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카메라 문서 영상

Search Result 36,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Distortion Corrected Black and White Document Image Generation Based on Camera (카메라기반의 왜곡이 보정된 흑백 문서 영상 생성)

  • Kim, Jin-H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5 no.11
    • /
    • pp.18-26
    • /
    • 2015
  • Geometric distortion and shadow effect due to capturing angle could be included in document copy images that are captured by a camera in stead of a scanner. In this paper, a clean black and white document image generation algorithm by distortion correction and shadow elimination based on a camera, is proposed. In order to correct geometric distortion such as straightening un-straight boundary lines occurred by camera lens radial distortion and eliminating outlying area included by camera direction, second derivative filter based document boundary detection method is developed. Black and white images have been generated by adaptive binarization method by eliminating shadow effect. Experimental results of the black and white document image generation algorithm by recovering geometrical distortion and eliminating shadow effect for the document images captured by smart phone camera, shows very good processing results.

Adaptive Binarization for Camera-based Document Recognition (카메라 기반 문서 인식을 위한 적응적 이진화)

  • Kim, In-Jung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12 no.3
    • /
    • pp.132-140
    • /
    • 2007
  • The quality of the camera image is worse than that of the scanner image because of lighting variation and inaccurate focus. This paper proposes a binarization method for camera-based document recognition, which is tolerant to low-quality camera images. Based on an existing method reported to be effective in previous evaluations, we enhanced the adaptability to the image with a low contrast due to low intensity and inaccurate focus. Furthermore, applying an additional small-size window in the binarization process, it is effective to extract the fine detail of character structure, which is often degraded by conventional methods. In experiments, we applied the proposed method as well as other methods to a document recognizer and compared the performance for many cm images. The result showed the proposed method is effective for recognition of document images captured by the camera.

  • PDF

Intelligent Document Scanning with Active Camera (Active카메라를 이용한 지능형 문서 영상 획득)

  • 박안진;정기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b
    • /
    • pp.592-594
    • /
    • 2004
  • 문서 영상 획득(document scanning)은 문서 영상 분석과 인식을 위한 중요한 단계이다 최근, 문서 영상 획득 장치로 스캐너(flat scanner)가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지만, 만지면 망가질 것 같은 얇은 고서, 매우 두꺼운 책과 같은 문서를 획득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런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카메라를 이용한 문서 영상 획득에 관한 않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카메라의 저해상도나 잡음과 칼은 문제를 해결하면, 스캐너를 대신하는 입력 장치로 이용할 수 있다. 저해상도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기본의 일반적인 레지스트레이션(registration) 방법은, 연결 부분(stitching position)에서 오브젝트(object: text, graphics, image)의 왜곡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PTZ(pan-tilt-zoom) 카메라를 이용하여 연결 부분에서 왜곡을 최소화하여 오브젝트를 획득하는 컴포넌트 기반의 영상 레지스트레이션(component-based image registration)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은 연결 부분에서 오브젝트의 수를 최소화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일반적인 레지스트레이션 방법에 비해 연결 부분에서 왜곡을 상당히 줄일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인식률을 놓일 수 있다.

  • PDF

Table recognition algorithm for camera-captured document images based on junction detection and labeling (교차점 검출과 분류를 통한 카메라 문서영상에서의 테이블 구조 인식 알고리듬)

  • Seo, Won Kyo;Koo, Hyung Il;Lee, DongHyuk;Kim, Sang Ho;Cho, Nam 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3.06a
    • /
    • pp.263-266
    • /
    • 2013
  • 표는 중요한 정보를 함축적으로 담고 있는 문서 요소로서 문서 영상에서 표의 내용과 구조를 분석하고 이해하려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 왔다. 이러한 표의 검출과 인식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은 평판 스캐너로 취득한 문서 영상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는데 최근에는 디지털 카메라와 스마트폰이 보급됨에 따라 평판 스캐너 대신 카메라를 이용한 표 인식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카메라로 획득한 문서 영상에서 표 인식에 대한 알고리듬을 제안한다. 먼저 표가 선들의 집합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가정 아래 문서 이미지에 존재하는 선을 이진화와 강인한 곡선 맞춤 알고리듬을 사용하여 검출한다. 검출된 선들의 교차점은 표의 요소일 수도 있으며 오검출의 결과일 수도 있는데 교차점 주변의 관찰 결과와 교차점 사이의 연관 관계를 에너지 식으로 표현하고 이 식을 최소화함으로써 각각의 교차점에 최적의 레이블을 할당한다. 얻어진 레이블은 표로 유일하게 변환되며 표의 구조를 셀 단위까지 추정할 수 있다. 다양한 표 영상에 대한 실험 결과를 통하여 제안한 방법이 문서영상의 기하학적인 왜곡에도 불구하고 영상에 존재하는 표를 성공적으로 인식함을 보여준다.

  • PDF

A Method for Thresholding and Correction of Skew in Camera Document Images (카메라 문서 영상의 이진화 및 기울어짐 보정 방법)

  • Jang Dae-Geun;Chun Byung-Tae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0 no.3 s.35
    • /
    • pp.143-150
    • /
    • 2005
  • Camera image is very sensitive to illumination that result in difficulties for recognizing character. Also Camera captured document images have not only skew but also vignetting effect and geometric distortion. Vignetting effect make it difficult to separate characters from the document images. Geometric distortion, occurred by the mismatch of angle and center position between the document image and the camera, make the shape of characters to be distorted, so that the character recognition is more difficult than the case of using scanner.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that can increase the performance of character recognition by correcting the geometric distortion of document images using a linear approximation which changes the quadrilateral region to the rectangle one. The proposed method also determine the quadrilateral transform region automatically, using the alignment of character lines and the skewed angles of characters located in the edges of each character line. Proposed method, therefore, can correct the geometric distortion without getting positional information from camera.

  • PDF

Human Friendly Documentation System of the Printed Hangul Images (인간에게 친밀한 인쇄체 한글 영상의 문서화 시스템)

  • 곽주원;강순대;백승복;박상욱;박정현;박홍선;손영선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2.12a
    • /
    • pp.361-364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일반적인 문서를 CCD 카메라로 입력 받은 후, 사용자가 원하는 영역을 손가락으로 선택하면, 손 인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사용자의 손가락 움직임을 검출하고, 손가락으로 선택되어진 영역을 인식한 후, 선택되어진 영역으로 카메라를 이동시켜 획득된 영상을 문자 인식 가능한 크기로 확대/축소하며, 확대된 영상에 문자인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문서로 변환하는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최종적으로 사용자가 이 시스템의 존재를 인지하지 못할 만큼 자연스럽게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현하고자 하였다.

Character Shape Distortion Correction of Camera Acquired Document Images (카메라 획득 문서영상에서의 글자모양 왜곡보정)

  • Jang Dae-Geun;Kim Eui-Jeo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0 no.4
    • /
    • pp.680-686
    • /
    • 2006
  • Document images captured by scanners have only skewing distortion. But camera captured document images have not only skew but also vignetting effect and geometric distortion. Vignetting effect, which makes the border areas to be darker than the center of the image, make it difficult to separate characters from the document images. But this effect has being decreased, as the lens manufacturing skill is developed. Geometric distortion, occurred by the mismatch of angle and center position between the document image and the camera, make the shape of characters to be distorted, so that the character recognition is more difficult than the case of using scanner.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that can increase the performance of character recognition by correcting the geometric distortion of document images using a linear approximation which changes the quadrilateral region to the rectangle one. The proposed method also determine the quadrilateral transform region automatically, using the alignment of character lines and the skewed angles of characters located in the edges of each character line. Proposed method, therefore, can correct the geometric distortion without getting positional information from camera.

An Automatic Control System of a Camera Zoom and Focus Using the Fuzzy Inference and the Difference of the Light and Darkness (Fuzzy 추론 및 명암차이법을 이용한 카메라 줌, 포커스 자동 조절 시스템)

  • 박홍선;박상욱;박정현;곽주원;손영선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2.12a
    • /
    • pp.406-409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문자인식이 가능하도록 줌, 포커스를 제어하여 한글 문서 영상을 확대/축소하는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한글 문서 영상에서 확대/축소 할 영역이 지정되면 그 영역의 가로, 세로 거리를 펄스 수로 변환한 후 Step모터를 제어하여 그 위치만큼 카메라를 이동시킨다. 문서 영상이 입력되면 문자인식이 가능한 크기만큼 줌을 제어하고, 피드백 되어진 영상으로부터 조정된 줌에 맞는 포커스로 근접 제어한 후, 더욱 선명한 영상을 얻기 위해 명암 차이에 의한 미세 조정을 하였다. 이 경우, 줌 및 포커스는 퍼지 추론으로 .제어하는 DC모터로 조정하였다.

A Noise Removal Method Using Chain Code for Document Images (체인 코드를 이용한 문서 영상의 잡음 제거 방법)

  • Kim, Se-Ho;Seo, Dong-Hwan;Pack, Jae-Hwa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5.05a
    • /
    • pp.439-442
    • /
    • 2005
  • 카메라 모바일 폰이 대중화됨에 따라 이제 더 이상 음성 전달 기기로서가 아닌 정보 조작 및 정보 전달 기기로서의 기능이 더욱 중요해졌다. 때문에 이러한 욕구를 충족 시켜주기 위해서는 적시 적소에 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오프라인 문자 인식 시스템이 필요하게 되었다. 하지만, 오프라인 문자 인식 시스템은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영상 중에는 순수 문자 영상뿐만 아니라 배경 이미지나 잡음을 포함한다. 특히, 그림과 함께 삽입 되어져 있는 명함과 같은 텍스트 문서 같은 경우, 삽입되어져 있는 그림 때문에 오인식의 문제가 발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문서 영상을 문자와 배경 그림을 분리하여 효과적으로 잡음을 제거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 PDF

An Adaptive Binarization of Camera Document Image by Image Quality Estimation (화질 분석을 통한 카메라 문서 영상의 적응적 이진화)

  • Kim, In-Jung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34 no.9
    • /
    • pp.797-803
    • /
    • 2007
  • Adaptive binarization is very important for the camera-based document recognition. This paper proposes a binarization method which can effectively adapt to the variation of image Qualify. Firstly, it analyzes the effect of binarization parameters to the result and proposes a method to measure the image quality. Then, it statistically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mage quality and the binarization parameter. Finally, it proposes a binarization method that automatically adapts to the quality of the input image, using the analysis result. The experiment results show that there is a meaningful relationship between the image quality and the binarization parameter, and therefore, the proposed method can effectively adapt to the variation of image qu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