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침사지겸 저류지

Search Result 2, Processing Time 0.017 seconds

Monitoring Methods for the Effectiveness Evaluation of Grit Chamber and Temporary Reservoir in Urban Development Sites (도시개발현장의 침사지겸 저류지의 재해저감 효과평가를 위한 모니터링 방안)

  • Pyeon, Young-Beom;Jeong, Woo-Song;Song, Moon-Soo;Yun, Hong-S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101-102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도시 개발현장의 재해저감시설 중 하나인 침사지겸 저류지의 효과평가를 위한 모니터링 방안을 제시하였다. 전 지구적으로 기온이 급격히 상승하고 있으며 이상 자연현상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매년 태풍에 영향을 받고 여름에 강수량이 집중되고 있다. 개발 중 지표면이 침식에 노출되고 불투수면적의 증가로 홍수위험이 높아져 재해영향평가제도에 따라 침사지겸 저류지를 설치하여 토사의 하천 유출을 방지하고, 첨두유출을 완화시키고 있다. 설치 시 외국의 경험식과 재해영향평가서 기준 기상청 관측대의 30년 빈도 강우량을 사용하고 있으나, 유형 및 제원의 적절성의 효과평가 방안이 부재하다. 향후 이상기후로 강하고 잦은 폭우가 예상되며, 이로 인한 홍수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침사지겸 저류지에 대한 효과 평가 방안이 필요하다. 이에 침사지겸 저류지의 재해저감 효과평가를 위해 타 재해저감시설 모니터링 체계 분석을 통해 수위값과 퇴사위 계측을 활용한 침사지 겸 저류지의 모니터링 방안을 도출하였다.

  • PDF

Feasibility Analysis on the Application of Eco-friendly Prefabricated Rainwater Detention System in Grit Chamber and Permanent Pond by the Two-dimensional Diffusion-wave Analysis Model (2차원 확산파 해석모형을 통한 침사지겸 저류지의 친환경 조립식 빗물침투저류시설 적용 타당성 분석)

  • Kim, Ho-jin;Choi, Hee-Yong;Lee, Tae-Gyu;Choi, Hyeong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Conference
    • /
    • 2022.11a
    • /
    • pp.185-186
    • /
    • 2022
  • In this study, a numer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a two-dimensional diffusion-wave analysis model to analyze the validity about the application of eco-friendly prefabricated rainwater detention system in grit chamber and permanent pon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is confirmed that the flood prevention effect, such as a decrease in peak flow rate and a delay in peak time, is excellent, so it is considered reasonable to apply eco-friendly prefabricated rainwater detention system in grit chamber and permanent pon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