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침투 특성

Search Result 1,349,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Effect of starch properties on the penetration liquids into the surface sized linerboards (표면사이징용 전분의 특성에 따른 라이너지의 액체 침투 특성 변화)

  • Jeong, Young-Bin;Lee, Hak-Lae;Youn, Hye-Jung;Kim, Chae-Hoon;Jeong, Kwa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ical Association of the Pulp and Paper Industry Conference
    • /
    • 2011.04a
    • /
    • pp.119-119
    • /
    • 2011
  • 표면사이정 기술은 액체의 침투 저항성을 확보하고 표면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제지 공정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산업용지의 경우 전분 호액을 사이징액으로 사용하는 표면사이징 기술을 적용하여 표면에 도포된 전분 호액이 지필 내부로 침투하여 인장강도,RCT, SCT, 내부결합강도 등을 향상시키는 효과도 기대하게 된다. 종이는 섬유의 네트워크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지필에 대한 액상 물질의 주요 침투 기작은 모세관력에 의한 섬유 간극 내 침투의 형태를 보이며, 침투 정도는 지필의 특성과 전분 호액의 특성에 영향을 받는다. 사이징액이 지필에 침투되는 정도가 높아지면 상대적으로 종이 표면에 남는 전분의 양이 줄어들어 액체의 침투 저항성이나 표면 특성이 최초 기대했던 수준보다 낮아질 가능성이 있다. 사이징액을 구성하는 전분의 특성에 따른 지필 내 침투 정도와 이에 따라 발현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라이너지를 대상으로 하여 표면사이징용 전분의 특성에 따른 침투특성의 변화에 초점을 두고 진행되었다.

  • PDF

Tension infiltrometer를 이용한 토양의 침투특성 분석

  • 하규철;전철민;김재곤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4.04a
    • /
    • pp.362-365
    • /
    • 2004
  • 토양오염의 확산과정중의 서로 다른 지질적 기반위에 놓인 토양에 대한 침투특성과 4단계 이상의 장력을 적용하여 침투율을 산정하였다. 장력과 침투율과는 지수함수로 비선형 회귀시켜서 산정하였으며, 단지 몇단계의 장력만으로 구하여진 값보다 더 많은 불포화대수리특성과 신뢰성있는 포화수리전도도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구하여진 침투율은 토양분석결과를 비교했을 경우 점토함량이 적은 시료에서 적게나오는 경향이 있고, sand가 많은 토양의 경우 높게 산정되었다.

  • PDF

Investigative Study on Proper Input Conditions of Numerical Model for Seepage Analysis (제방 침투 수치모형의 적정 입력조건 검토)

  • Im, Dong-Kyun;Kim, Kyu-Ho;Yeo, Hong-Koo;Kang, Jun-G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716-1720
    • /
    • 2006
  • 침투는 지반이 충적토로 구성되어 있는 제방의 파괴를 야기하는 중요한 원인이다. 침투 해석 수치모형은 제방 침투와 관련된 문제 해석과 방지기법 설계에 있어 매우 유용한 방법이나, 각각의 수치모형은 적용상 한계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실제 지하수 흐름은 간극률, 입자형상 및 크기, 포화도 등과 같은 토질특성, 내부침식과 같은 역학적 특성, 점성과 동결융해 같은 열역학적 특성, 그리고 화학적 특성 등 다양한 인자의 영향을 받는다. 이러한 물리적 인자 이외에도 침투 수치해석은 외력조건, 격자 크기(element size), 그리고 시간 간격(time step interval) 등 입력조건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이들 설정에 대한 검토를 시행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침투 수치모형의 적절한 입력조건 범위를 검토하였으며, 격자크기는 계산시간과 해석결과 등 수치모의의 효율성을 고려하였을 때 홍수위 혹은 제방고의 1/10이하로 결정하면 타당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침투수치모형의 시간 간격은 외력조건을 고려하여 1시간 이내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결과는 침투해석 수치모의의 유의사항을 검토하여 해석결과에 대한 불확실성과 위험요소를 제거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evelopment of Polymer Impregnants and Properties of Polymer Impregnated Concrete (폴리머침투제의 개발과 폴리머침투콘크리트의 특성에 관한 연구)

  • Byun, Keun Joo;Lee, Sang Mi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12 no.1
    • /
    • pp.71-84
    • /
    • 1992
  • Polymer-Impregnated Concrete(PIC) is a composite material of concrete and polymer. PIC has superior properties compared to conventional cement concrete, such as strength, stiffness, toughness, durability, water-proofing, chemical resistance. However, the usage of PIC has been limited to repairing materials and non-structural applications due to the lack of the design criteria and the analytical model to determine structural behavio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experimentally to develop the optimum mixing proportions of polymer impregnants and the stress-strain responses, the strength characteristics, the fatigue and creep behaviors, and the durabilities of MMA(methyl methacrylate)-based PIC.

  • PDF

Study on Optimization of Flame Peeling System for Chestnut (II) - Optimization of Flame Peeling Process for Chestnut - (밤의 화염박피시스템 최적화에 관한 연구 (II) - 화염박피 공정의 최적화 -)

  • 김종훈;박재복;최창현;김재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1999.07a
    • /
    • pp.214-220
    • /
    • 1999
  • 일반적으로 농산물의 박피작업의 목표는 박피된 농산물이 좋은 품질과 최소의 손실율로서 최대의 박피효율을 가지는 것이다. 밤의 화염박피 경우에는 제 1보 화염박피 특성에서 알 수 있듯이 박피율이 증가하면 화염박피 밤의 품질과 생율로 유통시에는 손실율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 열침투 깊이도 증가한다. 이러한 열침투 깊이는 화염박피 밤의 사용용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화염박피 밤을 생율로 유통시에는 열침투 부분을 제거해야 하므로 열침투 깊이가 적을수록 손실율이 적게 나타난다. 그러므로 생율로 유통시에는 손실율을 고려하여 열침투 깊이를 선정해야한다. 가공제품의 원료로 사용할 때에는 가공특성에 따라 열침투 깊이를 선정해야 한다. 쨈 등의 원료로 이용시에는 열침투 깊이가 커져도 사용 가능할 것이며, 박피밤 상태에서 당침투가 필요한 마론그랏세 등의 가공제품에서는 열침투 깊이를 제한할 필요가 있다. (중략)

  • PDF

Characteristics of Chloride Penetration in Cracked Flexural Member using Durable Materials (고내구성 재료를 사용한 휨부재의 균열에 따른 염화물 침투 특성)

  • Jin, Sang-Ho;Kim, Il-Sun;Kim, Myung-Yu;Yang, Eun-Ik;Yi, Seong-Tae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Conference
    • /
    • 2008.11a
    • /
    • pp.401-404
    • /
    • 2008
  • Crack is a penetration path of harmful material such as chloride ion, and causes a serious deterioration in durability. So, the characteristics of chloride penetration are investigated for the cracked flexural concrete members using high-durable materials. For these, the flexural crack of beam specimen is introduced by transverse loading. And, Rapid Chloride Penetration Test (RCPT) and Long-term chloride penetration test are carried out to compare the chloride penetration depth. From test results when crack is happened, the chloride penetration resistance of the durable member was superior than that of the normal member. Blast furnace slag concrete member has a excellent chloride penetration resistance in long-term chloride penetration test.

  • PDF

An Experimental Study on Infiltration Characteristics of Facilities for Reducing Runoff Considering Surface Materials According to Housing Lot Developments (택지개발에 따른 표면재료를 고려한 우수유출저감시설의 침투 특성에 관한 실험 연구)

  • Im, Janghyuk;Song, Jaiwoo;Park, Sungsik;Park, Hosang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8 no.5
    • /
    • pp.47-55
    • /
    • 2007
  • The increment of impermeable land area due to widespread land development caused the adverse impact on urban disaster prevention because it could decrease the peak rate of runoff as well as increase the runoff and peak flow during rainy period. To date, litt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e infiltration characteristics and quantitative analysis because of their highly dependence on construction method, paving material, surface permeability, and field condition. Henc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infiltration characteristics of runoff-reducing facilities according to the type of paving material, which were examined using experimental apparatus with varying paving material and rainfall intensity, and thus to provide fundamental research data for runoff-reducing infiltration facilities. In this study, the infiltration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under the rainfall intensity of 20, 30, 50, 80, 100, 200 mm/hr for a variety type of paving materials such as concrete, asphalt, sand, grassland, and permeable paving material. The infiltration rate for permeable paving material was observed to be more than 93% under the condition of less than 200 mm/hr of rainfall intensity. For the compacted earth and grassland, the ultimate infiltration rate was estimated to be about 13% to 67%. The permeable paving material was concluded to be the most appropriate one for the runoff-reducing infiltration facilities because it has more favorable advantages than others in the light of infiltration volume, disaster prevention, and river training.

  • PDF

Analysis of Infiltration Facilities Effects for the Borimcheon Catchment (도림천 유역을 위한 침투증진시설의 효과분석)

  • Lee Seung Jong;Kim Young-Oh;Lee Sang Ho;Lee Kil 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100-104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도시의 급격한 발달로 인해 왜곡된 물순환을 나타내고 있는 도림천 유역에 대해서 물순환 회복을 위한 대안 중 침투증진시설의 효과에 대한 모의를 수행하였다. 물순환 모의는 도시유역의 물순환 정량화를 목적으로 개발된 WEP(Water and Energy transfer Processes) 모형을 이용하였으며, 침투증진시설로는 침투트랜치와 투수성 포장재의 설치효과를 분석하였다. 물순환 회복효과는 도시개발 이전의 유출특성과의 비교를 통해 평가하였으며, 이를 위해 1975년의 토지이용도로 도시개발 이전의 물순환 모의를 수행하였다. 모의결과 도시화에 의해 불투수율이 과거보다 $18.7\%$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로 인해 첨두시간은 감소하고, 첨두 및 총유출량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침투량과 기저유출량이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침투증진시설의 설치효과는 침투트랜치와 투수성 포장재의 개별적인 설치보다는 두 가지를 함께 적용했을 경우에 도시개발 이전의 유출특성에 근접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Reduction Characteristics of Electromagnetic Penetration through a Slit in a Conducting Screen by a Loaded Triangle Plate (삼각형 도체판 장하에 의한 무한 도체 평판 슬릿의 침투 전자파 저감 특성)

  • Cho, Byung-Ho;Lee, Seung-Ik;Kim, Hyo-Kyun;Kim, Ki-Chai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v.25 no.7
    • /
    • pp.767-773
    • /
    • 2014
  • This paper presents the reduction characteristics of electromagnetic penetration through a slit in conducting screen by loaded plate. The FDTD method is used in theoretical analysis. And the characteristics of penetrated electric fields are calculated in terms of length, width, shape, position, and height of the loaded plate to find out how the geometry of plate influences the reduction characteristics of the electromagnetic penetration and shielding effectiveness. The results show that the characteristics of penetrated electric field and shielding effectiveness depend on the geometry of loaded plate. In particular, the optimal geometry of loaded plate which minimize penetrated electric field are verified.

Effects of Penetration Direction on Contact Damage and Microstructure in ${Al_2}{O_3}$/Al Composite Fabricated by Reactive Metal Penetration (반응금속 침투법으로 제조된 ${Al_2}{O_3}$/Al 복합체에서 침투방향성이 미세구조 및 접촉손상에 미치는 영향)

  • 백운규;정연길
    • Journal of the Korean Ceramic Society
    • /
    • v.37 no.9
    • /
    • pp.909-914
    • /
    • 2000
  • 반응금속 침투법으로 제조한 $Al_2$O$_3$/Al 복합체의 파괴특성과 손상 내구성을 침투방향성에 따라 관찰하였으며, 복합체는 $Al_2$O$_3$단일상보다 향상된 파괴인성과 Al 단일상보다 높은 경도값을 나타내었다. Vickers 압입법을 사용한 복합체의 손상형태에서는 침투방향에 따른 각각의 미세구조에 의해 상이한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헤르찌안 압입법을 사용한 복합체의 손상거동은 $Al_2$O$_3$과 Al의 중간거동을 나타내었다. 헤르찌안 압입 후 강도저하시험으로 복합체가 갖는 우수한 결함저항성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높은 헤르찌안 하중에서는 복합체의 강도저하 특성이 복합체의 미세구조에 의존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와 함께 복합체에서의 반응금속 침투방향성, 미세구조 그리고 손상 내구성 사이 상호연관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