표현하기 위하여 provide 와 require 를 사용한다. 또한 Aspect 기반 컴포넌트 엔지니어링을 위하여 컴포넌트 사이의 provide/require 서비스에 대한 분류와 추론을 위하여 다른 컴포넌트와 함께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은 개발자들은 전체 시스템 개발을 위해 필요로 하는 적합한 컴포넌트의 provide/require 을 사용하여 접근하기 때문에 컴포넌트 검색, 합성, 재사용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컴포넌트 aspect 정보의 확장을 위하여 XML 문서 포맷을 사용함으로써 서로 다른 환경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명세 하였다.

  • PDF

Web based Score Processing System using C2 Architecture Style (C2 아키텍처 스타일을 이용한 웹 기반 성적처리 시스템)

  • 정화영;송영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04b
    • /
    • pp.658-660
    • /
    • 2004
  • 소프트웨어 개발기술의 발달에 따라 컴포넌트 기반 개발 기법은 객체지향기법에서의 새로운 대안으로 제시되어왔다. 그러나 웹 기반 시스템의 개발은 설러 가지 요인으로 인하여 현재까지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도입의 초기단계에 머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컴포넌트 개발 기법을 이용한 웹 기반 성적처리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대상 하부 컴포넌트는 Java Beans로 구현하였으며, 컴포넌트 합성명세로는 C2 아키텍처 스타일 기법을 이용하였다. 이러한 결과로서 웹 기반 교육 시스템 분에의 개발에서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적용 일 운용에 관한 효율성을 보일 수 있었다.

  • PDF

(The View Model of Software Architecture for Component Based Software Development) (컴포넌트 기반 소프트웨어 개발을 지원하는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뷰 모델)

  • 박준석;문미경;염근혁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30 no.5_6
    • /
    • pp.515-528
    • /
    • 2003
  • Component Based Software Development has been recognized as a new software development paradigm, and received much attention among researchers. However, it requires software architecture based development to assure component reusability and efficient software development. This paper proposes the Component Based 4+1 View Model of software architecture to support component based software development. It is redefined on the basis of the existing 4+1 view model of software architecture developed by Kruchten. Also, we describe the elements of the view model in detail with UML. This architecture constructs the foundation of component based software such as increasing the understanding of software and providing the information about how the components interact with each other. It can be done by exposing the context for the use of software components to each views.

A Study on Framework for Component-Based Web Applications (컴포넌트 기반 웹 응용 프레임워크에 관한 연구)

  • Kim, Hee-Chern;Na, Jong-Whoa;Jung, Kwang-Ho;Kwon, Chang-Hee;Sin, Seung-Jung;Ryu, Dae-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3.05c
    • /
    • pp.1833-1836
    • /
    • 2003
  • 웹-기반 시스템을 개발하려면 컴포넌트 기반 웹 공학 기술에 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컴포넌트 기반 웹 공학을 지원하기 위한 개발 프로세스와 방법론에 관한 기초 연구이다 컴포넌트 기반 웹 응용 개발 프레임워크의 개발 방법과 관련하여 이 것의 요구사항과 구성에 관해 연구한다 다음과 같은 작업과 순서로 구성된다. 먼저 웹 공학과 관전된 도메인들을 분석하고 컴포넌트 모델링 작업을 수행한다. 여기에 기초한 컴포넌트 기반 설계 및 웹 응용 설계 연구를 통해 컴포넌트 기반 웹 응용 설계 프레임워크를 정의한다. 다음으로 컴포넌트 기반 설계 패턴 및 응용 패턴 추출 연구와 웹 서비스를 지원하는 프레임워크를 정의하며 컴포넌트 기반 웹 응용 시험 및 검증에 관해 연구한다.

  • PDF

Deriving Component Interfaces from UML Dynamic Medel (UML 동적모델에서 컴포넌트 인터페이스 설계 기법)

  • 김지혜;김수동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04b
    • /
    • pp.415-417
    • /
    • 2002
  • 컴포넌트는 소프트웨어의 재사용을 통하여 소프트웨어 제품의 향상된 생산성을 제공해 줄 수 있는 방안으로 인식되면서 , 학계와 산업계의 관심 이 집중되고 있다. 그에 대안 반영으로 컴포넌트 자체를 개발하거나, 상용 컴포넌트를 기반으로 하여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 위한 방법론들이 제안되고 있고, 이런 개발 방법론이 바로 컴포넌트 기반의 개발 방법론이다. 컴포넌트 개발 방법론이 확산됨에 따라 성공적인 컴포넌트 기반의 프로젝트의 중요한 요소로써 효과적인 컴포넌트 인터페이스 설계 기법이 부각되고, 제안되었다. 그러나, 기존의 객체지향 방식으로 구현된 모델을 컴포넌트 기반의 모델로 전환 시의 지침들이 부족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객체 지향 방식으로 모델링 한 UML동적모델에서 근거한 컴포넌트 인터페이스 설계 기법을 제안한다. 즉, 분석 단계에서 컴포넌트를 식별하고, 설계 단계의 산출물인 Use Case모델과 클래스 다이어그램을 이용하여 컴포넌트의 메소드들을 추출한다. 그리고, 컴포넌트 인터페이스를 정의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