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침전제

Search Result 483, Processing Time 0.059 seconds

Quantitative Analysis of Cobalt with Continuous Flow Preconcentration Using 1-Nitroso-2-naphthol as an Organic Precipitant (1-Nitroso-2-naphthol 침전제를 사용한 연속흐름 선농축법에 의한 코발트의 정량분석)

  • Im, Kab Soo;Pak, Yong Nam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v.43 no.6
    • /
    • pp.644-650
    • /
    • 1999
  • Trace amount of cobalt in water samples was preconcentrated continuously with an organic precipitant and determined by flame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The flow injection technique was used to preconcentrate cobalt by on-line direct precipitation with 1-nitroso-2-naphthol. The precipitation was dissolved with methyl isobutyl ketone (MlBK) and was sent to the flame. The optimum conditions for cobalt determination were determined and used to analyze Co samples. For 1.0 mL of sample, the enrichment factor was 13 and the sample throughput was about lO per hour for 0.5 ppm Co solution. The enrichment factor was increased to 68 fold for 10.0 mL. A semi-reference biologicaI sample was prepared and analyzed. The result was in good agreement with the expected value with RSD of 4%.

  • PDF

Recovery of rare metals from SCR spent catalyst (탈질 폐촉매로부터 유가금속 회수)

  • Lee, Jin-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4.11a
    • /
    • pp.94-94
    • /
    • 2014
  • 본 연구는 탈질용 폐 SCR 촉매로부터 유가금속인 바나듐과 텅스텐을 회수하기 위하여 고온 소다배소, 수침출, 침전 및 용매추출 실험 순으로 진행하였다. 소다배소는 $Na_2CO_3$ 첨가량 5당량, 폐촉매 평균 입자크기 $54{\mu}m$, 배소온도 $850^{\circ}C$, 배소시간 120분의 조건이 적절하였고, 소다배소 산물의 수침출 실험은 배소산물 입자크기 $-45{\mu}m$, 침출온도 $40^{\circ}C$, 침출시간 30분 및 광액밀도 10%의 조건이 적절하였다. 이와 같은 조건하에서 소다배소 및 수침출 실험을 수행한 결과, 바나듐 성분 약 46%와 텅스텐 성분 약 92%가 침출 되었다. 수침출 공정에서 얻어진 바나듐과 텅스텐이 함께 침출된 침출용액으로부터 바나듐 성분을 선택적으로 침전시키기 위하여 MgCl2를 사용하여 침전실험을 수행하였으나, 바나듐 성분이 침전될 때 텅스텐 성분이 함께 침전되어 큰 손실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침출용액 내의 바나듐과 텅스텐 성분을 분리하기 위하여 용매추출 실험을 수행하였다. 아민계열의 추출제인 Alamine 336 및 Aliquat 336을 사용한 용매추출 실험에서 바나듐과 텅스텐 성분 모두 90% 이상 추출되었다. 이후 수행된 탈거실험에서 대부분의 역추출제에 의해 바나듐과 텅스텐은 동시에 탈거되었다. 그러나 Alamine 336을 추출제로 사용한 유기상의 탈거실험에서 NaCl 및 NH4Cl 용액을 탈거용액으로 사용하였을 경우에 바나듐과 텅스텐이 선택적으로 탈거될 수 있는 가능성을 나타내었다. 반면에 Aliquat 336을 추출제로 사용한 유기상의 탈거실험의 경우, NaOH 용액이 가장 선택적인 탈거용액임을 확인하였다.

  • PDF

Recycling of valuable resources from the spent tin/solder stripping solution (주석/솔더 폐액으로부터 유가자원의 회수)

  • Ryu, Seung-Hyeong;An, Jae-U;Kim, Tae-Yeong;Gang, Myeong-S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5.11a
    • /
    • pp.224-225
    • /
    • 2015
  • 폐솔더 박리액으로부터 주석 및 구리의 분리를 위하여 옥살레이트 침전을 통해 각각 금속염으로 회수하기 위한 기초 연구를 실시하였다. 먼저 옥살산의 첨가량에 따라 주석의 침전율이 증가하였으며 당량비(옥살산/주석)의 1.0-1.5배를 첨가할 경우 주석이 99.5%, 구리는 2.0% 정도 침전되었고 철, 납 등은 거의 침전되지 않아 주석만 선택적으로 침전되는 것을 확인 하였다. 반응온도 증가에 따라 주석의 침전율은 증가하여 $60^{\circ}C$ 부근에서 최대값을 보이다가 온도가 더 증가하면 오히려 감소 경향을 보였다. 침전물의 고액분리 용이를 위해 카티온성 고분자 응집제를 이용하여 침강시킨 후, 분리된 침전물을 건조, 분쇄하여 $SnO_2$의 산화물을 얻을 수 있었다. 주석이 제거된 폐솔더 박리액에 옥살산을 첨가하여 구리가 약 91% 이상 침전되어 납, 철 등의 금속과 분리하여 선택적으로 회수가 가능하였다.

  • PDF

Removal of Algae by Natural Coagulants of Soil Origin (천연 무기응집제를 이용한 조류 제거)

  • Kim, Seog-Ku;Kim, Dong-Kwan;Kang, Sungwon;Ahn, Jaehwan;Kim, Il-Ho;Yun, SangLeen;Lee, Sanghyup;Lee, Wontae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5 no.12
    • /
    • pp.883-888
    • /
    • 2013
  • Coagulation and sedimentation tests were conducted with clay and three different coagulants of soil origin (AC-A, AC-B, AC-C) to determine optimal coagulant types and doses to remove algae in stagnant water bodies such as reservoirs. Raw water had an algal density of 2,950 cells/mL and was dominated by Cyanobacteria. Removal rates of algal density by clay (50 mg/L) were 49% and 85% after 10 and 30 minutes sedimentation, respectively. Other natural coagulants achieved 80-90% removal in 10 minutes and 89-94% removal in 30 minutes of sedimentation after adding 20 mg/L each. AC-A was the optimal coagulant from this study considering algal removal rates and other water quality parameters such as turbidity and pH. For the same removal rates of algae, raw waters with higher algal densities required higher coagulant doses although no strong corelation was observed. The coagulants of soil origin did not impact orgnic contents and pH of raw water, but remove phosphate up to 70%.

A Study on the Synthesis Behavior of Lithium Hydroxide by Type of Precipitant for Lithium Sulfate Recovered from Waste LIB (폐리튬이차전지에서 회수된 황산리튬 전구체로부터 침전제 종류별 수산화리튬 제조 거동 연구)

  • Joo, Soyeong;Kim, Dae-Guen;Byun, Suk-Hyun;Kim, Yong Hwan;Shim, Hyun-Woo
    • Resources Recycling
    • /
    • v.30 no.1
    • /
    • pp.44-52
    • /
    • 2021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the type of alkaline precipitant used on the synthesis of lithium hydroxide by examining the behavior of lithium hydroxide produced using lithium sulfate recovered from a waste lithium secondary battery as a raw material. The double-replacement reaction (DRR) process was used to remove the impurities contained in the lithium salt precursor of lithium sulfate and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synthesis of lithium hydroxide.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by control the molar ratio of the precursor ([Li]/[OH]), the reaction temperature, and the composition of the alkaline precipitant (KOH, Ca(OH)2, Ba(OH)2) used for the production of highly-crystalline lithium hydroxide. A secondary solid-liquid separation was performed following the reaction to remove the impurities generated, and the purified aqueous solution of lithium hydroxide was evaporated to remove the moisture and obtain the product as a powder. The crystallinity and synthesis behavior of the product were examined.

인회석을 이용한 도금폐수 내 중금속 제거효율 실내실험

  • 최정찬;라원진;강두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4.09a
    • /
    • pp.172-174
    • /
    • 2004
  • 본 논문은 광산산성배수(AMD)에서 철 및 알루미늄 제거 효과가 입증되고 ARD(Acid Rock Drainage)에서의 비소제거 효과가 확인된 인회석을 침전제로 사용하여 철, 알루미늄 및 비소가 아닌 다른 중긍속의 제거효율을 알아보기 위해 도금폐수를 이용하여 실내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도금폐수의 수질분석결과에 의하면 '수질환경보존법 오염물질 배출허용기준' <가>지역 방출수 기준을 초과하는 것은 pH, Zn, Fe, Cu, Cr 및 P였다. 실험 결과 인회석 40번체 통과분-100번체 잔류분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절할 것으로 생각되며 유속은 1kg의 인회석에 11의 도금폐수를 3시간 동안 반응시키면 경제적, 시간적 측면에서 가장 적절한 것으로 사료된다. 이 경우 pH는 1.98에서 5.30으로 증가하고 Cr, Fe, Cu 및 Zn은 각각 77.10%, 99.58%, 99.39% 및 40.77% 제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용해율은 0.3619 g/min/kg으로 계산되었다. 그러나 3시간의 반응시간으로는 크롬 및 아연을 기준치 이하로 제거하지 못하므로 인회석 반응조를 다단계로 하는 실험을 수행해 그 결과를 평가해야 할 것이다.

  • PDF

용매 및 가교도에 따른 수소동위원소 교환반응용 촉매 담체의 물성 변화

  • 강희석;이한수;정흥석;안도희;백승우;이성호;김광락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6.11a
    • /
    • pp.151-156
    • /
    • 1996
  • 수소동위원소 교환반응에 이용되는 스티렌-디비닐벤젠 고분자 촉매 담체를 제조하였다. 중합반응시 일정한 용매계에서 용매/모노머 함량비와 팽윤제/침전제 함량비를 변화시켜 담체의 표면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가교도가 33%일 경우 용매/모노머가 2.0 이하에서 팽윤제/침전제의 함량비가 증가할수록 10~30$\AA$의 반경을 갖는 기공의 분포가 증가하였다. 담체의 열적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한 열 중량 분석에서는 온도를 일정한 비율로 단시간에 증가시킬 경우에는 담체의 가교도에 관계없이 35$0^{\circ}C$ 근처에서 거의 유사한 degradation을 보였지만 온도를 매우 천천히 증가시켜 장시간 노출시킬 경우 가교도에 따라서 degradation의 정도와 경향이 다르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 PDF

Electroacupuncture regional analgesia in cattle (소에서의 전침전달마취(電針傳達麻醉))

  • Nam, Tchi-chou;Seo, Kang-moon;Chang, Kwang-ho
    • Korean Journal of Veterinary Research
    • /
    • v.38 no.2
    • /
    • pp.419-422
    • /
    • 1998
  • 소에서는 전신마취보다 전달마취로써 대부분의 수술을 수행한다. 본 연구는 9두의 소에서 요방 1혈(제 1요추 횡돌기의 전단), 요방 2혈(제 2요추 횡돌기 후단) 그리고 요방 4혈(제 4요추의 횡돌기 후단)에 침을 삽입하고 2.0~9.5volt와 주파수 30Hz로 통전하여 각종 수술을 실시하였다. 마취 도입에는 10~25분이 소요되었고, 9두중 7두(78%)에서 전침전달마취만으로, 2두 (22%)는 추가 침윤마취로 수술을 원만하게 완료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 소에 대한 전침전달마취는 복강수술을 위해서 특히 poor risk 상태에서는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