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침 치료

Search Result 657,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침치료에 대한 환자진료 평가 프로그램-독일 보험회사들의 침효과에 대한 검증-

  • Melchart, Dieter
    • Journal of Pharmacopuncture
    • /
    • v.6 no.1
    • /
    • pp.33-34
    • /
    • 2003
  • 배경: 독일 의사와 보험회사 위원회 (The German Board of Physicians and Insurance Companies:Bundesausschuss der Arzte und Krankenkassen)가 앞으로 일부 적응증에 대한 침치료에 대해 공적 보험회사가 보험료를 지급해야 할 지에 대한 추가 결정을 하기 위해 침의 효과를 평가하기로 했다. 목적: 1) 침치료가 편두통의 예방, 긴장성 두통, 요통, 무릎과 고관절의 골관절염치료에 대조군 침치료보다 효과가 있는지 검증 2) 침치료가 편두통의 예방적 치료에 표준 약물 치료와 비슷하게 효과가 있는지 검증 3) 보건의료 서비스체계 안에서 주어진 조건에 대한 일상적 침치료의 질적인 부분을 서술하고, 안전성을 평가하며, 다른 침술학파간의 임상결과의 차이와 비용의 효용적 활용부분을 평가한다. 4) 위의 적응증에 해당하는 모든 임상실험연구를 찾아내어 기존의 고찰내용을 갱신한다. 방법: 1) 무작위 표본추출 임상 실험, 침치료, 거짓침 치료, 대기자 명단 대조군, 출발시점 4주, 28주 관찰 2) 무작위 표본추출 임상 실험, 침치료, 표준약물치료 대조군, 츨발시점 4주, 28주 관찰 3) 전향적 다중 의료기관 관찰 연구, 두 가지 다른 자료를 활용하여서, 치료 결과를 침 시술자에 의한 모든 환자 평가 자료와, 열 두 명의 환자 가운데 한 명의 환자로부터 직접 받은 평가 자료 (관찰 출발시점, 치료 출발 시점, 치료 시작 후 6 개월) 실험공간: 1) and 2) 높은 수준의 수련을 한 침 시술 의사가 시술하는 병원이나 일차 진료기관의 외래. 3) 보건 의료 서비스내 저급의 침 시술 의사 (140 시간 수강, 학점 이수 필수) 참가자: 1) $4{\times}320$ 편두통의 예방, 긴장성 두통, 요통, 무릎과 고관절의 골관절염 환자 2) 480 편두통 환자(긴장성 두통 환자 추가적) 3) 약 500,000 환자, 2년 반 동안: 대략 한 적응증 당 10,000 환자 치료법: 모든 침치료 자리는 체침만 허용함. 1) 진짜 침은 학파의 지침에 따른 심자, 거짓 침은 비특이적 자리의 표피만 찌르는 자침 (12-15회, 8주): 대기자 대조군은 12주 동안에 아무 치료도 받지 않는다. 2) Group 1(N=240): 최대 15회 치료, 12주 동안: Group II (N=240) 투약 Proponolol (80-240mg), Metoprolol (100-200mg) or Flunarizin (5-10mg) 하루, 16주 이상 3) 치료회수와 침자리의 선정은 참가자가 결정 주된 임상 결과 지표: 1) 군 간의 치료 전 및 치료 진행 도중 4주 마다의 두통을 느낀 날 수의 차이 (평균 혹은 이상의 편두통이나 긴장성 두통) 2) 요통환자 군간의 기능을 측정하는 FFbH-R (Funktionsfragebogen Hannover) 비교 3) 관절염 환자의 군간 WOMAC 지표 비교 4) 군 간의 24주 동안 두통을 느낀 날 수의 차이(평균 혹은 이상의 편두통이나 긴장성 두통) 5) 적응증, 부작용, 성공율에 대한 거시적 평가, 사용한 침수, 환자의 만족도, SES(?). ADS(?) 통증 장애 지표(PDI), 삶의 질 지표(SF36). 예비 결과 위의 결과가 큰 관찰 연구에 초점을 맞추면서 소개될 것임.

Effect of Acupuncture Treatment in Patients with Bronchial Asthma (기관지천식에 대한 침치료의 임상적 효과 검토)

  • Masao, Suzuki;Kenji, Namura;Masato, Egawa;Tadashi, Yano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v.24 no.5
    • /
    • pp.185-195
    • /
    • 2007
  • 목적 : 부신피질 스테로이드약을 포함한 약물치료에도 조절되지 않았던 기관지천식 환자 6 증례에 대하여 침구치료를 행하여,연구방법의 하나인 조건반전법(N-of-1)을 이용하여 침치료의 효과를 검토하였다. 방법 : 연구디자인 : 조건반전법으로 침치료 기간(A기간)과 침치료 휴지기간(B기간)을 서로 반복하였다. A기간은 10주간으로 하고 1주간에 1회의 침치료를행하였다. 실시장소 : 메이지 침구대학부속병원 내과와 부속침구센터 대상 : 기관지천식의 표준적인 약물치료를 행하여도 천식발작이 충분히 개선되지 않았던 중등증에서 중증의 천식환자 6 증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가 기관치천식에 대한 침치료의 효과를 아래의 항목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1) 발작상태를 천식일지에 의해 평가 (2) 호흡곤란감을 VAS(Visual Analogue Scale)에 의해 평가 (3) 호흡기능검사 (4) 말초혈호산구수 (5) 스테로이드약의 투여량 (6) 중증도 효과 : A기간에 동시적으로 모든 예에서 천식발작과 호흡곤란감의 개선이 인정되었다. 한편 B기간에서는 6례 중 5례에서 천식발작의 재연이 확인되었다. 또한 천식발작의 개선에 수반하여 모든 예에서 중증도의 개선도 인정되었으며,6례 중 4례에서 스테로이드약의 감량이 가능하게 되었다. 결론 : 약물치료로 조절되지 않았던 기관지천식 환자에 대하여 침치료를 행한 결과, 환자의 천식발작, 자각증상, 호흡기능의 개선에 유효하였다고 생각된다.

  • PDF

Effects of combined acupuncture and gabapentin treatment on chemotherapy-induced peripheral neuropathy: a pilot, randomized, assessor-blinded, controlled trial

  • Hyun Jung Jung;Dae Jun Kim;Joon Seok Byun
    •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Oncology
    • /
    • v.28 no.1
    • /
    • pp.33-44
    • /
    • 2023
  • 목적: 항암유발말초신경병증은 암 환자가 겪는 흔한 항암 부작용이나 현재까지 효과적으로 알려진 치료법은 없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항암유발말초신경병증에 대한 침 치료와 가바펜틴의 병용 요법의 효과와 안전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방법: 항암유발말초신경병증을 겪고 있는 24명의 암 환자를 침 치료 단독군 (AG, acupuncture group)과 침과 가바펜틴의 병용요법군 (CG, combined acupuncture and gabapentin group)으로 무작위 배정하였다. 두 그룹 모두 침 치료는 주 3회, 4주간 수행하였다. 병용 요법군은 침 치료와 더불어 1일 900mg의 가바펜틴을 복용하도록 하였다. 치료 효과는 Neuropathic Pain Symptom Inventory (NPSI), visual analogue scale (VAS),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Chemotherapy-Induced Peripheral Neuropathy 20 items (EORTC-CIPN20)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치료로 인한 부작용은 대상자가 방문할 때마다 조사하였다. 결과: 총 23명의 대상자(AG, n=12; CG, n=11)의 평가지표를 분석한 결과, 치료 4 주 후 침 치료 단독군은 NPSI 점수가 44.33±25.04에서 30.58±21.55으로 감소하였고, 병용 요법군은 30.55±25.59에서 18.64±19.42로 감소하였으며, 두 군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p<0.001). VAS점수는 침 치료 단독군에서는 4.79±2.17 에서 3.42±2.49으로 감소하였고, 병용 요법군에서는 3.55±2.07에서 2.73±2.49 로 감소하였다(p<0.05). 치료 효과는 치료 완료 2주후까지 지속되었으며, 두 군간의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EORTC-CIPN20은 침 치료 단독군은 30.27±18.87에서 20.84±16.35으로 감소하여(p<0.01), 두 군 모두에서 삶의 질이 향상되었다. 결론: 본 연구로 침 치료와 가바펜틴의 병용 요법이 항암유발말초신경병증 환자의 증상 및 삶의 질 개선에 효과적이며 안전한 치료법임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침 치료와 가바펜틴의 시너지 효과에 대해서는 확인 할 수 없었으며, 이를 확인하기 위해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East-West Collaborate Medical Treatment on Female Chronic Shoulder Pain Patients (여성 만성견비통 환자에 대한 동서 협진 치료의 무작위 대조군 연구)

  • Nam, Dong-Woo;Choi, Yang-Sik;Kim, Haeng-Beom;Kim, Jong-In;Lim, Sabina;Kim, Keon-Sik;Lee, Doo-Ik;Lee, Jae-Dong;Lee, Yun-Ho;Choi, Do-Young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v.24 no.6
    • /
    • pp.113-122
    • /
    • 2007
  • 목적 : 만성 견비통 환자에 대한 침 치료와 신경 차단술 병행 치료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함. 방법 : 만성 견비통 환자 60명을 대상으로 동서병행치료군(EW group, n=20), 한방 침치료군(E group, n=20), 무처치 대조군(C group, n=20)으로 무작위 배정한 후 연구를 시작했다. 동서병행치료군은 먼저 견갑상 신경차단술, 견봉하 주사 및 압통점 국소 마취제를 맞은 후 5분간 휴식을 취한 후 견우($LI_{15}$), 견요($TE_{14}$), 견정(肩井)($GB_{21}$) 및 동씨침의 견중혈(肩中穴)과 신관혈(腎關穴)에 침치료를 주 2회 4주간 받았다. 한방 침치료군은 주 2회, 4주간 견우($LI_{15}$), 견요($TE_{14}$), 견정(肩井)($GB_{21}$) 및 동씨침의 견중혈(肩中穴)과 신관혈(腎關穴)에 침치료를 받았으며, 무처치 대조군은 4주간 특별한 처치를 받지 않았다. 모든 환자들은 일상생활에서 자가 운동을 실시하도록 지시 받았다. 치료 시작전과 치료 4주 후 Constant Shoulder Assessment(CSA), Shoulder Pain and Disability Index(SPADI), 및 환자의 주관적 통증 평가를 Visual Analogue Scale(VAS) 로 측정하여 모인 데이터 통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 동서병행치료군 및 한방 침치료군 모두 CSA, SPADI 및 VAS 상에서 유의한 (p<0.05) 호전을 보였다, 동서병행치료군의 CSA, SPADI, VAS는 무처치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한 우의를 나타냈으며, 한방 침 치료군과 비교하여 VAS 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결론 : 침치료와 신경차단술 병행 치료방법은 만성 견비통을 유의하게 호전시켰다. 무처치 대조군과의 차이는 3개의 측정 도구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침치료만 받은 환자들과도 주관적 통증 척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 PDF

Neural mechanism of acupuncture therapy for aiding in smoking cessation (금연치료 요법으로의 침 자극에 대한 신경학적 기전)

  • Yeom, Mi-Jung;Lee, Hye-Jung;Shim, In-Sop;Park, Hi-Joon;Hahm, Dae-Hyun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v.24 no.1
    • /
    • pp.13-25
    • /
    • 2007
  • 목 적 : 흡연에 따른 건강적 피해가 많이 알려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특히 여성 및 청소년 계층의 흡연이 증가하고 있으며 폐암 사망자수는 급격히 늘어나고 있는 상황이다. 완전한 금연이 실패하는 주요 이유는 담배의 중독성에서 비롯되며 금단현상을 극복하지 못해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흡연의 중독성은 담배 주요성분 중의 하나인 니코틴(nicotine)에 의해 유발되며 따라서 모든 금연 요법 및 금연 치료보조제 들은 이 니코틴 작용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억제 또는 대체하느냐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최근 금연치료 요법으로 한방 침이 주목 받고 있으며 본 논문을 통해 한방 침의 금연효과에 대한 신경학적 기전을 고찰하고자 한다. 방 법 : 금연을 돕는 전형적인 보조 치료제 및 치료법이 몇 종류 개발되어 사용 중에 있으며 대표적으로 니코틴 대체 요법(nicotine replacement therapy, NRT)이나 항우울제로 사용되는 bupropion 등을 들 수 있다. 이 치료 방법들은 뇌의 도파민계 신경전달 체계에 영향을 미쳐 금연 효과를 발휘하게 되는데 실질적인 금연성공확률은 그리 높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침의 자극에 대한 도파민계 신경전달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고찰함으로써 침의 금연효과에 대한 의과학적 기전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결 과 : 침자극은 우수한 금연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치료법으로 기존의 금연 치료요법 및 치료제 들을 보완할 수 있는 보다 확실한 치료요법 중의 하나이며 특히 금연 후에 오는 금단현상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키는 작용을 한다. 그리고 이 같은 효과는 부분적으로 도파민계를 비롯한 신경전달계를 조절함으로써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결 론 : 본 논문을 통해 니코틴에 의한 금단현상의 신경학적 기전과 금연과 관련된 신경전달체계에 대한 침자극의 효능에 대해 고찰하였으며 기존의 금연보조치료법을 대체할 수 있는 우수한 의학적 치료법으로써의 침치료법을 제시하였다.

  • PDF

Clinical Effect on the Patient with Orofacial Pain through Electro-acupuncture Stimulation Therapy(EAST) (구강안면동통환자에 대한 전기침 자극요법의 임상효과에 관한 연구)

  • Kim, Young-Ku;Lee, Sung-Woo;Chung, Sung-Chang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v.25 no.1
    • /
    • pp.109-116
    • /
    • 2000
  • 구강안면 동통중 가장 대표적인 측두하악장애를 치료하는데 있어 전기침 자극요법이 갖는 임상적 치료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측두하악장애 환자군을 환자에 대한 교육 및 온습포를 시행하는 자가치료 환자군, 전기침 자극요법을 시행하는 전기침 자극 환자군, 교합안정장치를 장착하는 구강내 장치장착 환자군, 총 3군으로 구분하였다. 이들 환자군에서 치료전과 치료 1주후 및 1개월 후에 visual analogue scale을 이용한 동통의 정도와 두경부의 근육촉진지수, 하악의 기능이상지수 및 저작근들의 압력통각역치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자가치료 환자군의 1주일 치료후 동통정도, 근육촉진지수 및 기능이상지수가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2. 전기침 자극환자군은 1주일 치료후 동통의 정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면 1개월 치료 후 동통의 정도와 근육촉진지수가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3. 구강내 장치장착환자군은 1주일 치료 후 동통의 정도가 유의하게 감소하고 심부교근의 압력통각역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심부교근의 압력통각역치가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 PDF

The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Acupuncture in Stroke Rehabilitation (중풍(中風) 재활(再活)의 침치료(鍼治療) 효과(效果)에 대한 고찰(考察) -최근 RCT(Randomized controlled trial) 논문을 중심으로-)

  • Kim, Eun-jung;Lee, Jae-dong;Kang, Sung-keel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v.22 no.1
    • /
    • pp.211-221
    • /
    • 2005
  • Objective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view clinical trials on the effectiveness of acupuncture in stroke rehabilitation. Methods : Computerized literature searches was carried out on three electronic databases, and hand-searching on some chinese medical journals in library of Kyung Hee Medical Center. Results : 1) Sixteen articles of clinical trials were collected and reviewed. Among these articles,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were achieved in nine articles. 2) In three articles, statically significant results in improvement of mobile abilities, activities of daily life and Quality of life were reported after acupuncture treatment applied as a part of stroke rehabilitation. In three articles no statically significant changes were reported. 3) Among two articles about spasticity, One about the upper limbs and the results showed sta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of the spasticity after acupuncture treatment as stroke rehabilitation, and the other was about the lower limbs and the results showed no statically significant changes. 4) One article about acupuncture and postural control showed statically significant results suggesting that acupuncture promotes normalization of postural control after stroke.

  • PDF

A Clinical Effect of Electro-Acupuncture Stimulation Therapy on TMD Patients (측두하악장애환자에 대한 저주파 전자침 자극요법의 임상효과)

  • Park, Tae-Sik;Park, June-Sang;Ko, Myung-Yun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v.25 no.3
    • /
    • pp.315-323
    • /
    • 2000
  • 측두하악장애의 치료에 이용되는 저주파 전자침 자극요법의 임상적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치료를 시행한 28명과 치료를 전혀 시행하지 않은 10명의 대조군을 대상으로 치료전과 치료 2주 후에 경혈점의 압력통각역치와 임상지수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환자군에서 저주파 전자침 자극요법을 시행하기 전과 후의 임상지수가 유의하게 변화하였다(P<0.001). 2. 환자군에서 저주파 전자침 자극요법을 시행하기 전과 후의 압력통각역치는 G2, G21, Li4, S2, S3, S8, Si19 및 T17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3. 대조군에서 임상지수와 압력통각역치는 실험 전후에 차이가 없었다. 4. 환자군의 임상지수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변화하였다 (P<0.05). 본 연구는 저주파 전자침 자극요법의 주관적 뿐만 아니라 임상적인 효과를 보여줌으로써 측두하악장애환자의 치료에서 저주파 전자침 자극요법이 유용한 방법임을 제시하였다.

  • PDF

Case Report of Two Cases on Effect of Combined Bee Venom and CS Pharmacopuncture with Koream Medicine Treatment on HIVD of L-spine (요추 추간판탈출증 환자에 대한 봉약침과 CS약침을 병행한 한의학적 복합치료 효과에 대한 증례보고)

  • Hwang, Ji Hye;Kim, Deok-Hyun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v.35 no.4
    • /
    • pp.239-246
    • /
    • 2018
  • Objective : This case study reports the therapeutic effect of Korean Medicine (KM) treatments including CS(care special pain) and BV(bee venom) pharmacopuncture on herniated intervertebral disc(HIVD) of lumbar spine(L-spine). Methods : Two patients diagnosed with HIVD of L-spine were treated with CS and BV pharmacopuncture on GV3 and EX-B2, acupuncture, cupping, and herbal medicine. The Numeric Rating Scale(NRS), the Oswestry low back pain Disablility Index(ODI) and the Roland Morris Disability Questionnaire(RMDQ) scores were evaluated before and after treatment for comparison. Results : Low back pain(LBP) and radiating pain was improved with a decrease in patients' NRS, ODI and RMDQ scores.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KM treatments including combined CS and BV pharmacopuncture could be an effective treatment on patients with HIVD of L-Spine.

Adult Idiopathic Scoliosis Treated by Acupuncture : A case report (침 치료로 호전된 특발성 척추 측만증 환자의 증례보고)

  • Jo, Jun-Young
    • The Journal of Churna Manual Medicine for Spine and Nerves
    • /
    • v.7 no.1
    • /
    • pp.21-25
    • /
    • 2012
  • 목적: 이 증례 보고는 성인 특발성 측만증 환자에 있어서 등의 통증과 척추 만곡에 대한 침 치료의 효과를 보고하기 위한 것이다. 방법: 증례의 환자는 25세 여자 환자로 9년 동안 우측 흉추 측만증과 등과 허리의 통증이 있었다. 1주일에 3번, 3주간 침 치료를 시행했고, 치료 전후로 Whole spine x-ray를 촬영하였으며, 환자의 통증 정도를 Visual Analog Scale(VAS)로 평가하였다. 내원시 Cobb angle은 $22^{\circ}$였고, 관상면 균형은 -3.0cm, 쇄골각은 $-3.5^{\circ}$였다. VAS 8의 통증을 호소하였다. 결과: Cobb angle은 $5^{\circ}$ 감소하였고, 관상면 균형은 1.4cm, 쇄골각은 $1.7^{\circ}$ 회복되었다. 등과 허리의 통증은 VAS 8에서 VAS 3으로 감소하였다. 결론: 침 치료는 특발성 척추 측만증 환자에 있어서 등과 허리의 통증뿐만 아니라 척추 측만을 개선시키고 관상면 균형 회복에도 효과적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