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침수흔적도

Search Result 45,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Accuracy Improvement for Building Inundation Trace Map using Accurate DEM Data and Flood Damage Information (정밀지형자료와 과거 침수피해정보를 활용한 침수흔적도 구축 정확도 개선)

  • Goo, Sin-Hoi;Kim, Seong-Sam;Park, Young-Jin;Choi, Jae-W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9 no.4
    • /
    • pp.91-99
    • /
    • 2011
  • With increasing astronomically damage costs caused by frequent and large-sized flood, a hazard map containing comprehensive analysis results such as inundation trace investigation, flood possibility analysis, and evacuation plan establishment for flooded regions is a fundamental measure of non-structural flood prevention. Though an inundation trace map containing flood investigation results occurred by typhoon, rainfall and tsunami is a basic hazard map having close relationship with a flood possibility map as well as a hazard information map, it is often impossible to be produced because of financial deficiency, time delay of investigation, and the lack of maintenance for flood traces.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the accuracy enhancement procedure of inundation trace map with flood damage information and three-dimensional Digital Elevation Model (DEM) for the past frequent flooded regions according to a guideline for inundation trace map of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NEMA).

Analysis of inundation tracing using advanced image (첨단영상기반 침수흔적 분석)

  • Kim, Soo Hyun;Kim, Dong K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66-66
    • /
    • 2019
  • 침수흔적도는 풍수해로 인한 침수기록(침수심, 침수위, 침수시간 등)을 조사하여 표시한 도면으로 자연재해 경감 및 신속한 대피를 위하여 작성하도록 자연재해대책법에 따라 규정되어있다. 이러한 침수흔적도는 국가 방재에 따른 기초자료로 사용되지만 광범위한 지역을 신속 정확하게 조사하기에는 예산 부족 및 관리 미흡으로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18년 10월초 경북 영덕군에서 발생한 태풍 콩레이 침수피해사상을 대상으로 위성영상기반 침수판별지도를 작성하였고, 이를 실제자료와 비교하여 침수흔적도 작성 시 첨단영상의 활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위성영상으로는 ESA의 Sentinel-1과 PlanetLab사(社)의 PlanetScope를 활용하였고, 검증에 활용한 자료는 CCTV를 영상자료를 활용하여 정확성을 평가하였다. 침수심과 침수규모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한 지형자료는 10m DEM자료와 드론영상자료를 통해 구축한 DSM을 활용하였다. 그 결과 위성영상을 활용한 침수판별지도는 실제 CCTV영상자료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드론영상을 통해 지형자료를 구축한 경우 DEM에 비해 정확도가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위성영상자료의 해상도가 높을수록 실제자료와 유사하게 침수규모를 판별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첨단영상을 활용한 침수흔적도 작성은 기존조사보다 신속하고 광범위하게 자료를 수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A Fundamental Study on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Flood Plain Maps and Numerical Simulation (침수흔적도 및 수치모형 결과의 비교.분석 기초 연구)

  • Ahn, Jae-Chan;Jung, Do-Joon;Kim, Yun-Tae;Lee, Jae-J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362-366
    • /
    • 2010
  • 하천 설계를 위한 다양한 수치모의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홍수위, 침수심, 침수면적 등을 검토 분석하여 실시설계에 반영하고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나, 실제 호우사상과 수치모의 모형에 대한 결과 분석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양평군 흑천 하류부를 대상으로 2006년 7월 집중호우 시 침수흔적도 및 HEC-GeoRAS에 의한 침수영향 비교 검토와 함께 하천 흐름의 주요 영향계수인 조도계수를 다양화하여 침수변화 양상 등에 대해 분석하였다. 모의 결과 흑천 하류부에 대한 침수영향은 침수흔적도와 서로 상이한 결과를 나타내고, 조도계수의 증가에 따라 침수면적은 증가 양상을 보이고 있다. 상기 결과를 볼 때 침수흔적도와 HEC-GeoRAS의 침수구역 비교 검토시에서는 피해당시의 하천환경에 대한 조사 및 피해원인에 대해 정밀 검토후 다양한 사례 연구 후 적용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침수모의 분석이 가능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향후 실제 침수흔적을 잘 반영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시 착안 사항 등에 대한 검토도 병행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The 2D flood plain analysis using Tuflow Model (Tuflow 모형을 이용한 2차원 홍수범람 분석)

  • Park, Jong Young;Suk, Jong Young;Kim, Han Kyu;Kim, Dae H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341-345
    • /
    • 2015
  • 최근 기존의 SMS(Surface Modeling System) 모형에 Tuflow모듈이 추가된 형태로 새로운 버전이 출시되면서 윈도우버전에서 2차원 홍수범람모의가 가능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Tuflow모형이 추가된 SMS ver.11.2.7을 활용하여 2차원 홍수범람 분석을 실시하고 이에 따른 2012년에 발생한 실제 침수구간과의 비교를 통하여 Tuflow모형의 실제 적용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적용대상유역은 2012년도 침수가 발생하였으며, 전제 침수 지역 21개 중 하천내 수문을 통하여 침수가 발생한 지역, 내수침수가 발생한 지역 등을 제외한 순수하게 하천의 범람으로 인한 침수구역인 2개 지역을 대상으로 하여 하천범람모형의 재현성을 검토하였다. 검토결과, 2개 지역에 대한 공간적인 홍수범람의 재현성은 침수면적으로 판단해 볼 때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침수심으로는 침수조사의 자료가 미흡한 상황으로 명확하게 판단하기는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Mesh작성의 숙련도, GRID의 크기 등과 같은 기술적 요인과 더불어 침수흔적의 정확한 구획선의 결여 등으로 인하여 비교적 정확한 비교는 불가하였으나, 지형자료를 활용하여 2차원적 접근을 시도한 결과 침수흔적과 홍수범람의 재현성은 다소 우수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향후 보다 정확한 침수흔적이나 침수자료의 구축을 통하여 보정, 검정 등을 실시한 후 홍수범람의 재현성을 신뢰할 만한 추가적인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nalysis of the Tsunami Inundation Trace and it's Expectation Area in Coast Using GIS (GIS를 이용한 지진해일시 연안의 침수 흔적 및 예상 지역 분석)

  • Lee Hyung-Se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4 no.2
    • /
    • pp.175-182
    • /
    • 2006
  • The efficient management for minimum losses and demage precautions of fragile region against coastal disasters such as seismic waves and seawater overflows is proceeding continually. This study is to analyze inundation trace and extract expected damage areas with historic records of tsunami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Creating a digital elevation model of the Mangsang and the Nobong region in the east coast, we marked inundation record of tsunami and forecasted the flood area with a seismic wave height between 3 m and 5 m. The inundation trace layers and the expected damage areas on the cadastral map layer were superimposed individually. Consequently, the range and lot numbers of inundation expected area were calculated and inundation areas of 5 m tsunami were increased by 2.8 times than 3 m tsunami in case of subject regions. Analyzed results are expected to use evacuation work in case of seismic waves and to predict the compensation of the damaged area. And this study is expected to use suitable countermeasure for prevention from natural disasters.

Construction of Immersion Marks Map Using Digital Image (수치영상을 이용한 침수흔적도 제작)

  • Yun, Hee-Cheon;Min, Kwan-Sik;Jeong, In-Jun;Yu, Gum-D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Conference
    • /
    • 2010.04a
    • /
    • pp.337-339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재해관리 및 대응의 일환으로 재해 현장에서 필요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과거 풍수해로 인한 침수피해 이력정보를 분석하여 수치영상을 이용한 침수흔적도를 구축하였다. 기존의 지형도 및 지적도를 대체하여 생성한 수치영상 기반의 침수흔적도는 침수관련 정보를 표기함에 있어 그 가능성과 활용성에 초점을 두고 향후 재해관리 업무효율성 향상 및 재해대응 능력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Flood Area Typology Using the Inundation Trace Map - A Case Study of Busan Metropolitan City - (침수흔적도를 활용한 침수지역 유형화에 관한 연구 -부산광역시를 사례로-)

  • Yoo, Chang;Hong, Soon Heon;Choi, Hyun;Nam, Kwang Wo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31 no.5
    • /
    • pp.393-400
    • /
    • 2013
  • Recently, expected casuality or property damage, such as flood damage, environmental destruction, etc, is increased because of the local heavy rain or flood by climatic changes. Especially, there are lots of property damages caused by increase of flood frequency and expansion of flood area because impervious rate is increased by urban sprawling development. Therefore, this research intends to analyze reasons of flood damage by each form and suggest protective measures through the typology of flood area for Haeundae-gu, Suyoung-gu, Saha-gu in Busan Metropolitan City with Busan's inundation trace map which has made from 2009. To achieve them, flood area was divided into water flooding type, river flooding type and seawater flooding type. And, protective measures focusing on previous prevention gave the relationship by dividing into managing system aspect, infrastructure building aspect and system aspect, so it approached flooding problems more objectively and scientifically. And, this research intends to suggest vitalizing measures for the utilization of inundation trace map in the future.

Study on Application of Diffusion Wave Inundation Analysis Model Linked with GIS (GIS와 연계한 확산파 침수해석 모형의 적용에 대한 연구)

  • Cho, Wan-Hee;Han, Kun-Yeon;Choi, Seung-Yo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2 no.3
    • /
    • pp.88-100
    • /
    • 2009
  • An inundation analysis was performed on Hwapocheon, one of the tributaries of Nakdong River, which was inundated by heavy rain in August, 2002 with overtopping and levee break. The results of the developed model, 2D diffusion wave inundation analysis model, was compared with inundation trace map as well as inundation depth in terms of time and maximum inundated area calculated from FLUMEN model for the assessment of model applicability. The results from the developed model showed high fitness of 88.61% in comparison with observed data. Also maximum inundated area and spatial distribution of inundation zone were also found to be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FLUMEN model. Therefore, inundation zone and maximum inundation area calculated over a period of time by adopting 2D diffusion wave inundation analysis model can be used as a database for identifying high risk areas of inundation and establishing flood damage reduction measures.

  • PDF

Comparison of inundation patterns of urban inundation model and flood tracking model based on inundation traces (침수 흔적도 기반으로 도시침수 모형과 홍수추적모형의 침수양상 비교)

  • Choi, Jonghwa;Jeon, Jaehyun;Kim, Taehyung;Kim, Byungsik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4 no.2
    • /
    • pp.71-80
    • /
    • 2021
  • In recent years, the possibility of flooding due to the increase in the incidence of high-frequency rainfall due to abnormal rainfall and the increase in concentrated torrential rain is increasing. Also, the amount of rainwater runoff is increasing due to the increase of the impermeable layer in the city due to the concentration of population due to urbanization and concentration of development.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veloped city, it is located in the vicinity of rivers and in the lowlands. For the analysis of inundation in water, using XP-SWMM, which can analyze stormwater pipelines and surface flows, and FLO-2D models that can track flood-sluice curves and rainfall-spill curves, based on hydraulic and hydrological analysis. Inundation analysis was conducted and comparative review was conducted. The patterns of flooding of the two models were compared, and a model suitable for domestic flooding was sel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