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침수선박

Search Result 56,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A Study on Floating Waste Trace in Flood Control Dam Using the EFDC Model (EFDC 모델을 활용한 홍수조절용 댐의 부유쓰레기 유동 모의)

  • JANG, Suk-Hwan;OH, Kyung-Doo;OH, JiHwan;HAN, Su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336-336
    • /
    • 2015
  • 일반적인 다목적댐은 홍수 발생 시 본댐으로 유입되는 부유쓰레기 및 잡목 등을 차단하기 위하여 댐 상류에 차단망을 설치하여 1차적으로 사전 방지하고, 홍수기 이후 선박으로 부유물을 수거하여 재활용, 소각 등으로 처리하는 시스템이다. 그러나 본 연구의 대상인 한탄강댐은 홍수조절용 댐으로서 수위 변화 폭이 매우 크고 정상 조건(비 홍수기)시는 대규모 홍수터가 드러나기 때문에 댐 유지관리 방법이 상이하며 한탄강 본류 구간은 하폭과 수심 등 하도의 불규칙성과 만곡부에서 유수의 흐름이 한쪽으로 쏠리는 편기 현상이 발생하는 등 복잡한 수리현상으로 인하여 부유쓰레기의 분포를 판단하기 어려운 지역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부유쓰레기의 유동을 모의하기 위하여 HEC-HMS 모형과 $Vflo^{TM}$ 모형을 활용하여 본류와 지류의 빈도별 홍수량 분석을 실시하고, EFDC 3차원 동수역학 모형을 적용하여 홍수조절용지 내 부유쓰레기의 유입 경로 및 정체 구역을 분석하여 효과적인 쓰레기 처리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소규모 빈도 홍수(2년, 5년)의 경우 중 상류 지류의 부유쓰레기는 거의 유동하지 못하고 하도의 만곡의 영향을 받아 부분적으로 높은 밀도로 고착될 것으로 모의되며, 특히 본류와의 합류점 부근에 도달한 부유쓰레기는 유로 폭이 급확대되어 유속이 거의 없는 사수역 구간으로 변함에 따라 본류 배수위 영향으로 불규칙하게 맴돌다가 고착되는 것으로 모의되었다. 중규모 홍수(25년, 50년)의 경우, 상류부의 부유쓰레기의 분포는 소규모 홍수 시와 유사한 패턴을 보였으나 중류부에서 홍수파가 본류 하도를 월류하여 홍수터로 넓게 범람하는 지역에서는 소규모 홍수 시 본류 하도 양안에 분포하던 부유쓰레기가 홍수터 쪽으로 밀려가서 고착되는 경향을 보였다. 대규모 홍수(100년, 200년)의 경우, 댐과 인접한 분석 구간 하류부는 댐 배수위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으며 수심이 깊어 흐름이 가장 정체되는 구간으로 본류와 지류 모두 다량의 부유쓰레기가 분포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석 구간 중류부는 홍수 규모가 증가함에 따라 넓은 홍수터로 침수범위가 급격하게 증가하며 이에 따라 부유쓰레기가 분포할 수 있는 면적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분석 구간 상류부는 협곡을 이루고 있어 홍수규모가 증가하더라도 침수범위와 부유쓰레기의 분포면적에 큰 변화가 없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댐의 치수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효과적으로 수거 처리 할 수 있는 부유쓰레기 적치장 및 차단 시설의 적정 설치 위치를 파악하였다.

  • PDF

Stability Analysis of Low Flow Revetments on External Forces (저수호안에 작용하는 외력에 의한 안정성분석)

  • Kim, Chul;Park, Nam-Hee;Kim, Dae-Young;Kim, Yun-Hwa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8 no.5
    • /
    • pp.147-153
    • /
    • 2008
  • Tractive forces by flowing water and ship generated waves are items that affect the stability of the low flow revetments among various external forces exerting on those revetments. Bank revetment stability by these external forces is analysed in this study. The study area is the section of the test construction area changing the artificial revetments to ecological revetments in Han river. Tractive forces are computed using the calculated flow velocity using RMA-2 model. The stability is analyzed comparing the calculated tractive forces with permissible tractive forces of the revetments in the study area. The calculated tractive forces at section number 93 is higher than permissible tractive forces in that section, so the section is estimated hydraulically unstable. The calculated tractive forces for the storm of 10th August 2007 are small compared to the permissible tractive forces in all sections. The sections are considered to be hydraulically stable, but have been eroded in some parts. The reason for the erosion is considered to have insufficient time for the plants taking root, and be exerted composite forces such as forces by ship generated waves. Ship generated waves by the excursion boats and small boats called river taxi was calculated. Wave forces by these calculated waves are computed and compared with the supporting forces of the revetment material. The external forces exerted by the ships in Han River on the revetments is very little compared with the permissible supporting forces of the revetments, so the revetments are estimated hydraulically stable. But considering the composite forces are exerted simultaneously, the stability consideration should include these composite forces.

Optimization for Underwater Welding of Marine Steel Plates (선박용 강판의 수중 용접 최적화에 관한 연구)

  • 오세규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and Ocean Technology
    • /
    • v.20 no.1
    • /
    • pp.49-59
    • /
    • 1984
  • Optimizing investigation of characteristics of underwater welding by a gravity type arc welding process was experimentally carried out by using six types of domestic coated welding electrodes for welding of domestic marine structural steel plates (KR Grade A-1, SWS41A, SWS41B,) in order to develop the underwater welding techniques in practical use. Main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absorption speed of the coating of domestic coated lime titania type welding-electrode became constant at about 60 minutes in water and it was about 0.18%/min during initial 8 minutes of absorption time. 2. Thus, the immediate welding electrode could be used in underwater welding for such a short time in comparison with the joint strength of in-atmosphere-and on-water-welding by dry-, wet-or immediate-welding-electrode. 3. By bead appearance and X-ray inspection, ilmenite, limetitania and high titanium oxide types of electrodes were found better for underwater-welding of 10 mm KR Grade A-1 steel plates, while proper welding angle, current and electrode diameter were 6$0^{\circ}C$, above 160A and 4mm respectively under 28cm/min of welding speed. 4. The weld metal tensile strength or proof stress of underwater-welded-joints has a quadratic relationship with the heat input, and the optimal heat input zone is about 13 to 15KJ/cm for 10mm SWS41A steel plates, resulting from consideration upon both joint efficiency of above-100% and recovery of impact strength and strain. Meanwhile, the optimal heat input zone resulting from tension-tension fatigue limit above the base metal's of SWS41A plates is 16 to 19KJ/cm. Reliability of all the empirical equations reveals 95% confidence level. 6. The microstructure of the underwater welds of SES41A welded in such a zone has no weld defects such as hydrogen brittleness with supreme high hardness, since the HAZ-bond boundary area adjacent to both surface and base metal has only Hv400 max with the microstructure of fine martensite, bainite, pearlite and small amount of ferrite.

  • PDF

8년여의 세월호 사고원인 규명활동 결과의 정리와 분석 (1/2)

  • 조상래
    • Bulletin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 /
    • v.61 no.1
    • /
    • pp.16-29
    • /
    • 2024
  • 2014년 4월 18일 오전 8시 48분경 전라남도 병풍도 인근 해역에서 세월호는 전복된 후 침몰하였다. 사고 당시 이 배에는 승객 443명과 선원 및 승무원 33명 모두 476명이 타고 있었고, 이 중 미수습자 5명을 포함하여304명이 생명을 잃었다. 그 동안 공식적인 사고원인 규명활동이 꾸준히 진행되어 이 사고의 원인을 규명하기 위한 조사가 네 차례 있었다. 하지만 아직까지 사고 원인이 무엇인지 명쾌하게 밝혀지지 않고 있다. 이 글에서는 먼저 그동안 있었던 네 차례의 공식적인 세월호 사고원인 규명활동을 정리하였다. 가장 먼저 사고원인 규명활동을 전개한 해양안전심판원 특별조사부는 2014년 사고 직후부터 그해 12월까지 활동하였다. 특별조사부 최종보고서에는 화물의 과적과 평형수 적재 부족으로 인한 선박복원성 기준 미달, 타각의 대각도 조타와 장시간 유지로 인한 부적절한 조타, 화물의 부실한 고박으로 인한 화물의 이동, 수밀문의 관리 부실로 인한 조기 침수와 비상대피장소(muster station)로의 승객대피 조치 미이행을 사고의 원인으로 들고 있다. 2015년 3월부터 2016년 6월까지 활동한 4·16세월호참사 특별조사위원회(특조위)는 '4·16 세월호 참사 특별 조사위원회 청산 백서'만을 간행하고 최종보고서를 제출하지 못한 채 활동을 종료하였다. 세월호 선체조사위원회(선조위)는 2017년 4월부터 2018년 8월까지 활동하였다. 선조위는 세월호 사고원인 규명을 위한 다른 기구에 비해 위원의 구성도 균형이 있었고, 직권사건 위주의 조사방법도 적절하였다. 또한 조타기와 조타 과실 여부, 급선회 항적 및 횡경사와 핀안정기의 물리적 손상에 관한 용역을 국내 여러 기관에 발주하였다. 뿐만 아니라 다양한 해양사고 원인규명 용역에 참여한 실적이 있는 영국의 기술용역회사인 Brookes Bell에 급선회와 빠른 침몰의 원인 조사를 요청하였다. 아울러 세계에서 가장 활발히 수조실험을 수행하고 있는 상업 연구소인 네덜란드의 MARIN에 수조시험과 시뮬레이션도 의뢰하였다. 하지만 아쉽게도 선조위는 서로 다른 사고 원인을 주장하는 두 권의 종합보고서를 간행하였다. 종합보고서로 '내인설' 종합보고서[6]는 타기 솔레노이드 밸브의 고착으로 시작된 급선회를 사고의 직접 원인으로 지목하고 있다. 하지만 '열린안' 종합보고서[7]에서는 수중체와의 충돌을 직접적인 사고 원인으로 밝히고 있다. 마지막으로 가습기살균제 사건과 4·16세월호 참사 특별조사위원회(사참위)가 2019년 3월부터 2022년 9월까지 활동하였다. 사참위는 위원으로 조선해양공학과 항해학 전문가가 포함되어 있지 않아 세월호의 사고원인 규명활동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에는 적절하지 못하였다. 사참위는 주로 조타장치 고장에 따른 세월호 전타 선회현상 검증, 세월호 변형 손상부의 확인 및 원인 조사와 세월호 횡경사 원인과 침수과정 분석을 직권 과제로 추진하였다. 또한 네덜란드 MARIN에 자유항주시험을 추가로 의뢰하였으며, 핀란드의 NAPA group에도 복원성 계산과 침수해석을 의뢰하였다. 사참위는 선조위의 두 가지 사고원인에 대해 '내인설'의 솔레노이드 밸브 고착은 사고원인일 가능성이 매우 낮고, '열린안'의 수중체와의 충돌 시나리오는 근거가 부족함을 확인하였다. 이상에서 정리한 바와 같이 규명활동이 진행됨에 따라 사고원인이 수렴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원인을 시원하게 밝히지 못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사고원인 규명활동을 수행한 네 개 기구의 구성과 활동 내용을 비교하고, 사고조사 위원회의 바람직한 구성과 위원회의 운영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Brookes Bell 보고서에 수록된 출항 당시의 흘수에 근거한 배수량과 선미 램프의 폐쇄 전후의 횡경사각으로부터 도출한 GoM도 소개하고 있다. 아울러 출항 당시의 GoM값으로 추정한 사고 당시의 GoM값도 소개하고 있고, 수중체와의 충돌 시나리오를 후보 사고 시나리오에서 제외시켜야 할 이유도 열거하고 있다. 끝으로 해양사고 원인규명 활동이 보다 과학적으로 그리고 보다 합리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기 위해 그리고 우리 사회의 안전문화 제고를 위한 몇 가지의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세월호 사고로 치른, 아직도 치르고 있는 희생을 딛고 해양안전문화가 한 걸음 더 나아가기 위해서는 세월호 사고의 원인을 반드시 규명해야 한다는 말씀으로 글을 마무리하고 있다.

  • PDF

The Characteristics of Disaster by Track of Typhoon Affecting the Korean Peninsula (한반도 영향 태풍의 이동경로에 따른 재해 특성)

  • Ahn, Suk-Hee;Kim, Baek-Jo;Lee, Seong-Lo;Kim, Ho-Ky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8 no.3
    • /
    • pp.29-36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disaster associated with typhoon passed through the sea areas excluding the South Sea around the Korean Peninsula. First, Korean peninsula-affecting typhoons were divided into their track patterns of passing through the Korean West Sea and East Sea based on typhoon data from 1951 to 2006 provided by Regional Specialized Meteorological Center(RSMC)-Tokyo. Then, annual and monthly frequency and intensity of typhoon in each pattern was examined. In particular, typhoon related damages during the period of 1973 to 2006 were analyzed in each case. Results showed that since early 1970, in the West Sea case, typhoon becomes weaker without significant change in frequency, while in the East Sea case, it becomes stronger with an increasing trend. It is also found that the high amount of typhoon damage results from the submergence of houses and farmlands in the East Sea case, while it is due to the breakdown of houses, ships, roads and bridges in the West Sea case. In addition, it is revealed from the analysis of rainfall and maximum wind speed data associated with typhoon disasters that the main cause of occurring typhoon disasters seem to be qualitatively related to strong wind in the West Sea case and heavy rainfall in the East Sea case.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Hull-Form Design for Propulsion Type Change of Net Boat Mounted on Tuna Purse Seiner (다랑어 선망어선 탑재용 보조 작업선의 추진기 타입 변화에 의한 선형 개선 연구)

  • Lim, Jun-Taek;Jang, Ho-Yun;Lee, Kyoung-Woo;Seo, Kwang-Cheo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4 no.6
    • /
    • pp.810-817
    • /
    • 2018
  • In Korea, tuna purse seine fishery is the industry with the highest production volume in domestic deep-sea fishery. Research has been continuously carried out since the late 1980s, and research on modernization of technology has been actively conducted. However, while auxiliary works boats on the fishing vessel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purse seine fishing, related research is not sufficient. In this study, we tried to rebuild the propulsion system of the Net-boat from the propeller to the waterjet type and to perform the hull form conversion to improve the resistance performance of the hull part and improve the motion performance. For this, we calculated the change of the fluid performance of the ship through computational numerical analysis. In addition, towing tank tests were carried out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the existing ship and the ship which changed the propulsion system. As a result, resistance performance of the waterjet type compared to the propeller type was improved by approximately 45 %. It was confirmed that this was due to reduction of the wetted surface area by removing net and improvements in hull fo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