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침식위험도

Search Result 123,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Monitoring Methods for the Effectiveness Evaluation of Grit Chamber and Temporary Reservoir in Urban Development Sites (도시개발현장의 침사지겸 저류지의 재해저감 효과평가를 위한 모니터링 방안)

  • Pyeon, Young-Beom;Jeong, Woo-Song;Song, Moon-Soo;Yun, Hong-S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101-102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도시 개발현장의 재해저감시설 중 하나인 침사지겸 저류지의 효과평가를 위한 모니터링 방안을 제시하였다. 전 지구적으로 기온이 급격히 상승하고 있으며 이상 자연현상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매년 태풍에 영향을 받고 여름에 강수량이 집중되고 있다. 개발 중 지표면이 침식에 노출되고 불투수면적의 증가로 홍수위험이 높아져 재해영향평가제도에 따라 침사지겸 저류지를 설치하여 토사의 하천 유출을 방지하고, 첨두유출을 완화시키고 있다. 설치 시 외국의 경험식과 재해영향평가서 기준 기상청 관측대의 30년 빈도 강우량을 사용하고 있으나, 유형 및 제원의 적절성의 효과평가 방안이 부재하다. 향후 이상기후로 강하고 잦은 폭우가 예상되며, 이로 인한 홍수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침사지겸 저류지에 대한 효과 평가 방안이 필요하다. 이에 침사지겸 저류지의 재해저감 효과평가를 위해 타 재해저감시설 모니터링 체계 분석을 통해 수위값과 퇴사위 계측을 활용한 침사지 겸 저류지의 모니터링 방안을 도출하였다.

  • PDF

Characteristics of Nutrient Concentrations of Outflow during Storms in a Rural Watershed (비점원 농촌유역으로부터 강우시 유출수의 농도특성)

  • Oh, Kwang-Young;Kim, Jin-Soo;JiAng, Ji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457-461
    • /
    • 2006
  • 비점원 농촌유역으로부터 강우시 영양물질(질소, 인)의 유출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2002년부터 2005년까지 5개의 강우사상을 대상으로 $2{\sim}12$시간 간격으로 유량 및 수질을 측정하였다. 강우사상시 TN농도는 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상승하여 최대농도를 보인 후, 유량감소에 따라 농도가 감소하는 경우와 초기농도보다 높은 농도로 유지되는 경우의 두 가지 경향을 보였다. TP농도는 유량의 증가에 따라 급격한 상승을 보였고, 최대 값 이후 농도가 낮아져 거의 초기농도에 도달하였다. 또한, 초기농도에 대한 최대농도값의 비는 TP가 TN보다 크게 나타났다. 농촌 소유역에서의 초기유출현상(first-flush)은 40%의 누적유출량을 나타낼 때 TP의 누적유출부하량은 $70{\sim}86%$를 기록하여, 도시유역(60%)과 광역논(50%)보다 크게 나타났는데, 이는 농촌 소유역이 경사가 크고 밭 등에서 강우로 인한 토양침식 등의 영향을 크게 받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4개의 강우사상에 대한 질소의 용존성 성분의 비(TN/TDN비)는 93.6%를 나타내 질소는 대부분 용존성 형태로 유출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인의 용존성 성분의 비(TP/TDP비)는 25.4%를 나타내 인의 대부분 입자성 형태로 유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비점원 농촌유역으로부터 TN부하를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용존성 성분을 제공하는 비료의 시용량을 줄여야 하며, TP부하를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강우시 입자성 인의 유출을 제어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비가 많이 오는 여름철에 나지(裸地)나 밭에 식생이나 멀칭(mulching) 등으로 토양침식을 방지하는 대책이나 하천변에 완충역(riparian buffer zone)을 설치하는 대책이 필요하다. 저수지 관리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저수지 내부의 탁도 거동을 정확히 예측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추후 동수역학 및 열역학에 기초한 3차원 수치모형 연구와 성층흐름에 정밀한 밀도류 실험연구 및 이에 대한 적용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함으로써 정보의 질적보장과 정보전환의 표준화방안을 제시하는 정보분석시스템이다.이용, 수자원의 지속적 확보기술의 특성에 따른 4개의 평가기준과 26개의 평가속성으로 이루어진 2단계 기술가치평가 모형을 구축하였으며 2개의 개별기술에 대한 시범적용을 실행하였다.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면으로의 월류량을 산정하고 유입된 지표유량에 대해서 배수시스템에서의 흐름해석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침수해석을 위해서는 2차원 침수해석을 위한 DEM기반 침수해석모형을 개발하였고, 건물의 영향을 고려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본 연구결과 지표류 유출 해석의 물리적 특성을 잘 반영하며, 도시지역의 복잡한 배수시스템 해석모형과 지표범람 모형을 통합한 모형 개발로 인해 더욱 정교한 도시지역에서의 홍수 범람 해석을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모형의 개발로 침수상황의 시간별 진행과정을 분석함으로써 도시홍수에 대한 침수위험 지점 파악 및 주민대피지도 구축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4일간의 기상변화가 자발성 기흉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고 추론할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에서 추론된 기상변화와 기흉 발생과의 인과관계를 확인하고 좀 더 구체화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는 초과수익률이 상승하지만, 이후로는 감소하므로, 반전거래전략을 활용하는 경우 주식투자기간은 24개월이하의 중단기가 적합함을 발견하였다. 이상의 행태적 측면과 투자성과측면의 실증결과를 통하여 한국주식시장에

  • PDF

Application of GIS to the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for Quantifying Rainfall Erosion in Forest Watersheds (산림유역의 토양유실량(土壤流失量) 예측을 위한 지리정보(地理情報)시스템의 범용토양유실식(汎用土壤流失式)(USLE)에의 적용)

  • Lee, Kyu S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83 no.3
    • /
    • pp.322-330
    • /
    • 1994
  • The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USLE) has been widely used to predict long-term soil loss by incorporating several erosion factors, such as rainfall, soil, topography, and vegetation. This study is aimed to introduce the LISLE withi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GIS) environment. The Kwangneung Experimental Forest located in Kyongki Province was selected for the study area. Initially, twelve years of hourly rainfall records that were collected from 1982 to 1993 were processed to obtain the rainfall factor(R) value for the LISLE calculation. Soil survey map and topographic map of the study area were digitized and subsequent input values(K, L, S factors) were derived. The cover type and management factor (C) values were obtained from the classification of Landsat Thematic Mapper(CM) satellite imagery. All these input values were geographically registered over a common map coordinate with $25{\times}25m^2$ ground resolution. The USLE was calculated for every grid location by selecting necessary input values from the digital base maps. Once the LISLE was calculated, the resultant soil loss values(A) were represented by both numerical values and map format. Using GIS to run the LISLE, it is possible to pent out the exact locations where soil loss potential is high. In addition, this approach can be a very effective tool to monitor possible soil loss hazard under the situations of forest changes, such as conversion of forest lands to other uses, forest road construction, timber harvesting, and forest damages caused by fire, insect, and diseases.

  • PDF

Simulation of Improvement Method for Narrow Cross-Section in Hyungsan River Using HEC-6 (HEC-6를 이용한 형산강 협착부 개선방안 모의)

  • Kim, Jung-Min;Kim, Young-Do;Lyu, Si-Wan;Lee, Nam-J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953-957
    • /
    • 2008
  • 일반적으로 하천은 오랫동안 장기간의 변화를 겪으며 안정되어 있다. 산사태나 홍수 등 자연적인 변화뿐 아니라 댐이나 교량 등 인위적인 변화에 따라 흐름이나 유사량이 변하게 되며 이런 동적변형상태를 복원하는 과정에서 침식과 퇴적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져 대규모 하상변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하천에서 발생하는 대규모의 하상변동에는 일반적으로 1차원 해석이 적용된다. 하천의 일정 하도구간을 고려할 경우 구간의 상류단면으로부터 유입하는 유입토사량과 하류단면에서 유출되는 유출토사량과의 비에 따라 그 구간에는 하상상승(aggradation)및 하상저하(degradation)가 발생하게 되고 이것이 거시적 측면에서 하상변동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장기하상변동은 경우에 따라서 이수용도의 수문 혹은 취수구가 노출되거나, 교량의 교각에 국부세굴이 발생되어 붕괴위험이 생기는 등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상변동 예측 모형 중 신뢰성 및 적용성이 우수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는 HEC-6 모형을 형산강수계에 적용하여 4가지 협착부 개선방안에 따른 장기하상변동에의 영향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하천기본계획상의 횡단면도와 유사량 실측값을 이용하여 유사모의 결과를 검증하고 2020년까지의 모형의 계산 값을 이용하여 4가지 대안에 따른 모의 결과와 원안의 결과와 비교 및 분석하였다. 모의한 결과 형산강의 하상변동치가 크지 않은 것은 형산강의 하상이 어느 정도 안정되어 있어 장기적인 하상변동이 크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협착부 개선에 따른 대안 1, 2, 3, 4의 하상이 크게 변하지 않음을 보였다. 지형 변화에 따른 장기하상변동에의 영향이 크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PDF

Evaluation of Roofing Potential at the Ground-structure Interface (지반-구조물 경계면의 루핑 포텐셜 평가)

  • Park, Jeongman;Kim, Kanghyun;Shin, Jongho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19 no.3
    • /
    • pp.25-33
    • /
    • 2018
  • Piping is one of the most frequently occurring collapse type of a levee, and is often caused by roofing (backward erosion piping) at the ground-structure interface. Roofing is generally evaluated using creep ratio. However, creep ratio does not take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ground-structure interface. In this study, the roofing risk was investigated by using model test and numerical analysis considering the ground-structure interface characteristics. In the model test, it was confirmed that the piping potential decreased as the interface roughness increased, and this was applied to the numerical analysis. Existing numerical methods can not adequately simulate the particle behavior at the ground-structure interface because only the water level difference is considered. In this paper, particle behavior at the interface was investigated by performing seepage analysis and then, carrying out particle analysis technique simulating the boundary condition of the ground-structure interface. Analysis results have shown that the roofing resistance decreases as the ground-structure interface roughness decreases.

Risk Assessment of Soil Erosion in Gyeongju Using RUSLE Method (RUSLE 기법을 이용한 경주지역의 토양침식 위험도 평가)

  • Oh, Jeong-Hak;You, Ju-Han;Kim, Kyung-Tae;Lee, Woo-Sung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0 no.3
    • /
    • pp.313-324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raw data for establishing the plan of top soil conservation in soil environment and preventing the soil loss by establishing the potential amount of soil loss using RUSLE. The results are as follows. To apply the RUSLE model, we calculated the potential amount of soil loss by using 5 factors; rainfall erosion factor(R), topographical factor(LS), soil erosion factor(K), land cover factor(C) and erosion control factor(P). The assessment map of soil loss was drawn up by classifying 5 grades. According to the soil loss estimation by the RUSLE, it showed that approximately 83.9% of the study area had relatively lower possibility of soil loss which was the 1 ton/ha in annual soil loss. Whereas, the 7.0% of the study area was defined as high risk area which was the 10 ton/ha in annual. Therefore, this area was needed that there was environment-friendly construction of farm land, improvement of cultivation environment and so forth. In future, if we will analyze the amount of soil loss of Gyeongju national park and Hyeongsan river watershed, we will offer the help to establishing the conservation plan of soil environment in Gyeongsangbuk-do.

Analysis on Nonstationarity in Mean Sea Level and Nonstationary Frequency Analysis based on Hierarchical Bayesian Model (해수면의 비정상성 검토 및 계층적 Bayesian 모형을 이용한 비정상성 빈도해석 기법 개발)

  • Kim, Yong Tak;Sumiya, Uranchimeg;Kwon, Hyun-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451-451
    • /
    • 2015
  • 최근 1900년부터 1990년 사이 해수면은 매년 평균 1.2mm 상승했지만 1990년부터는 매년 평균 3mm씩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1990년부터 현재까지 해수면 수위의 상승속도가 이전 90년 동안 측정된 수치보다 2.5배 빠르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되었다.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피해는 범람과 침식을 야기할 수 있으며 해일 및 폭풍으로 인한 피해를 증가시킴으로 물질적 피해와 인명 피해를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해수면 상승에 따른 과학적인 분석과 신뢰성 있는 전망을 통하여 해수면 상승에 따른 대응과 대비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정상성 빈도해석 방법을 통하여 미래의 해수면 상승을 고려할 수 있는 비정상성 빈도해석 기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극치사상을 추출하기 위해 국립해양조사원 (Korea Hydrographic and Oceanographic Administration, KHOA)에서 관리한 45개 조위관측소의 시 조위 자료를 이용하였다. 45개 조위관측소의 한 시간 단위 자료로부터 연최대 및 연평균 조위계열 (annual average and annual maximum sea level series)을 추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 해안을 동해안, 서해안, 남해안, 제주 권역으로 구분하고 빈도 해석의 신뢰성을 만족하기 위해 자료 구축기간이 20년 이상이며, 각 해안을 나타낼 수 있는 지점을 선정하였다. 비정상성 빈도해석은 Gumbel 극치분포를 적용하였으며, 계층적 Bayesian 기법을 결합하여 매개변수들에 대한 사후분포를 추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부분의 지점에서 비정상성 빈도해석 결과와 정상성 빈도해석 결과와 상당한 차이를 보여주고 있으며, 이는 주로 정상성 가정에 기인하는 문제점으로 판단된다. 향후 기후변화에 따른 연안지역의 홍수 및 사회기반시설의 위험도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비정상성을 고려한 빈도해석 절차의 수립과 적용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Research Trends on Soil Erosion Control Engineering in North Korea (북한의 사방공학 분야 연구동향 분석)

  • Kim, Kidae;Kang, Minjeng;Kim, Dongyeob;Lee, Changwoo;Woo, Choongshik;Seo, Junpy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108 no.4
    • /
    • pp.469-483
    • /
    • 2019
  • North Korea has experienced floods and sediment-related disasters annually since the 1970s due to deforestation. It is of paramount importance that technologies and trends related to forest restoration and soil erosion control engineering be properly understood in a bid to reduce damage from sediment-related disasters in North Korea, and to effect national territorial management following unification. This paper presents a literature review and bibliometric analysis including 146 related articles published in North Korea. First, we analyzed the textual characteristics of the articles. We then employed the VOSviewer software package to classify the research topic and analyzed this topic based on the time change. The results showed that articles on the topic have consistently increased since the 1990s. In addition, research related to soil erosion control engineering has been classified into four subjects in North Korea: (i) assessment of hazard area on soil erosion and soil loss, sediment related-disasters; (ii) hydraulic and hydrologic understanding of forests; (iii) reasonable construction of soil erosion control structures; and (iv) effects and management plan of soil erosion control works. The proportion of research related to the (ii) hydraulic and hydrologic understanding of forests had been significant during the reign of Kim Ilsung. However, the proportion of research related to the (i) assessment of hazard area on soil erosion and soil loss, sediment-related disasters, increased during the reign of Kim Jongil and Kim Jongun. Using these results, our analysis indicated that an interest in and need for soil erosion control engineering in North Korea has continually increa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serve as a basis for preparing forestry cooperation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and to serve as essential data for better understanding soil erosion control engineering in North Korea.

Analysis of Forest Environmental Factors on Torrent Erosion control work area in Gyeongsangnam-do - Focus on Erosion Control Dam and Stream Conservation - (경남지역 야계사방사업지의 산림환경특성 분석 - 사방댐 및 계류보전사업을 중심으로 -)

  • Kang, Min-Jeng;Kim, Ki-Dae;Oh, Kang-San;Park, Jin-Won;Park, Jae-Hyeon
    •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 /
    • v.50 no.5
    • /
    • pp.111-120
    • /
    • 2016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selecting the right timing and the right place of erosion control of stream on Gyeongsangnam-do.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ive, a total of 526 erosion control dams and 230 mountains stream conservation facilities on the constructed places and construction planned places for the erosion control were investigated on site, forest physiognomy, and hydrologic conditions. The erosion control dams and mountain stream conservation facilities were mostly constructed in the area, which has the sedimentary rock, 200-400m of altitude, a slope of 21~30°, and II of landslide hazard map. Among the forest environmental factors, it was only similar to the construction frequency in the areas that have small diameter class, III age class. Also, we investigated the hydrological environmental factors that determine the size and numbers of erosion control dam. The places constructed to the highest frequency were below 50ha in the area, 2.1~4.0km/㎢ of drainage density, longitudinal water system, 61~90mm of maximum precipitation per hour, and 201~300mm of day maximum precipitation. As the results, the sites and floodgate conditions between the constructed places and stream conservation facilities for the erosion control showed to be very similar. Therefor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erosion control of the stream of the areas, which have the disruption of mountain peaks and the high erosion risk areas, should be used on both the erosion control dam and stream conservation facilities.

Ecological Role of Urban Stream and Its Improvement (도시하천의 생태학적 역할과 개선방안)

  • Son, Myoung-W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4 no.1
    • /
    • pp.15-25
    • /
    • 1998
  • A stream plays an important role as the source of drinking water, the ecological space and the living space. But the today's urban stream whose ecosystem is destroyed and water quality become worse in consequence of covering, concrete dyke construction, and the adjustment of high-water-ground[dunchi], is deprived of the function as a stream.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elucidate the role that urban stream plays ecologically and to try to find a improvement to the problem. A stream is the pathway through which several types of the solar radiation energy are transmitted and the place which is always full of life energy. In the periphery of a stream, primary productivity is high and carrying capacity of population is great. Thus ancient cities based on agricultural products grew out of the fertile surroundings of stream. In Korea most cities of the Chosen Dynasty Period based on the agriculture have grown out of the erosional basins where solar energy is concentrated. The role of a stream in this agricultural system is the source of energy and material(water and sediment) and a lifeline. In consequence of the growth of cities and the rapid growing demands of water supply after the Industrial Revolution, a stream has become a more important locational factor of city. However, because cities need the life energy of urban streams no longer, urban streams cannot play role as a lifeline. And As pollutant waste water has poured into urban streams after using external streams' water, urban streams have degraded to the status of a ditch. As the results of the progress of urbanization, the dangerousness of inundation of urban stream increased and its water quality became worse. For the sake of holding back it, local governments constructed concrete dyke, adjusted high-water-ground[dunchi], and covered the channel. But stream ecosystem went to ruin and its water quality became much worse after channelization. These problems of urban stream can be solved by transmitting much energy contained in stream to land ecosystem as like rural stream. We should dissipate most of the energy contained in urban stream by cultivating wetland vegetation from the shore of stream to high-water-ground, and should recover a primitive natural vigorous power by preparation of ecological park.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