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캠퍼스 네트워크

검색결과 79건 처리시간 0.041초

캠퍼스 기가비트 네트워크 성능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Gigabit Network in Campus)

  • 지홍일;이준희;이재영;조용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권3호
    • /
    • pp.96-104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캠퍼스 내의 네트워크 사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네트워크 성능분석을 해 보았다. 캠퍼스 내부의 네트워크 백본은 기가비트 이더넷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네트워크 평균이용율이 1%이내이고 최대이용율도 10%정도이다. 또한 현재 캠퍼스내의 외부망으로의 회선 이용율은 평균 30.4%이고 최대 38.3%로 네트워크 유통량은 아직은 충분한 여유가 있다. 그러나 보안상의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캠퍼스 전체 네트워크에 대한 방화벽을 하나 더 설치하면 교내 클라이언트들까지도 보호할 수 있어 더욱 더 안전한 캠퍼스 내부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기반에서의 zigbee를 이용한 u-캠퍼스 설계(유한대학 사례연구) (Design of u-Campus Using zigbee based on USN(Case Study of Yuhan College))

  • 안병도;안병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11호
    • /
    • pp.130-139
    • /
    • 2007
  • 현재 무선통신의 효용성이 증가되면서 다양한 분야에서 유선과 무선을 통합한 형태의 연결망으로 구축된 유비쿼터스 환경이 발전되고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환경에서 각 대학은 유비쿼터스 센서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u-캠퍼스 구축이 활발하게 발전하고 있다. u-캠퍼스는 유비쿼터스 컴퓨팅 기술과 무선 네트워크기술을 대학의 캠퍼스에 접목시켜 구축한 형태의 새로운 캠퍼스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u-캠퍼스 기반에서의 zigbee 기술을 이용한 전문대학의 특성에 적합한 u-캠퍼스를 설계하였다. zigbee 무선 통신기술을 적용한 u-캠퍼스 서비스는 zigbee 네트워크를 이용한 편리한 서비스를 구성원에게 제공한다.

캠퍼스 마이크로그리드 전력수요 특성분석 (Analysis of the Campus Microgrid Power Demands)

  • 이용석;김진호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15년도 제46회 하계학술대회
    • /
    • pp.461-462
    • /
    • 2015
  • 세계적으로 마이크로그리드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서 DER(Distributed Energy Resources : 분산형 독립전원)의 역할이 대두되고 있다. 캠퍼스 마이크로그리드는 대학교의 캠퍼스를 하나이상의 DER로 선정하여 피크 시 교내 전기수요의 일부분을 해소할 수 있는 전력망 기반의 네트워크 시스템이다. 해외에서는 이미 캠퍼스 마이크로그리드 성공사례를 보여주었고, 이후 많은 캠퍼스에서 캠퍼스 마이크로그리드를 벤치마킹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캠퍼스 마이크로그리드에 필요한 DER을 구성하기 전 캠퍼스 내의 건물별, 계절별 전력수요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 PDF

지능형 캠퍼스 기반에서 모바일을 이용한 u-캠퍼스 연구 (A Study for u-Campus using Mobile based Intelligent Campus)

  • 안병태;김민선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1부
    • /
    • pp.231-234
    • /
    • 2010
  • 지능형 캠퍼스는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다양한 관련 기술이 활용되고 있다. 특히 유비쿼터스 컴퓨팅과 네트워크 기술을 대학의 캠퍼스에 접목시켜 구축한 새로운 형태의 캠퍼스가 지능형 캠퍼스이다. 본 논문에서는 물리적 공간, 사용자 행위, 디지털 환경 등을 고려하여 정보자원의 효율적 관리와 교수, 직원, 학생 등 사용자간 정보공유 편의성 증대를 위해 지리적으로 떨어진 교정을 통합한 모바일을 이용한 u-캠퍼스를 제안한다. u-캠퍼스는 단일 로그인으로 학생 포털, 교직원 포털, 일반 포털을 전체적으로 관리 지원하며 지능형 기반에서 모바일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사용된다.

  • PDF

캠퍼스 네트워크의 구성 및 성능분석 자동화 방법론 (A Study on the Automated Methodology for Campus Network Design and Performance Analysis)

  • 이종근
    • 한국시뮬레이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시뮬레이션학회 1998년도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98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1-26
    • /
    • 1998
  • 본 연구는 Zeigler가 제시한 DEVS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방법론에 전문가 시스템 및 기호적 시뮬레이션기법등 다양한 추론기법들을 결합시킴에 의해, 캠퍼스 네트워크의 설계 및 성능분석 자동화 방법론과 도구의 개발을 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SES/MB를 이용하여 정보시스템의 구성설계 및 성능분석 자동화 방법론을 제시하였고, 캠퍼스 네트워크에 대한 사례 연구를 통하여 그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기존의 연구들과의 차별성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구성 전문가의 지식베이스를 활용한 구성 설계 자동화, 둘째, 해석적 기법이 아닌 시뮬레이션 기법을 이용한 성능분석, 셋째, 요구조전 및 제약조건들에 따른 행동궤적의 자동생성 및 이를 이용한 성능분석 자동화등을 들 수 있다.

  • PDF

스마트시티를 위한 보안기술 개발용 관제시스템 센서 및 빅데이터 운영 (Operation of Sensor and Big data from Smart City CCTV System for Developing Security Technology)

  • 이신재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379-380
    • /
    • 2022
  • KAIST 캠퍼스 기반의 실습환경 구축을 위하여 캠퍼스 전체를 스마트시티 테스트베드로 사용하며 CCTV 네트워크 기반 모니터링/관제 시스템 구축, 교통, 방범, 가로등, CCTV, 교내 버스 등 인프라 통합 관제 및 보안 실습실 구축하고 교내 자율주행 기술 연구진과 실습 협력 추진을 통한 캠퍼스 기반의 실전 스마트 환경을 토대로 다각도의 보안 공격/방어 실습을 진행하고 지자체 및 컨소시엄 기업들과 산학협력 프로젝트를 진행하기 위하여 구축한 내용을 설명한다.

무선 센서노드의 전파수신강도(RSS)를 이용한 캠퍼스 차량 위치관리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Campus Car Loc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Received Signal Strength of Wireless Sensor Node)

  • 최준영;김현중;양현호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8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A
    • /
    • pp.473-476
    • /
    • 2008
  •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는 홈 네트워크, 텔레매틱스 등의 IT 산업분야를 비롯하여 물류, 유통, 환경, 교통 등 산업 전반에 다양하게 응용되고 있으며 이들 기술이 공통적으로 요구하는 기술 요소 중의 하나는 센서노드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추적하고 관리하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응용분야로서 무선센서노드의 전파수신강도(RSS)에 기반한 위치측정 기법을 캠퍼스 내 차량 위치 측정에 활용하는 것을 제안하고 그 구현방안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이를 위하여 무선센서노드의 최적의 경로 탐색 및 멀티홉 설정 방안을 고찰하였으며 실제 적용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 절차를 제안하였다. 실외환경에서의 실험 결과 제안된 방식은 캠퍼스환경에서 차량의 주차위치를 관리하기에 충분한 위치 정확도를 제공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 PDF

Fisher 선형 분류법을 이용한 비정상 트래픽 탐지 (Traffic Anomaly Detection for Campus Networks using Fisher Linear Discriminant)

  • 박현희;김미정;강철희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140-149
    • /
    • 2009
  • 최근 인터넷을 통한 각종 침해사고 및 트래픽 폭주와 같은 현상이 급격하게 증가함에 따라 네트워크의 비정상적 상황을 조기에 탐지하기 위한 보다 능동적이고 진보적인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캠퍼스 네트워크와 같이 트래픽이 주기적인 특성을 띠는 환경에서 Fisher 선형 분류법(FLD)을 사용하여 트래픽을 두 개의 그룹으로 분류하고, 네트워크에 유입되는 트래픽이 어떤 그룹에 속하는지를 판별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WISE-Mon이라 불리는 트래픽 분석 시스템을 개발하여 캠퍼스 네트워크의 트래픽을 수집하고 이를 모니터링해서 분석을 수행한다. 생성된 트래픽의 training set을 이용하여 비정상 트래픽의 범위를 판단하기 위한 chi-square distribution을 유도하고, FLD를 적용하여 유입되는 트래픽을 두 그룹으로 분리하기 위한 초평면 (hyperplane)을 만든다. 또한 네트워크 내의 트래픽 패턴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계속적으로 변하는 상황을 반영하기 위하여 self-learning 알고리즘을 적용한다. 캠퍼스 네트워크의 트래픽을 적용한 수학적 결과를 통하여 제안하는 기법의 정확성과 신뢰도를 보여준다.

  • PDF

캠퍼스 보안을 위한 IoT 및 무선 센서 네트워크 모니터링 (IoT and Wireless Sensor Network Monitoring for Campus Security)

  • 아흐메드 매틴;칭청주후;살만아프리카;무함마드 우스만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33-41
    • /
    • 2018
  • 스마트 캠퍼스의 플랫폼으로 사물 인터넷에 대한 아이디어가 점점 대중화되고 있다. 인터넷에 연결하기 위해 통신 네트워크, 센서 노드 및 게이트웨이로 구성된 인프라가 필요하며 각 센서 노드는 환경에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스마트 캠퍼스 모니터링을 적용하기 위해 인터넷에 구성한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설명한다. 무선 센서 네트워크 모니터링은 저전력 구현 및 통합 시스템을 사용하는 완벽한 솔루션이다. 그러나 제한된 컴퓨팅 범위, 제한된 컴퓨팅 성능,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가용성 부족, 프로그래밍 보안 부족 및 기밀성, 무결성 및 가용성 분야의 보안 오류로 인해 수많은 제약이 있다. WSNM 노드를 위한 새로운 보안 기술과 기능이 개발되었다. 보안 네트워크 연구 개발 및 서비스 거부 (DOS) 및 복잡성 공격 방지를 위한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시스템이 제대로 구현되면 사전 할당을 통한 에너지 효율성 메커니즘과 안전한 루틴 알고리즘을 통해 핵심 관리 모델의 새로운 키를 제공 할 수 있다.

네트워크 트래픽 분포 엔트로피를 이용한 비정상행위 탐지 방법 (Anomaly Detection Method Using Entropy of Network Traffic Distributions)

  • 강구홍;오진태;장종수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3C권3호
    • /
    • pp.283-294
    • /
    • 2006
  • 악의적인 네트워크 트래픽은 흔히 공격의 성질을 구체적으로 알지 않고서도 평상시 트래픽과 구별된다. 본 논문에서는 네트워크 인바운드 트래픽 분포를 이용해 네트워크 트래픽 비정상행위를 탐지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먼저 실제 캠퍼스 네트워크의 트래픽 특성을 프로토콜, 패킷 길이, 목적지 IP/포트 주소, TTL 값, TCP SYN 패킷, 그리고 프래그멘트 패킷 분포 등을 통해 조사하였다. 이렇게 구해진 다양한 베이스라인 트래픽 분포로부터 엔트로피를 계산하고 이를 기준으로 비정상행위를 탐지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잘 알려진 서비스거부공격을 실제 캠퍼스 네트워크를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제시함으로서 제안된 기법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