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침식과 발생

검색결과 724건 처리시간 0.03초

토석류의 침식 및 퇴적을 고려한 유동층의 거동 분석 (Analysis of Liquefied Layer Activities Considering Erosion and Sedimentation of Debris Flow)

  • 김성덕;이호진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20권4호
    • /
    • pp.23-29
    • /
    • 2019
  • 최근의 기후변화는 산지가 많은 우리나라에서 토석류를 발생시켜 하류에 많은 재난을 야기하였다. 산지에서 발생한 토석류는 퇴적과 침식을 반복하며 하류로 이동하고, 유동화된 토사-물 혼합물 형태로 나타난다. 이처럼 강한 운동성의 토석류를 해석하기 위하여 연속방정식 및 운동량 방정식을 적용하였고, 퇴적 및 침식에 관한 속도식은 세립사가 포한된 수정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는 산지 상류부에서 발생 가능한 퇴적토사량의 변화에 대한 하류부에서의 토석류 거동을 분석한 것이다. 조립토사의 포설 길이 변화에 따른 수로 하류단에서 토사체적농도를 분석해 보면, 공급유량이 많고 포설길이가 길수록 토사농도의 고저차가 크게 나타났고, 변곡점 발생 시점도 빨라진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급경사의 비탈사면에서의 침식 및 퇴적 가능 여부를 알 수 있는 침식-퇴적 속도를 판단하여 토석류 재해에 대한 대책을 세우는 데 좋은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잔디류가 토양유실 방지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urfgrasses to Prevent Soil Erosion)

  • 안병구;최준수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2권4호
    • /
    • pp.381-386
    • /
    • 2013
  •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로 인하여 강수량과 집중강우의 빈도가 높아질 것으로 예측된다. 본 연구는 잔디류와 기타 식량 원예작물 들의 토양유실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작물별 토양유실은 한국잔디와 한지형잔디 처리구의 강수량 및 강우 강도와 상관없이 토양유실이 거의 발생하지 않아서 토양침식에 대한 보호 효과가 매우 우수하였다. 작물별 연간 토양 침식 총량은 한국잔디로 전면 피복된 곳이 가장 적었으며, 그다음 줄떼로 조성된 한국잔디와 한지형잔디로 피복된 실험구에서 토양침식이 매우 적었다. 그리고 밭벼와 콩 재배구에서 5~10 $MT{\cdot}ha^{-1}{\cdot}yr^{-1}$, 고추 재배구에서 7~14 $MT{\cdot}ha^{-1}{\cdot}yr^{-1}$의 토양침식량이 발생되었다. 잡초가 방치된 실험구의 토양침식이 크게 감소된 것에 반하여 잡초가 제거된 나지의 연간 토양침식 총량은 18 $MT{\cdot}ha^{-1}{\cdot}yr^{-1}$이상 크게 발생되었다.

경사축 추진기 모형시험에서 추진기 소음과 캐비테이션 침식 상관관계 연구 (Correlation study between propeller noise and cavitation erosion with inclined propeller model test)

  • 설한신;백부근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328-333
    • /
    • 2019
  • 본 논문은 선박 추진기의 캐비테이션 침식현상을 연구하기 위하여 추진기에서 발생하는 소음과 캐비테이션 격렬도의 연관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캐비테이션 침식은 캐비테이션 붕괴의 빈도와 강도로 정의 할 수 있는 '캐비테이션 격렬도'와 밀접히 연관되어 있다. 캐비테이션 붕괴에 의해서 발생하는 압력파는 다양한 진폭과 지속시간의 연속적인 펄스의 형태로 나타나며 이를 캐비테이션 거동과 동조 분석하여 캐비테이션 붕괴에 따른 추진기 소음 연관성을 파악하였다. 이 기법을 경사축 추진기시험을 활용하여 추진기침식시험에 대한 정량적 평가방안을 제시하였다.

부산시에 거주하는 9~10세 어린이의 치아침식증 유병률과 관련된 위험요소 (PREVALENCE AND ASSOCIATED RISK FACTORS OF DENTAL EROSION IN 9- AND 10-YEAR-OLD CHILDREN IN BUSAN)

  • 유성구;이창한;정태성;김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1-20
    • /
    • 2013
  • 치아침식증의 유병률은 어린이에서 증가추세에 있고 전 세계적인 관심 또한 증가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이에 대한 연구적, 임상적 관심이 아직 미미한 수준이다. 본 연구는 탈락에 근접한 최종 단계의 유구치 침식의 유병률과 심도, 그리고 이와 관련된 위험인자를 조사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788명의 어린이를 대상으로 구강 검진을 시행하였다. Modified Linkosalo & Markkanen system을 이용하여 침식성 병소를 분류하였고, 보호자를 대상으로 침식성 음식과 음료 섭취의 빈도와 소비 방법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한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그 결과 231명(27%)의 어린이에서 치아침식증이 관찰되었고, 하악좌측제1유구치에서 가장 호발하였다. 위험인자 분석에 따르면 잦은 탄산음료와 과일주스에서 섭취 빈도는 침식의 발생과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고(p < 0.05), 빨대를 이용해서 과일주스를 섭취할 때 유의하게 침식 발생이 감소하였다(p < 0.05).

전촌-나정해안의 해안침식 원인분석 (The Analysis for the Causes of Beach Erosion on Jeonchon-Najung Beach on the East Coast of Korea)

  • 유형석;김규한;정의진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0권6호
    • /
    • pp.611-620
    • /
    • 2008
  • 해안침식의 과정은 여러가지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되는 경우가 많다. 일반적으로 해안침식은 표사이동의 평형파괴, 호안의 건설 및 이안류 발생 등과 같은 다양한 원인으로부터 야기된다. 따라서, 이러한 해안침식현상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해안침식을 야기시키는 주된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가장 우선시 되어야 하고, 그 주원인에 대한 대책을 수립해야만 한다. 본 연구에서는 파랑이 탁월한 동해안의 전촌-나정해안을 대상으로 표사이동에 따른 침식현상을 검토하고 침식의 주원인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원인분석방법으로는 현장관측자료, 항공사진분석 및 수치모형실험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대상해역에 있어서 해안침식의 주원인은 전촌, 나정항의 건설 및 호안건설에 의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MIKE Hydro River를 활용한 베트남 Sesan 및 Srepok 강 유역 강둑 세굴 위험성 분석 (Analysis of riverbank erosion risk for the Sesan and Srepok river basin in Vietnam using MIKE Hydro River)

  • 김정곤;신재성;노정수;이성수;이명훈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1년도 학술발표회
    • /
    • pp.68-68
    • /
    • 2021
  • Sesan강과 Srepok강은 베트남, 캄보디아, 라오스가 공유하는 3S강 유역 (Sesan강, Srepok강, Sekong강)의 일부로 연구 및 관리된다. 3S강 유역은 Mekong강의 중요한 지류이며 Mekong강 유역의 상당 부분을 구성한다(Mekong강 유역 면적의 10%, 연간 총 유출량의 20%). 베트남 측 Sesan강 유역의 면적은 11,255km2이고 Srepok강 유역 면적은 18,162km2이다. Sesan강과 Srepok 강의 상류는 베트남 중부 고원의 긴 산맥에 위치하고 있다. Sesan강과 Srepok강 유역은 기후변화에 따른 홍수, 가뭄, 어업 지속 가능성 감소, 퇴적 등 많은 문제와 도전에 직면 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World Bank의 "Viet Nam Mekong Integrated Water Resources Management (M-IWRM) Project의 일환으로 베트남 정부 차원에서 처음으로 구축한 수자원관리 의사결정지원 시스템인 "DSS-2S"를 활용하여, Sesan-Srepok강 유역의 강둑 침식 위험성을 분석하였다. DSS-2S는 MIKE Hydro Basin을 기반으로 SWAT모델, 수리모델, 하상변동 모델, 및 수질모델 등과 연계 하여 구축되었다. 2030 년을 목표 연도로 설정하고, 기후 변화 시나리오와 사회 경제적 발전을 기반으로 DSS-2S에 포함되어 있는 유사 이송 및 수리학적 모델을 활용하여 주요 하천 단면에서의 평균 유속과 하상 침식 양을 예측하였다. 유속 및 심부 침식 기준에 근거하여 강둑 침식 위험성을 분석하였다. 모델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기반으로 강둑 침식 위험이 있는 강 구간은 고(高)유속과 높은 침식의 조합에 의해 결정되었다. 고위험 침식 예상지는 Sesan강 유역의 Dak Bla, Po Ko, 및 Se San강에 총 길이 73.5km에 걸쳐 발생 할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침식 위험이 매우 높은 지역은 Dak Bla 강에 총 길이 2,286m, Po Ko 강에 총 길이 5,096m 정도가 발생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강둑 세국을 유발할 수 있는 다양한 인자들을 고찰하였으며, 본 성과는 베트남 중앙 정부의 장기수 자원 종합계획 수립의 기본 자료로 활용 될 예정이다.

  • PDF

음극방식에 의한 선박용 베어링 합금재의 침식-부식억제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Control of Erosion-Corrosion in Bearing Alloy Meals by Cathodic Protection)

  • 서현수;임우조;이진열
    • 한국윤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윤활학회 1994년도 제19회 학술대회
    • /
    • pp.40-41
    • /
    • 1994
  • 본 연구에서는 윤활유에 해수가 혼입된 유화유중에서 음극방식에 의한 선박용 베어링 합금재의 침식-부식억제에 관한 연구를 위하여, 초음파 진동장치의 캐비네이션 발생장치에 의해 선박용 베어링 합금재의 캐비네이션 침식-부식방지를 위해 음극방식(Cathodic protection)실험을 실시하였다. 이실험을 토대로 하여 해수의 혼입에 따른 유화유중에서 음극방식에 의한 베어링 합금재의 침식-부식억제효과를 구명하고자 한다.

  • PDF

정동진 해변 연안정비사업 설계사례

  • 박원경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14-216
    • /
    • 2018
  • 강원도 정동진해변은 이상시 고파랑에 의한 연안침식피해가 상시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해안복원을 위하여, 정밀 조사, 실험을 통해 연안침식원인을 분석하고 해안 안정을 위한 근본적인 대책을 수립하였으며, 자연재해로 인한 연안침식 예방과 연안시설에 대한 지속적인 유지관리로 연안환경을 보전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중방파제, 돌제, 양빈 등의 대책을 마련하였으며, 제언하여 이후 퇴적환경 모니터링을 지속화 시킬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폭풍에 의해 발생하는 해빈침식에 대한 수치해석 (Numerical Analysis of Beach Erosion Due to Severe Storms)

  • 조원철;표순보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9-26
    • /
    • 2000
  • 폭풍발생에 따른 해안종단방향의 표시이동은 경빈과 사구의 침식, 연안사주의 생성등 해안단면변화에 있어 주요한 요인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폭풍발생에 따른 표사이동은 표사의 입경, 수면상승높이, 쇄파고 등 많은 요소들에 의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현재에도 정확한 예측이 어려운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해안단면에서의 평형에너지소산개념과 표사량 예측에 있어 주요한 요소인 표사량 파라미터를 차원해석을 통하여 변수화하고 수치모델에 도입하여 폭풍발생에 따른 해안종단방향의 해안단면변화와 해빈침식에 대하여 분석하여 보았다. 해안종단방향의 해빈침식은 단면형상 파라미터, 표사량 파라미터, 수면상승높이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다.

  • PDF

VCTFK 끝단에서 발생되는 트래킹의 진전특성 (A Characteristic of Tracking Progress Happened at the End of the VCTFK)

  • 지승욱;김시국;옥경재;이춘하;이광식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4권8호
    • /
    • pp.78-83
    • /
    • 2010
  • 본 논문은 배전선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비닐캡타이어 타원형코드(Polyvinyl chloride insulated cabtyre oval cord, VCTFK)의 끝단에서 발생되는 트래킹의 진전특성에 대하여 언급하고 있다. 트래킹은 VCTFK의 끝단에 전해액을 적하함으로써 발생시켰다. VCTFK 끝단에서 발생되는 트래킹 진전과정 및 그 특징은 다음과 같다. 방전으로 인해 VCTFK 끝단에서 탄화가 시작되었고 침식도 일어났다. 도체에서 가까운 절연층이 먼저 침식되었으며, 피복층은 그 이후에 침식되었다. 침식이 진행된 이후, VCTFK 끝단의 표면에서 탄화물의 적층이 시작되었다. 적층 단계에서 아크를 동반했으며, 트래킹 파괴로 이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