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컨텍스트 모델

Search Result 133, Processing Time 0.067 seconds

Collection and Construction of User's Context in Smart Phone (스마트폰 사용자의 컨텍스트 수집과 생성)

  • Lee Young-Seol;Jung Myung-Chul;Cho Sung-B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06b
    • /
    • pp.115-117
    • /
    • 2006
  • 스마트폰의 성능이 향상되고 많은 기능이 추가됨에 따라 스마트폰에 저장되는 사용자 정보도 증가하고 있다. 이렇게 저장된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가 경험한 일이나 상황을 추론하기 위한 판단의 근거가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으로부터 GPS 위치 정보, 전화 통화 기록, SMS 정보, 날씨 정보, MP3 음악듣기정보, 사진 찍은 정보, 사진을 본 내역, 충전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고. 통계적 분석, 임팩트 분석을 통하여 수집된 정보로부터 컨텍스트를 추출한다. 추출된 컨텍스트를 통하여 사용자의 상태에 대한 추론이 가능하며 추론 모델이나 서비스를 위해 입력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 PDF

Personalized Virtual Storytelling with Responsive Multimedia System (반응형 멀티미디어 시스템을 이용한 개인화된 스토리텔링 기법)

  • Lee, Young-Ho;Oh, Se-Jin;Park, Young-Min;Woo, Woon-Tack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a
    • /
    • pp.118-123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반몰입형 가상현실 시스템인 반응형 멀티미디어 시스템(RMS: Responsive Multimedia System)을 이용한 개인화된 스토리텔링 기법을 제안한다. 인간은 글, 그림, 영상 기술 등을 이용한 다양한 스토리텔링 기법을 개발해 왔으며, 가상 현실 기술을 통하여 기존의 멀티미디어보다 한차원 높은 수준의 스토리텔링을 가능하게 하였다. 제안된 스토리텔링 기법은 테이블 형태의 다감각 사용자 인터페이스, 사용자 정보 처리와 위치기반 이벤트를 결정하는 컨텍스트 인식 응용 모델 (vr-UCAM), 그리고 가상환경 네비게이션과 변화, 캐릭터의 애니메이션을 가능케 하는 가상공간 관리기로 구성된다. 제안된 스토리텔링 기법은 다감각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직관적인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컨텍스트 인식 응용 모델을 활용하여 사용자 개인정보를 스토리에 적용하여 개인화된 스토리가 전개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가상 환경의 네비게이션, 가상 캐릭터, 날씨 및 환경의 변화 등을 조절하여 실감있게 스토리가 전개되도록 한다. 제안된 스토리텔링 환경을 검증하기 위해 운주사에 얽힌 설화를 기반으로 가상 운주사 체험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이를 통해, 반응형 멀티미디어 시스템을 이용한 스토리텔링의 가능성을 검증하였으며, 컨텍스트 인식 응용 모형을 활용한 개인화된 스토리텔링을 선보였다. 제안된 스토리텔링 기법은 문화교육, 에듀테인먼트, 예술 분야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Context-Based Mandatory Access Control Model (컨텍스트 기반 강제적 접근통제 모델)

  • Oh, Yi-Myun;Choi, Eun-Bo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1161-1164
    • /
    • 2004
  • 정보통신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웹을 통한 기업모델의 다양화로 인해 개인정보를 통한 새로운 경영기법의 발전은 향상되었던 반면 개인정보의 오용과 남용은 인터넷 발전의 가장 큰 저해 요소 중 하나로 대두되게 되었다. 그러므로 방대한 정보를 부당한 사용자로부터 보호하면서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보장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접근통제 정책이 요구되어진다. 본 논문에서는 Biba 모델의 엄격한 무결성 정책에 대한 접근모드, 시스템 상태정보 그리고 주체의 생성과 실행에 따른 제약조건을 기술하였다. 또한, 객체의 용도(purpose)와 접근권한의 제약조건으로 구성되는 컨텍스트를 엄격한 무결성 정책에 적용하므로서 주체에 의한 객체정보의 임의적 연산을 방지하므로서 객체 정보를 보호할 수 있다.

  • PDF

Context-Aware Workflow Language based on Web Services for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s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을 위한 웹 서비스 기반의 상황인지 워크플로우 언어)

  • Han Joohyun;Kim Eunhoe;Choi Jaeyoung;Cho Weduke
    • Journal of KIISE:Computer Systems and Theory
    • /
    • v.32 no.11_12
    • /
    • pp.617-628
    • /
    • 2005
  • The services for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s have to provide automatically user-specific adaptive services in dynamically changed environments with many informations provided by both a user and his/her environment. Workflows used in business and distributed computing environments support service automation by connecting many tasks with rules or orderings of tasks. Therefore we must specify context information on transition condition to support context-aware services by adapting a workflow to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s. In this paper, we present a structural context model to specify context information on transition constraints of the workflow. And we propose an uWDL Ubiquitous Workflow Description Language) based on web services, which provides web service interfaces which are standardized and independent on heterogeneous and various platforms, protocols, and languages. The uWDL tan be interpreted and executed by a workflow engine, and provide users autonomic services based on context-awareness.

Korean Entity Linking based on KorBERT and Popularity (KorBERT와 Popularity 정보에 기반한 한국어 개체연결 )

  • Jeong Heo;Kyung-Man Bae;Soo-Jong Lim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2.10a
    • /
    • pp.502-506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KorBERT와 개체 인기정보(popularity)를 이용한 개체연결 기술을 소개한다. 멘션인식(mention detection)은 KorBERT를 이용한 토큰분류 문제로 학습하여 모델을 구성하였고, 개체 모호성해소(entity disambiguation)는 멘션 컨텍스트와 개체후보 컨텍스트 간의 의미적 연관성에 대한 KorBERT기반 이진분류 문제로 학습하여 모델을 구성하였다. 개체 인기정보는 위키피디아의 hyperlink, inlink, length 정보를 활용하였다. 멘션인식은 ETRI 개체명 인식기를 이용한 모델과 비교하였을 경우, ETRI 평가데이터에서는 F1 0.0312, 국립국어원 평가데이터에서는 F1 0.1106의 성능 개선이 있었다. 개체 모호성해소는 KorBERT 모델과 Popularity 모델을 혼용한 모델(hybrid)에서 가장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ETRI 평가데이터에서는 Hybrid 모델에서의 개체 모호성 해소의 성능이 Acc. 0.8911 이고, 국립국어원 평가데이터에서는 Acc. 0.793 이였다. 최종적으로 멘션인식 모델과 개체 모호성해소 모델을 통합한 개체연결 성능은 ETRI 평가데이터에서는 F1 0.7617 이고, 국립국어원 평가데이터에서는 F1 0.6784 였다.

  • PDF

Context-based Predictive Coding Scheme for Lossless Image Compression (무손실 영상 압축을 위한 컨텍스트 기반 적응적 예측 부호화 방법)

  • Kim, Jongho;Yoo, Hoo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7 no.1
    • /
    • pp.183-189
    • /
    • 2013
  • This paper proposes a novel lossless image compression scheme composed of direction-adaptive prediction and context-based entropy coding. In the prediction stage, we analyze the directional property with respect to the current coding pixel and select an appropriate prediction pixel. In order to further reduce the prediction error, we propose a prediction error compensation technique based on the context model defined by the activities and directional properties of neighboring pixels. The proposed scheme applies a context-based Golomb-Rice coding as the entropy coding since the coding efficiency can be improved by using the conditional entropy from the viewpoint of the information theory.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 that the proposed lossless image compression scheme outperforms the low complexity and high efficient JPEG-LS in terms of the coding efficiency by 1.3% on average for various test images, specifically for the images with a remarkable direction the proposed scheme shows better results.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obile Contents Recommendation System Using Reliability in Composite Context Environments (복합 상황 환경에서 신뢰도를 이용한 모바일 콘텐츠 추천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Lee, nak-gyu;Bok, kyeong-soo;Yoo, jae-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91-92
    • /
    • 2011
  • 최근 유비쿼터스 시대의 도래와 함께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서비스 수요가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대량의 콘텐츠와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의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개인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모델들이 제시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모델들은 상황에 따른 사용자의 선호도 혹은 컨텍스트를 자체적으로 수집/분석하여 추천한다는 점에서 신뢰도가 높은 콘텐츠를 추천하지 못하거나 이를 검증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시공간 복합 상황 정보와 사용자의 컨텍스트를 활용한 분석과 함께 콘텐츠와 서비스를 제공하는 외부 CP(Contents Provider)가 Open API로 제공하는 신뢰도에 따라 소비 가치가 높은 최적의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추천 시스템을 제안한다.

  • PDF

An Optimization Design of Incremental Granular Model and Its Application (점증적 입자 모델의 최적화 설계와 응용)

  • Yeom, Chan-Uk;Kwak, Keun-Ch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8.05a
    • /
    • pp.442-444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GA(Genetic Algorithm) 기반 점증적 입자모델(IGM: Incremental Granular Model)의 최적화 설계를 제안한다. IGM의 성능은 다양한 실세계 응용예제를 통해 성공적으로 연구되어져왔다. 그러나, IGM의 문제로 각 컨텍스트에서 동일한 클러스터 수가 사용되는 점과 전형적인 퍼지화 계수가 설정된다는 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IGM을 최적화하여 각 컨텍스트에서 클러스터 중심의 수와 퍼지화 계수를 최적화하는 설계 방법을 제시했다. 제안된 방법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해 Ecotect에서 시뮬레이션 한 12가지 건물 형태를 사용하여 에너지 효율 예측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고, 제안된 방법은 기존의 IGM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이는 것을 확인했다.

A Framework Integrating Problem Frames and Goal Modeling to Support Variability Analysis during Requirements Elicitation (요구사항 수집 단계에서 가변성 분석을 위한 문제 프레임 및 목표 모델 통합 프레임워크)

  • Singh, Meetushi;Lee, Seok-Won
    • Journal of KIISE
    • /
    • v.44 no.3
    • /
    • pp.261-274
    • /
    • 2017
  • Variability management is the foremost criterion that defines the extent to which complexities can be handled in a system. Predominantly, the requirements' engineering (RE) study overlooks, or speculates a consistent behavior of, the environment in which a system functions. In real-time systems it is vital to observe and adjust to an intrinsically changing context. Therefore, in this work we identify the requirements of the system in various contexts by recommending a framework using i* goal model, problem frames, use case maps and live sequence charts. The framework is illustrated using a case study of the smart grid RTP system. In the case study, elaboration of scenarios using use case maps and live sequence charts proved beneficial as they assisted in early analysis and validation of contexts. In addition, the elaboration of requirements for obstacle and conflict analysis assists the requirements engineer to increase the robustness of the system. The proposed framework is evaluated theoretically and by empirical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