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캠퍼스 외부공간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3초

사용자인식 분석을 통한 캠퍼스 외부공간 개선방향 설정에 관한 사례연구 - 부산시 소재 대학을 중심으로 - (A Case Study on the Exterior Space Improving in University Campus through the Analysis of User's Cognition - Focused on Campuses in Busan City -)

  • 홍성민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33-42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basis for exterior space improving in university campus in terms of upgrading the quality of university education environment by analysing user's cognition and physical feature about campus exterior space. For this, this study was survey six major university students in Busan city about perception of campus exterior space, and analyzes the user's cognition by using natural-language vocabulary analysis for qualitative approach. Next, this study analyzes the physical feature of campus exterior space by investigating user's intensive using spaces and preferred, non-preferred spaces in their universities, then propose the improved direction of campus exterior space by comparing the analyzed data of user's cognition and physical feature. A SPSS20 program is used for the data analysis and the sample sizes are 171 college students.

대학교 캠퍼스 이미지 조성을 위한 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 교문과 주변시설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mposition Factors for Making-up University Campus Image - Focused on the Cates & Surroundings Facilities)

  • 문재호
    • 디자인학연구
    • /
    • 제18권1호
    • /
    • pp.145-156
    • /
    • 2005
  • 대학교문은 그 대학의 첫인상을 결정짓는 얼굴의 역할을 하며, 학교를 대표하는 주요 홍보시설이다. 특히 출입을 위한 일반적인 기능시설 이상의 비중을 지니는 상징물이다. 또한 대학캠퍼스의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을 이어주는 매개물이며 공공성을 지니고 있는 조형물이므로 각 대학들은 교문의 기능적 측면뿐만 아니라 다른 대학과 차별되는 상징성을 추구하여 개성 있는 교문을 추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최근 들어 캠퍼스의 외부환경정비를 통한 일관된 대학 이미지의 정립을 위하여 대학의 옥내공간뿐만 아니라 옥외공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데, 이러한 시점에서 대학교문과 주변시설에 대한 연구는 바람직한 캠퍼스이미지 환경을 위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할 과제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국 104개 대학교 교문의 현장조사와 설문조사에 의한 실험연구를 통하여, 교문의 24개 유형분류와 5가지 형태적 특성, 8가지 상징적 특성 그리고 10가지 교문주변시설을 분석하였으며 그 구성요소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 PDF

미스 반 데어 로에의 IIT 캠퍼스의 구성과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f the composition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IIT campus by Mies van der Rohe)

  • 김철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1호
    • /
    • pp.6915-6921
    • /
    • 2014
  • 본 연구는 미스 반 데어 로에의 일리노이 공과대학 캠퍼스(1339-1359)의 구성과 공간적 특성을 분석하는 것을 주제로 한다. 미스의 건축에 대한 연구가 "보편적 공간"이나 구조적 합리성 등 단일 건축물에 치중되어 왔다면 IIT 캠퍼스는 여러 동의 건물로 공공 공간을 구성한 단지계획이라는 점이 연구의 동기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스의 기존 작품들과의 연관성을 도출하고 IIT 캠퍼스의 계획의도를 분석하기 위해 미스가 그린 스케치, 배치도, 투시도 등을 분석하였다. 그리하여 도출한 결론은, 첫째 미스는 단순한 형태의 선형건물을 공공 공간을 규정하는 벽처럼 사용하여 "흐르는 공간"을 캠퍼스 전반에 구현하였다. 둘째, IIT 캠퍼스는 그 자체로 도시 공간의 한 일부분으로서 통합되는 "중립적 프레임"이 되었다. 셋째, 캠퍼스의 내부에는 학생들을 위해 외부의 혼잡함으로부터 보호받으며 조용한 안정감을 주는 동시에 주변 공간과 연속되고 개방된 공공 공간을 만들었다.

지역거점으로서의 캠퍼스 외부공간 디자인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Campus Outdoor Spaces as a Regional Hub)

  • 이을규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8권4호
    • /
    • pp.33-40
    • /
    • 2016
  • The campus outdoor space in each city is a very important space for students and local residents. Especially, for students, indoor space such as classroom is the main place to learn knowledge. But the outdoor space provides an opportunity to interact with people in other sectors and it also gives an opportunity that can make students sense the flow of the times. Moreover, students have the opportunity to integrate knowledge of the other fields in the outdoor space. The campus also provides an important resting place for residents. Therefore the campus should be convenient for both local residents and students, and should be designed to let students and local residents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outdoor space.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the problems of the outdoor space in such a point. The high scores of campus evaluation indexes are as follows: First, the lighting in the favorite space and installing seats in a green space of the vestibule get the highest score. Also, separation of a sidewalk and a roadway, the ease of holding events, simple food and beverage near the entrance, the interacting place of people, the resting place near the porch in cold winter, the lighting in a bus stop and parking lot also get good evaluations.

대학 캠퍼스 마스터플랜의 중심공간의 성격과 외부공간의 위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Campus Core and Hierarchy of Exterior Space in University Campus Masterplan)

  • 최진희;김진모;조성용
    • 교육시설
    • /
    • 제16권3호
    • /
    • pp.59-67
    • /
    • 2009
  • The intention of the study is to understand a characteristics of 'Campus core' in university campus and to verify the connection and hierarchy of exterior space in campus masterplan. This study concludes that 'Multi-nuclei structure', is where a single campus core was subdivided into several service cores, is an integral part of campus masterplan in process of expansion from campus core and the changing exterior space, by in-depth case analysis of Seoul Women's University Campus.

집중력 회복이론을 통한 지역거주민들의 대학캠퍼스 이용실태 및 만족도 (A Study on the Utilization and Satisfaction of Local Residents in College Campus with the Attention Restoration Theory)

  • 이시영;박군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7-47
    • /
    • 2014
  • 본 연구는 외부이용자를 대상으로 근린공원과 대학캠퍼스의 이용실태와 만족도 그리고 회복환경지각척도를 이용한 조사 및 비교 분석을 통해, 대체녹지로서의 캠퍼스 녹지공간에 대한 치유적 환경으로서의 역할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먼저 문헌연구로서, 선례연구 및 관련 연구문헌들을 조사하여 이론에 대한 적용가능성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실증연구로서 근린공원과 대학캠퍼스 오픈스페이스 공간의 이용현황을 파악하고, 조성된 시설과 환경에 대해서 이용자들의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근린공원과 캠퍼스 오픈스페이스 공간이 치유적 환경으로서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측정하고, 이러한 특질이 이용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 치유환경 기여도 분석에서 모두 평균 4점 이상으로 상대적으로 높은 기여도를 나타냈다. 이는 도시민들이 스트레스가 넘쳐나는 현대에 사람과 자연의 관계를 더욱 중요하게 느낀다는 것을 실제로 증명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집중력 회복이론은 캠퍼스보다는 근린공원의 경우에서 더 높은 설명력을 보여주었다. 요인분석 결과, 회복환경지각척도 구성 요인과의 유사성은 캠퍼스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회복환경지각척도에 따른 분석에서 경관의 치유적 특질은 대학캠퍼스 오픈스페이스 공간의 평가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치유적 특질을 이용하면 새로운 측면에서 인공 경관을 평가 할뿐만 아니라, 경관개선 방안도 다양한 각도에서 마련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대학캠퍼스 외부공간 경관요소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Landscape Elements in Outdoor Space at University Campus)

  • 김익환;김천일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2권3호
    • /
    • pp.58-67
    • /
    • 2013
  •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atisfaction and the image evaluation of landscape elements in outdoor space by types of the university campu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Out of outdoor elements at university campus, planting area, resting area, access road, and water feature are recognized as major landscape elements. Among them, planting area and access roads are evaluated low in terms of satisfaction levels, therefore, improvement on these elements are required. 2) In outdoor space image evaluation, university campus has image such as 'simple', 'clear', and 'safe'. By scale of universities, both 'A' university, which is the biggest in terms of size of campus, and 'B' university, which has a medium sized campus, have a positive image. However, 'C' university, which is the smallest in terms of size of campus, has a passive and negative image. 3) 6 factors are extracted through Factor Analysis for image evaluation. All of the universities show positive image in the categories of 'clarity' and 'familiarity', however, 'B' university and 'C' university show negative image in the category of 'scale'. 4) In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landscape elements satisfaction level and image evaluation, it is showed that the group of landscape facility becomes a relation factor of overall image evaluation. As a result, the higher satisfaction level goes, the better image evaluation of overall outdoor space at university campus is.

대학 캠퍼스계획의 분석을 통한 방향설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lanning Direction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ampus Plan)

  • 안경환
    • 교육시설
    • /
    • 제16권5호
    • /
    • pp.27-33
    • /
    • 2009
  • The existing universities enlarged the scope, filled up the facilities. And many new universities are founded by increase of university students, the change of curriculum and extension of installations for new curriculum. However, the planning for university campus hinders desirable activities in campus and also the origin function of university, because of the problems caused by an application of a uniform planning standard that lacks in logical analysis and such a short step as the occasion demands for the growth and the change of the university campus changing more rapidly than any other field in society. This dissertation is for space program beginning from architectural explanation and basic planning concluding a general structure-planning for land utility, circulation planning, and building layout planning in order to find the practical solution for the applicable campus plan. The contents of this dissertation is summarized below. First, I studi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university, the structure of the university facilities and the expansion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campus. Second, through the case study of domestic campus planning, I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and the problems about space programming, facility layout planning, circulation planning and exterior space planning. Third, in the basis of the above analyses, I set up the directions of comprehensive campus master plan.

대학캠퍼스의 인지적 외부 공간환경에 대한 재학생만족도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The Effects of College Students' Satisfaction in Perceived Public Outdoor Spatial Environment on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 김원필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27-34
    • /
    • 2013
  • Public outdoor spatial environment and its convenient facilities are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providing space for various student activities in university campus.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many socio-demographic-economic students' background and motivation have impacted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Moreover, research also contended that school facilities at some points also influenced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Thus, the aim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of various spatial environment through survey. For that purpose, one university campus was selected and evaluation indexes were categorized into five major components of physical and experimental environment, later supported b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found that extracted factors were significantly interrelated to academic achievement. Further, regression analysis also explored sense of belonging as major predictor of academic achievement. Finally the study suggested that campus plan be approached carefully, because such experimental environment as diverse club activities at outdoor environment is a key element to academic achievement even though rated low scores in satisfaction.

공간 DBMS를 이용한 실내 공간관리시스템 (An Indoor Space Management System using a Spatial DBMS)

  • 이현진;김혜영;전철민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1-38
    • /
    • 2009
  • 지금까지 연구되어온 대부분의 3차원 모델은 외부 볼륨에 대해 이론적인 토폴로지 모델과 부분적인 구현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최근에는 CityGML이나 IFC와 같이 실내공간에 대한 모델들도 제안되거나 상용화되고 있으나 실내 공간에 대해서 완전한 토폴로지를 구현하는 것은 데이터 모델이 지나치게 복잡해지거나, 응용 분야에 따라서는 이러한 완전한 모델이 불필요한 경우가 많다. 또한 현재 상용화된 공간 DBMS에서 3차원 토폴로지와 관계된 함수를 완전히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구현상에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의 해결 방법의 하나로써 2차원 GIS 구조에 저장된 토폴로지 특성을 이용하여 멀티-레이어화된 실내 공간 3차원 모델을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는 공간 DBMS중 하나인 PostGIS 활용하여 제안된 모델을 구축하는 과정과 이렇게 설계된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활용하여 캠퍼스 공간정보 시스템을 구현하고 실행시키는 과정을 설명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