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침투이행농도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4초

방사성 추적자에 의한 솔잎혹파리 방제용 살충제 phosphamidon의 소나무 수간이동 구명 : I. 소나무 품종 및 계절별 이행 (Elucidation of the translocation of phosphamidon used for the control of pine leaf gall midges (Thecodiplosis japonensis Uchida et Inouye) in the trunks of pine trees by means of a radiotracer. Part 1. Translocation as affected by pine tree species and the treated season)

  • 이재구;이형래;경기성;변병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6권6호
    • /
    • pp.463-468
    • /
    • 1993
  • 솔잎혹파리(Thecodiplosis japonensis Uchida et Inouye) 방제용으로 소나무의 수간에 주입된 침투성 살충제 phosphamidon(2-chloro-2-diethylcarbamoyl-1-methylvinyl dimethyl phosphate)의 이행 및 분포를 구명하기 위하여 $[vinyl,\;carbonyl-^{14}C]phosphamidon$을 약 10년생의 적송과 해송에 각각 수간주사하였다. 이 약제의 최고이행속도는 적송(Pinus densiflora Sieb. et Zucc.)과 해송(Pinus thunbergii Parl.)에서 각각 약 10 cm/hr(7월)와 2 cm/hr(12월)이었다. 처리된 방사능은 하계의 적송에서는 75일까지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였으나 동계의 해송에서는 150일까지 유지하였다. 본 약제가 살충가능한 농도로 top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기간은 적송(7월)에서는 3일 이내인 반면 해송(12월)에서는 15일 이내이었으며, 그 이행정도는 약제처리시기 및 수종에 의하여 영향을 받았다. 솔잎에 잔류하는 phosphamidon과 그 대사산물은 methanol로 잘 추출되었으며, 솔잎시료의 methanol 추출액을 autoradiography한 결과 phosphamidon은 소나무내에서 신속히 분해되어 7일 내에 약 80% 정도가 분해되었다.

  • PDF

외래해충인 담배가루이의 약제감수성 (Susceptibility of sweetpotato whitefly, Bemisia tabaci (Homoptera : Aleyrodidae) to commercially registered insecticides in Korea)

  • 김길하;이영수;이인환;안기수
    • 농약과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51-58
    • /
    • 2000
  • 본 연구는 담배가루이(Bemisia tabaci, B. biotype)의 방제약제를 선발하는 목적으로 시판되고 있는 43종의 살충제에 대한 발육단계별 감수성을 조사하고, 침투이행성, 잔효성 및 방제효과를 평가하였다. 모든 시험은 살충제의 추천농도(ppm)로 수행하였다. 알에 대해서는 IGR계인 pyriproxyfen과 kiflubenzuron이 95%이상의 부화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3령약충에 대해서는 abamectin, acetamiprid, imidacloprid, pyriproxyfen, acetamiprid+ethofenprox이 95%이상의 살충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성충에 대해서는 유기인계의 diazinon, fenitrothion, methidathion, pirimiphos-methyl, neonicotinoid계의 acetamiprid, imidacloprid, 혼합제의 acetamiprid+ethofenprox, cartap hydrochloride+buprofezin, fenpropathrin+fenitrothion 기타 abamectin, endosulfan, pymetrozine, spinosad 등이 높은 살충율을 나타내었다. Abamectin, acetamiprid, imidacloprid, pyriproxyfen, acetamiprid+ethofenprox은 성충에 대해서 잔효 성뿐만아니라 침투이행성효과도 나타내었다. 방제효과시험에서 abamectin, acetamiprid, imidacloprid, acetamiprid+ethofenprox 은 처리후 1일째, pyriproxyfen은 처리후 7일째부터 90%이상의 방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abamectin, acetamiprid, imidacloprid, pyriproxyfen, acetamiprid+ethofenprox은 담배가루이의 방제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목화진딧물과 배추좀나방에 대한 thiamethoxam의 살충효과 및 작용특성 (Action properties and insecticidal effects of thiamethoxam to the melon aphid, Aphis gossypii, and diamondback moth, Plutella xylostella)

  • 장철;황인천;유용만;최광렬
    • 농약과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126-136
    • /
    • 1998
  • 신규화합물인 thiamethoxam의 목화진딧물과 배추좀나방에 대한 살충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일반적인 생물검정 방법을 이용하여 접촉 및 섭식독성반응과 속효성, 침투이행성, 잔효성 등을 다른 약제들과 비교 검토하였다. Spray법을 이용하여 접촉독성을 조사한 결과 목화진딧물에 대한 반수치사농도($LC_{50}$)는 유기인계인 acephate 41.9 ppm, 카바메이트인 carbosulfan 5.2 ppm, 니코틴계인 imidacloprid와 thiamethoxam은 각각 1.1, 0.7 ppm을 나타냈다. 배추좀나방을 대상으로 엽침적법으로 처리했을 경우 섭식독성은 2령 유충의 경우 $LC_{50}$값이 imidacloprid 64.9 ppm, thiamethoxam 24.6 ppm, acetamiprid 15.2 ppm, 3령 유충에서는 각각 125.1, 42.7, 27.8 ppm이었고, 4령 유충에서는 각각 241.1, 44.5, 23.9 ppm으로 령기별로 약간의 차이를 보였다. 한편, 목화진딧물을 대상으로 한 약제의 속효성을 측정하는 반수치사시간 ($LT_{50}$)은 접종 후 약제살포시에 imidaclopid 26.6분, thiamethoxam 28.0분, carbosulfa 30.3분, acephate 41.7분의 순이었고, 약제살포 후 접종하였을 때에는 thiamethoxam 95.5분, imidaclopid 118.0분, carbosulfan 122.9분으로 진딧물에 직접 살포한 것이 살충시간을 단축시켰다. 또한, 잎표면으로부터 이면으로의 약효성분의 이행성을 비교한 결과 $LT_{50}$값은 thiamethoxam 162.2분, imidacloprid 168.9분, carbosulfan 564.1분이었고, 하위 잎으로부터 최상위 잎으로의 이행성에서는 carbosulfan 2.3일, thiamethoxam 2.9일, imidacloprid 3.0일, acephate 8.8일이었다. 뿌리로부터 잎으로의 이행성은 carbosulfan 0.6일, imidacloprid 1.0일, thiamethoxam 1.0일, acephate 13.8일로서 thiamethoxam의 침투이행성이 가장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Spray법을 이용한 잔효성 시험결과 thiamethoxam과 imidaclopid는 약제처리 후 10일째에도 80%이상의 높은 살충효과를 나타내어 잔효성이 우수하였다.

  • PDF

계면활성제의 TMV 감염저지 효과 (Inhibitory Activity of Surfactants against Tobacco Mosaic Virus Infection)

  • 박은경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1-17
    • /
    • 1989
  • $AOS(\alpha-olefin),$ LAS(linear alkyl benzene), OSS(dioctyl sulfosuccinate) 및 SAS (dodecyl benzene sulfonic acid)등 4종 계면활성제의 TMV 감염저지 효과를 잎담배 품종 Xan-thi-nc 및 NC 82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각 계면활성제를 2,500ppm 농도로 담배잎에 처리한 경우 바이러스(TMV) 또는 TMV RNA를 접종했을 때 모두 98% 이상의 감염저지 효과를 나타냈다. 그러나 이들을 담배 근권토양에 처리 3일후 잎에 Virus를 접종하여 병징 및 엽중 Virus 농도를 조사한 결과 무처리구와 차이가 없어 침투이행에 의한 TMV 감염저지 효과는 인정되지 않았다. 순화된 바이러스를 각 계면활성제 2,500ppm 용액과 혼합한 후 초고속원심분리에 의해 다시 Virus를 회수하여 활성을 조사한 결과 LAS는 96% 이상 Virus를 불활성화시켰으며, 이 외는 바이러스 활성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또 각 계면활성제가 처리된 Virus 입자의 형태는 무처리입자와 차이가 없었다. 이같은 결과들로 미루어 4종의 계면활성제가 나타낸 TMV 감염저지 효과는 바이러스 입자의 파괴 또는 감염초기 바이러스 입자의 외피 단백질 탈피억제에 의한 것이 아닌 것으로 판단된다.

  • PDF

Fenobucarb와 Imidacloprid의 벼 뿌리 침지시간에 따른 벼멸구의 살충활성과 섭식행동비교 (Comparison of Insecticidal Activity and Feeding Behavior of Nilaparvata lugens by Root Uptake Times against Fenobucarb and Imidacloprid)

  • 양정오;조선란;권윤희;윤창만;김길하
    • 농약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75-182
    • /
    • 2010
  • 벼멸구에 대한 Fenoburcarb(36, 12 ppm)와 Imidacloprid(0.7, 0.4 ppm)의 벼유묘 뿌리 침지 시간(1, 4, 8, 12, 16, 20, 24시간)에 따른 살충활성과 섭식행동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EPG (electrical penetration graph)의 파형은 신호개시 후 4시간 동안 기록하여 분석하였다. 침투이행성과 살충력과의 상관관계는, 두 약제 모두 농도가 높을수록 높은 보정살충율을 보였고, 침지시간이 길수록 살충활성이 높았다. 파형에 있어서는 두 약제 모두 농도가 높아질수록 상대적으로 non-probe time은 길어졌고 체관을 찌르는 시간은 짧아졌다. 침지시간이 길어질때에도 같은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침지시간에 따른 살충활성과 두 파형간에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arbofuran의 잔류(殘溜)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Residue of Carbofuran)

  • 박영대;금소승;이규승;홍영철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0권2호
    • /
    • pp.236-241
    • /
    • 1977
  • carbofuran의 잔류분석방법(殘留分析方法)을 검토(檢討)하고 식물체(植物體)와 토양(土壤)에 처리(處理)한 carbofuran의 잔류량(殘溜量)을 E.C.D.를 사용(使用)한 gas-liquid chromatography로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정제용(精製用) column은 florisil(수분함량(水分含量) 5%)+Alumina(수분함량(水分含量) 4%)+Absorbent mixture를 사용(使用)하는것이 좋은 결과(結果)를 얻었으며 용출액(溶出液)의 처음 30ml 분획(分劃)을 유출(流出)시키는 것이 불순물(不純物) 제거(除去)에 효과적(效果的)이었다. (2) Gelatin capsule을 이용(利用)하여 근부처리(根部處理)한 것이 수도체중(水稻體中)의 잔류량(殘溜量)을 가장 오랫동안 지속(持續)시켰다. (3) 종자처리(種子處理)에 의(依)하여는 종자(種子)와 유묘중(幼苗中)에 침투(侵透)된 carbofuran이 검출(檢出)되지 않았다. (4) 유묘(幼苗)의 침적(浸積)에 의한 carbofuran의 식물체(植物體)의 이행(移行)은 처리농도(處理濃度) 보다 침지시간(浸漬時間)에 비례(比例)하였다. (5) 수도(水稻)에 의한 carbofuran의 흡수량(吸收量)은 근부처리(根部處理)가 수면처리(水面處理)보다 많았고 약효(藥效)도 오래 지속(持續) 되었다. (6) 점토함량(粘土含量)이 많은 토양은 점토함량(粘土含量)이 적은 토양(土壤)보다 carbofuran의 잔류경향(殘留傾向)이 길다. (7) 수확후(收穫後)의 현미중(玄米中)에서는 carbofuran의 잔류량(殘溜量)이 검출(檢出)되지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