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카메라 트래킹

Search Result 61, Processing Time 0.053 seconds

Development of real-time camera tracking and dense reconstruction algorithm for representing occlusion effect in augmented reality contents (증강현실에서 가려짐 표현을 위한 실시간 영상 트래킹 및 조밀 복원 알고리즘)

  • Kang, Hyun;Kim, Jae-Heon;Koo, Bonk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8.06a
    • /
    • pp.297-298
    • /
    • 2018
  • 증강현실 콘텐츠에서 가려짐 표현은 사실감을 위한 필수적이다. 가려짐이란 가상 물체의 일부가 실제 사물에 의해서 가려져서 표현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카메라의 트래킹 정보와 함께 현재 관찰하고 있는 실제 세계의 3차원 스캔 정보를 같이 획득해야 한다. 카메라 트래킹이란 현재 카메라가 세상의 어디에 위치해있는지, 어떤 자세로 바라보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하는 기술이다. 3차원 스캐닝이란 실제 물체를 이루는 모든 점들의 3차원 위치 관계를 파악하는 과정이다. 가상물체의 3차원 위치와 자세가 실제물체의 위치/자세와의 관계를 통해서 가상물체의 그려야할 부분과 그리지 말아야할 부분을 판단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트래킹과 스캐닝을 동시에 처리하여 가려짐 표현이 가능한 증강현실용 트래킹 기술을 제안한다. 카메라 트래킹이 실내외에서도 제약없이 동작하기 위해서 스테레오 카메라를 활용하였다. 트래킹은 카메라 프레임간 특징점들의 상호 관계를 파악하는 방법에 의해서 구하였다. 스테레오 카메라 이미징을 통해서 매 프레임마다 실세계의 3차원 깊이정보를 파악하게 되고, 이를 앞서구한 카메라 위치자세를 통해서 3차원 깊이 데이터를 병합하는 과정으로 스캐닝기술을 구현하였다.

  • PDF

Correcting 3D camera tracking data for video composition (정교한 매치무비를 위한 3D 카메라 트래킹 기법에 관한 연구)

  • Lee, Jun-Sang;Lee, Im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2.07a
    • /
    • pp.105-106
    • /
    • 2012
  • 일반적으로 CG 합성이라 하면 '자연스러운' 것을 잘된 CG영상이라고 한다. 이 때 촬영된 영상이 정지화면 일 수 만은 없다. 카메라가 움직이는 영상에서는 CG합성도 실사카메라 무빙에 맞게 정확한 정합이 되어야 자연스러운 영상이 된다. 이를 위해 합성단계에서 작업할 때 3D 카메라 트래킹 기술이 필요하다. 카메라트래킹은 촬영된 실사영상만으로 카메라의 3차원 이동정보와 광학적 파라미터 등 촬영시의 3차원 공간을 복원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카메라 트래킹에 대한 오류의 발생으로 실사와 CG의 합성에 대한 생산성에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소프트웨어에서 트래킹데이터를 보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 PDF

Maker Tracking System Using Infrared Camera and Web Camera (적외선 카메라와 웹 카메라를 이용한 마커 트래킹 시스템)

  • Ko, Young-Woong;Kim, Byung-Ki;Song, Chang-Geun;Jang, Jae-Hyuck
    • Journal of KIISE:Computing Practices and Letters
    • /
    • v.16 no.7
    • /
    • pp.753-758
    • /
    • 2010
  •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fficient marker tracking system that exploits IR and web cameras. The proposed method solves the marker swap problem and allows for fast and responsive marker tracking. We use color information gathered from the IR reflector to assign a unique identification to each marker. We can locate each marker withthe IR camera and also identify the marker uniquely by using color information provided by the web camera. The experiment results show that marker swapping can be eliminated effectively. Furthermore, our approach allows for faster and more responsive marker tracking.

A Study on Correcting Virtual Camera Tracking Data for Digital Compositing (디지털영상 합성을 위한 가상카메라의 트래킹 데이터 보정에 관한 연구)

  • Lee, Junsang;Lee, Imgeun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7 no.11
    • /
    • pp.39-46
    • /
    • 2012
  • The development of the computer widens the expressive ways for the nature objects and the scenes. The cutting edge computer graphics technologies effectively create any images we can imagine. Although the computer graphics plays an important role in filming and video production, the status of the domestic contents production industry is not favorable for producing and research all at the same time. In digital composition, the match moving stage, which composites the captured real sequence with computer graphics image, goes through many complicating processes. The camera tracking process is the most important issue in this stage. This comprises the estimation of the 3D trajectory and the optical parameter of the real camera. Because the estimating process is based only on the captured sequence, there are many errors which make the process more difficult.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method for correcting the tracking data. The proposed method can alleviate the unwanted camera shaking and object bouncing effect in the composited scene.

Camera Tracking using Triangulation for Semi-Immersive Virtual Environment (반몰입 가상환경을 위한 삼각측랑법 기반 카메라 트래킹)

  • 김효선;김명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04b
    • /
    • pp.586-588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반몰입 가상현실 장비인 프로젝션 월(projection wall)가 가상 워크벤치(virtual workbench) 시스템에 적응 가능한 카메라 트래킹 방법 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측량학에서 거리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어지는 삼각측량법(triangulation)이다. 이 방법은 스테레오 영상을 얻기 위해 사용되는 두 대의 카메라의 기종이 상이할 경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넓은 트래킹 영역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프로젝션 월과 같은 수직형 스크린에 용할 경우 더욱 적합하다. 그리고, 본 논문에서는 신시간 드래킹 글 수행하기 위하여 변화 벡터(shift vector) 기반 위치 추정 방법을 도입하여 검색 시간을 단축시켰으며, 사용자 헤드 드래킹를 수행하기 위해 적외선 비컨을 서텨 글래스(shutter glass)에 부착하여 사용하였다.

  • PDF

A Hand Tracking by Template Matching and Optical Flow for Smart Table (스마트 테이블 구축을 위한 템플릿 매칭과 Optical flow를 이용한 손 트래킹)

  • Kwon, Oh-Ryun;Chun, Jun-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11b
    • /
    • pp.877-879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와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스마트 테이블 구축을 위한 마우스를 대체하는 손의 움직임을 트래킹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테이블 위에 놓인 프로젝터와 카메라는 각각 프로젝터의 영상이 테이블에 투영이 되고 카메라로 테이블에 투영된 영상을 입력받게 된다. 이렇게 입력된 영상으로부터 손 검출과 트래킹을 통해 테이블을 이용하여 컴퓨터와의 상호작용을 할 수 있다. 먼저 영상은 손의 그림자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그림자를 제거한 후 Canny 에지 필터를 이용하여 손의 후보영역을 검출하게 된다. 검출된 후보 영역으로부터 템플릿 매칭을 이용하여 손 영역을 검출하고 검출된 영역으로부터 optical flow를 이용하여 손의 위치를 트래킹하게 된다.

  • PDF

A Study on Implementation of Motion Graphics Virtual Camera with AR Core

  • Jung, Jin-Bum;Lee, Jae-Soo;Lee, Seung-Hyun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7 no.8
    • /
    • pp.85-90
    • /
    • 2022
  • In this study, to reduce the time and cost disadvantages of the traditional motion graphic production method in order to realize the movement of a virtual camera identical to that of the real camera, motion graphics virtualization using AR Core-based mobile device real-time tracking data A method for creating a camera is proposed. The proposed method is a method that simplifies the tracking operation in the video file stored after shooting, and simultaneously proceeds with shooting on an AR Core-based mobile devic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racking is successful in the shooting stage.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motion graphic result imag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ethod, but the time of 6 minutes and 10 seconds was consumed based on the 300frame image, whereas the proposed method has very high time efficiency because this step can be omitted. At a time when interest in image production using virtual augmented reality and various studies are underway, this study will be utilized in virtual camera creation and match moving.

A Study on Stereoscopical Motion Graphic Production using Tracking Data from 3D Camera (3D카메라 트레킹데이터를 활용한 입체적 모션그래픽 제작방법 연구)

  • Lee, Junsang;Han, Soowhan;Lee, Im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07a
    • /
    • pp.232-233
    • /
    • 2015
  • 디지털 미디어의 발전으로 인해 모션그래픽의 구성요소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제작되고 있다. 모션그래픽을 활용한 영상콘텐츠 제작기법은 새로운 이미지를 어떻게 제작하느냐에 따라 보다 창의적이고 효율적인 영상으로 표현되기도 한다. 모션그래픽의 활용도는 웹, 게임, 및 영화 방송 등 다양한 콘텐츠의 시각적 정보전달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모션그래픽의 새롭고 실험적인 작업은 어떠한 제작방식에 따라 그 결과는 아주 다르게 나타난다. 또한 영상제작에 대한 프로세스는 새로운 뉴미디어의 기술의 결합으로 영상콘텐츠의 창의적인 작품으로 된다. 따라서 본 논문은 모션그래픽의 제작방식에서 실사카메라의 움직임을 가상카메라로 트래킹하여 입체적인 모션그래픽을 구현하는 제작방법을 제시한다.

  • PDF

Vanishing point-based 3D object detection method for improving traffic object recognition accuracy

  • Jeong-In, Park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8 no.1
    • /
    • pp.93-101
    • /
    • 2023
  •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of creating a 3D bounding box for an object using a vanishing point to increase the accuracy of object recognition in an image when recognizing an traffic object using a video camera. Recently, when vehicles captured by a traffic video camera is to be detected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his 3D bounding box generation algorithm is applied. The vertical vanishing point (VP1) and horizontal vanishing point (VP2) are derived by analyzing the camera installation angle and the direction of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and based on this, the moving object in the video subject to analysis is specified. If this algorithm is applied, it is easy to detect object information such as the location, type, and size of the detected object, and when applied to a moving type such as a car, it is tracked to determine the location, coordinates, movement speed, and direction of each object by tracking it. Able to know. As a result of application to actual roads, tracking improved by 10%, in particular, the recognition rate and tracking of shaded areas (extremely small vehicle parts hidden by large cars) improved by 100%, and traffic data analysis accuracy was improved.

Gesture Recognition in Multiple People Environment (복수 등장인물을 대상으로 한 제스처 인식)

  • Hong, Seok-Ju;Setiawan, Nurul Arif;Kim, Song-Gook;Kim, Jang-Woon;Lee, Chil-Woo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a
    • /
    • pp.891-896
    • /
    • 2007
  • 지금까지 진행된 제스처 인식 연구는 한 사람을 대상으로 정적인 환경을 가정하여 이루어져 왔다. 본 논문에서는 복수의 등장인물이 존재하는 환경에서 대화 상대를 선택하여 제스처를 인식하는 방법에 대해 기술한다. 먼저 복수의 인물이 존재하는 환경에서 배경영역을 제외한 행위자의 영역을 추출한다. 그 후 각각의 행위자를 트래킹하면서 카메라와 가장 가까이 있는 행위자를 대화 상대자로 선택한다. 대화상대자가 선택되면 스테레오 카메라에서 입력된 영상에서 추출된 실루엣 이미지를 이용하여 얼굴과 두 손을 특징 영역으로 하여 매 프레임마다 Kalman filter를 사용하여 각 영역을 트래킹한다. 트래킹되는 특징 영역의 2차원 좌표 값을 모델 제스처의 2차원 좌표 값과 비교하여 가장 높은 유사값을 갖는 모델 제스처를 입력 제스처로 인식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 사용한 방법은 복수의 등장인물이 있는 경우 효과적으로 행위 대상자를 선택하여 제스처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제스처 인식에 있어서 단순한 큐 매칭을 사용함으로써 계산이 복잡하지 않은 장점이 있다. 실험을 통해 본 논문에서 제시한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복수의 인물이 등장하는 환경에서 제스처 인식이 가능함을 입증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