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커큐민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1초

효소변형 전분기반 하이드로젤 모델 프리믹스 내 탑재된 커큐민의 소화과정 중 안정성 (Stability of the enzyme-modified starch-based hydrogel model premix with curcumin during in vitro digestion)

  • 강지현;노신정;이지영;김용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365-374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커큐민 함유 에멀션의 안정성을 위해 필드하이드로젤로 쌀전분(RS), 1시간 효소처리한 전분(1GS), 24시간 효소처리한 전분(24GS), 96시간 효소처리한 전분(96GS)을 사용하였으며 이를 이용한 모델 프리믹스로 커큐민 탑재 필드하이드로젤 분말(FHP)을 제조하여 탑재된 커큐민의 안정성 및 in vitro 소화 후 커큐민 보유율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FHP는 커큐민 함유 에멀션분말(EMP)과 비교하여 재분산시 크리밍 현상없이 분산안전성을 보여주었다. 재분산 하이드로젤은 고온에서 녹으면서 오히려 액적(droplet)의 유착(coalescence)과 응집(flocculation)이 가속화되어 에멀션에 비해 열안정성이 떨어졌으나 UV 안정성은 RS-FHP와 1GS-FHP에서 유의적인 커큐민 보호 효과를 나타냈다. GS-FHP는 in vitro 소화 중 기름방울의 응집 및 유착이 발견되지 않았으며 소화 후 에멀션의 유상에 용해된 커큐민을 성공적으로 보호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GS-FHP는 분말형태 프리믹스 개발에 새로운 소재로 사용 가능할 것이며 커큐민 외에 다른 다양한 소수성 기능성물질에 대해서도 적용을 확장할 수 있을것으로 생각된다.

서브마이크론 입자 형태 커큐민의 생체 흡수율 및 제품 조성에 따른 흡수율 동등성 연구 (Oral Bioavailability for Sub-micron Particle Curcumin (TheracurminCR-033P) and Absorption Rate by Product Composition in Healthy Human Volunteers)

  • 박희정
    • 산업식품공학
    • /
    • 제21권3호
    • /
    • pp.273-279
    • /
    • 2017
  • 커큐민 분말은 항산화 및 항염증 등의 생리활성을 내세우며, 건강기능식품 및 일반식품의 마케팅 포인트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커큐민의 낮은 체내 흡수율은 생리적 기능성에도 영향을 미칠것으로 사료되어 리포좀 형태나 인지질 결합 형태로 커큐민의 제형 개발이 활발이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커큐민의 체내 흡수율을 높이고, 실제 산업에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커큐민을 서브마이크론 입자 형태의 제형으로 개발하여, 일반 커큐민 형태와의 흡수율을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 일반 커큐민 보다 서브마이크론 입자 형태 커큐민의 체내 흡수율이 남녀 평균 28배 더 높게 나타났다. 서브마이크론 입자 형태 커큐민의 체내 흡수율은 성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며, 남성의 경우는 22배, 여성의 경우는 35배 흡수율이 높게 나타났다. 편의성을 증진시킨 농축제제와 기존 제제의 흡수율은 $C_{max}$ 값이 각각 166.0과 177.7로 통계적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단회 투여 후 8시간 동안의 AUC 값 역시 약 952와 약 849로 나타나 제제의 동등성에서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일반 커큐민 보다 서브마이크론 입자 형태 커큐민의 체내 흡수율이 남녀 평균 약 28배 증진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편의성을 증진시킨 농축제제와 일반 제제의 흡수율이 거의 동일하게 나타났다.

고지방식이 급여 마우스에서 curcumin의 인슐린 저항성 개선 효능 (Improvement of Insulin Resistance by Curcumin in High Fat Diet Fed Mice)

  • 김단비;안은영;김은정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1호
    • /
    • pp.315-323
    • /
    • 2018
  • 당뇨 환자의 급격한 증가는 한국의 주요 건강문제중 하나이다. 당뇨 예방 또는 치료용 식품개발에 대한 노력의 일환으로 본 연구에서는 고지방식이급여로 유도한 제2형 당뇨동물모델에서 커큐민의 항당뇨효능을 연구하였다. C57BL/6 마우스를 정상식이, 고지방식이, 그리고 고지방식이에 0.02% 커큐민을 급여한 군으로 나누고 각 식이를 총 16주간 급여하였다. 그 결과, 커큐민 급여군이 고지방식이급여군에 비해 체중 증가량, 혈당, 혈중 인슐린, 총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농도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반면에 HDL-콜레스테롤 수준은 증가하였다. 또한 커큐민의 급여는 인슐린 신호전달체계를 활성화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커큐민이 인슐린 저항성을 일부 극복시킴으로써 비만과 연관된 제2형 당뇨병을 개선시킬 수 있음을 제시한다.

커큐민으로 프린팅된 종이와 면직물의 유해가스에 대한 색채 감지 거동 (Colorimetric Sensing Behavior of Curcumin Printed on Paper and Cotton Fabric)

  • 김민희;이호익;박윤철
    • 대한화학회지
    • /
    • 제65권4호
    • /
    • pp.260-267
    • /
    • 2021
  • 친환경 천연 소재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면서, 천연 염료에 대한 연구에도 많은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자연에서 얻을 수 있는 천연 염료 중 하나인 커큐민(Curcumin)은 인체 무독성의 친환경 분자로, 강황에서 발견되는 원료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커큐민을 잉크화 한 후 잉크젯 프린팅(Inkjet Printing) 방법을 통해 종이와 면직물에 프린트하여 암모니아 및 염화 수소 가스에 대한 색채 감지 거동 특성을 분석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음식물 부패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비색 센서로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종이와 면직물에 프린트된 시료의 암모니아 가스 노출에 따른 색차를 비교하고, 가역성과 내수성을 확인하였다. 두 시료 모두 암모니아와 염화 수소에 대한 가역반응을 보였으며, 부패한 음식에서 발생하는 미량의 암모니아에 대해서도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을 정도의 색상 변화를 나타내어, 식품 부패 비색 센서로 활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TREK-1 채널에 대한 플라보노이드의 효과 (The effect of flavonoids on the TREK-1 channel)

  • 김양미;김경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2660-2667
    • /
    • 2011
  • TREK-1 채널은 two-pore 도메인 포타슘 (K2P) 채널로서 세포내 pH, 세포막의 신전, 불 포화 지방산, 온도, 휘발성 마취제, 신경세포방어물질에 의해 잘 조절된다. TREK-1 채널은 포타슘 이동에 의해 신경세포의 흥분성과 안정막전압을 조절한다. 최근 TREK-1은 전립선 암세포에서도 과발현됨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TREK-1 채널에 대한 플라보노이드 효과는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기생리학적 방법 중의 하나인 excised inside-out patch기법을 이용하여 TREK-1 채널을 조절하는 플라보노이드를 탐색하는 것이다. TREK-1 채널이 발현된 CHO 세포에서 단일채널 팻취고정 방법을 이용하여 커큐민 (curcumin), EGCG (epigallocatechin-3-gallate), 퀘르세틴 (quercetin)에 의한 TREK-1 채널의 차단효과를 증명하였다. 퀘르세틴과 커큐민의 차단효과는 가역적으로 회복되었으나 EGCG는 거의 회복되지 않았다. 퀘르세틴, EGCG, 커큐민의 상대적 채널 활성도 (relative channel activity)는 $73{\pm}2.3%$ (n=5), $91{\pm}3.2%$ (n=7), $94{\pm}5.6%$ (n=4)까지 감소하였다. CHO 세포에 발현된 TREK-1 채널에 대한 커큐민, 퀘르세틴, EGCG의 $IC_{50}$는 각각 $1.04{\pm}0.19\;{\mu}M$, $1.13{\pm}0.26\;{\mu}M$, $13.5{\pm}2.20\;{\mu}M$ 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플라보노이드가 TREK-1 채널을 억제하며, 이 조절은 신경계 또는 종양세포에서 플라보노이드의 약리학적 작용 중의 하나임을 제시한다.

커큐민과 대두 추출물의 RAW 264.7 대식세포에서의 항염증 효과 및 여드름 피부 개선효과에 관한 연구 (Research regarding curcumin and soybean extract's influence on anti-inflammatory and acne and skin-repairing effect on RAW 264.7 macrophages)

  • 유선희;문지선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311-323
    • /
    • 2016
  • 울금의 주요 성분인 커큐민과 대두 추출물인 이소플라본의 피부 미용 측면에서 생리활성을 연구하여 화장품 소재로서 가능성 여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세포실험을 통해 커큐민과 대두 추출물을 피부 세포에 대한 독성 및 항염증을 확인하고, HPLC을 이용하여 대두 추출물의 성분분석과 피부에 적용하였을 때 수분과 유분, 홍반변화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 커큐민이 RAW 264.7 세포에 대한 독성이 적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항염증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였다. 8주 동안 커큐민과 대두 추출물이 함유된 화장품과 식이를 병행하여 사용하였을 때 수분함량 변화, 유분함량 변화, 홍반 지수의 감소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를 나타내었으며, 여드름 피부에 유의한 효과를 가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커큐민과 대두 추출물이 화장품 소재로 사용 시 여드름 피부 개선에 효과적인 화장품 소재로서 활용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경피전달을 위한 커큐민 젤의 창상치유효과 (Wound Healing Effect of Curcumin Gel for Transdermal Delivery)

  • 김진;김만종;이기영
    • 폴리머
    • /
    • 제37권3호
    • /
    • pp.387-392
    • /
    • 2013
  • 이 연구의 목적은 curcumin 함유 젤을 쥐의 손상된 등부위 조직에 적용하여 경피전달에 따른 창상치유 효과를 관찰하였다. 카보머 934와 프로필렌글리콜을 이용하여 curcumin 함량이 1%인 젤을 제조하였다. Curcumin 자체의 항산화능과 함유 젤의 세포독성, 항염증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1,1-Diphenyl-2-picryl hydrazyl(DPPH)로 관찰한 자유라디칼 소거능은 12.5 ppm 농도에서 50% 저해능을 관찰하였다. Curcumin 젤은 RAW 264.7 세포에서 lipopolysaccharide(LPS)로 유도한 nitric oxide(NO) 생성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했다. In vivo 동물실험에서 curcumin 젤의 처치그룹이 curcumin이 함유되지 않은 젤과 비교했을 때 창상 부위의 재 상피화의 경향이 확연히 증가된 것을 실험기간 동안 관찰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결과적으로 curcumin 젤은 상처치료의 증진을 도와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GC-MS법을 이용한 울금의 퇴화물 분석 (Analysis of the Degradation Products of Turmeric using GC-MS)

  • 안춘순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859-868
    • /
    • 2007
  • 퇴색된 출토복식의 염료를 판정하기 위한 장기적인 프로젝트의 일환으로서 본 연구에서는 울금뿌리로부터 추출한 염료와 추출염료로 염색한 직물을 실험실 조건에서 28일간 퇴화시킨 후 그로부터 생성되는 퇴화 화합물을 가스 크로마토그라피 질량분석법(GC-MS)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2-propenoic acid, 3-(2-hydroxyphenyl)-는 오븐 퇴화시킨 울금추출액 전체에서 지속적으로 검출되었으며, 그 양은 7일 퇴화시료 까지 급격히 감소하다가 그 후 28일까지는 서서히 평형을 유지하였다 울금추출액의 오븐 퇴화 결과 위의 다섯 개 화합물 외에 isovanillin과 vanillic acid가 새롭게 검출되었다. 28일간 퇴화시킨 PER시료에서는 isovanillin과 그 외에 feruloylmethane, 2-propenoic acid, 3-(2-hydroxyphenyl)-, benzoic acid, and vanillic acid가 검출되었다. 울금추출액으로 염색한 직물로부터는 feruloylmethane과 2-propenoic acid, 3-(2-hydroxyphenyl)-가 퇴화물로 검출되었다. PER 방법에서 검출된 isovanillin과 feruloylmethane, 2-propenoic acid, 3-(2-hydroxyphenyl)-, benzoic acid, vanillic acid등은 출토복식 중 울금으로 염색된 직물을 확인하는 데 주요한 대조구 화합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