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침몰사고 과정분석

Search Result 11,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A Study on Flooding·Sinking Simulation for Cause Analysis of No. 501 Oryong Sinking Accident (제501 오룡호 침몰사고 원인분석을 위한 침수·침몰 시뮬레이션 연구)

  • Lee, Jae-Seok;Jung, Hyun-Sub;Oh, Jai-Ho;Lee, Sang-Gab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41 no.6
    • /
    • pp.451-466
    • /
    • 2017
  • Deep-sea fishing vessel No. 501 Oryong was fully flooded through its openings and sunk to the bottom of the sea due to the very rough sea weather on the way of evasion after a fishing operation in the Bearing Sea. As a result, many crew members died and/or were missing. In this study, a full-scale ship flooding sinking simulation was conducted, and the sinking process was analyzed for the precise and scientific investigation of the sinking accident using highly advanced Modeling & Simulation (M&S) system of Fluid-Structure Interaction (FSI) analysis technique. To objectively secure the weather and sea states during the sinking accident in the Bering Sea, time-based wind and wave simulation at the region of the sinking accident was carried out and analyzed, and the weather and sea states were realized by simulating the irregular strong wave and wind spectrums. Simulation scenarios were developed and full-scale ship and fluid (air & seawater) modeling was performed for the flooding sinking simulation, by investigating the hull form, structural arrangement & weight distribution, and exterior inflow openings and interior flooding paths through its drawings, and by estimating the main tank capacities and their loading status. It was confirmed that the flooding and sinking accident was slightly different from a general capsize and sinking accident according to the simple loss of stability.

해양사고 원인규명 통합 분석 시뮬레이션 시스템

  • Lee, Sang-Gap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6.05a
    • /
    • pp.50-54
    • /
    • 2016
  • 해양사고 원인규명 통합 분석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해양사고가 발생하는 과정(선회)을 포함하여 충돌, 좌초, 접촉, 전복, 침수 및 침몰 등의 해양사고를 유체-구조 연성 해석기법의 고도 정밀 M&S 시스템을 사용하여 과학적으로 해양사고의 원인을 분석하고 사고의 손상과정을 체계적으로 재현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해양사고는 육상과 공중에서 발생하는 자동차와 비행기 등의 충돌이나 추락사고와는 달리 공기의 밀도보다 천배의 물에서 발생하므로 물에서 부양되고, 운동하고, 선내에 물이 침수되고, 운항 중일 때 파도도 생성시키고, 두 물체가 근접할 경우에는 압력이 압착되고, 두 물체가 스쳐 지나거나 안벽이나 해저를 근접하여 운항할 경우에는 압력이 저하되는 등 물에서의 연성효과(interface effect)를 충분히 고려하여 재현할 수 있어야 정확하게 해양사고의 원인을 규명 및 분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황천에서 발생하는 해양사고일 경우에는 강한 조루, 강풍 및 해일성 파도 등을 불규칙 스펙트럼을 사용하여 정확히 구현하여야 황천에서 발생하는 해양사고의 원인을 충분히 분석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해양사고 통합 분석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이용하여 과학적이고 정확한 해양사고의 원인규명 및 분석으로 심판의 획기적인 신뢰 구축과 심판 지연에 따른 사회적 비용을 최소화하고, 해양사고의 원인과 과실 책임, 나아가서 사고 재발방지 대책수립 등에도 활용하는데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n Effectiveness Survey Study of Marine Safety Experience Education Program in Reducing Vessel-Related Fatality (해양안전체험교육의 선박사고 인명피해 저감 효과 연구)

  • Cho, Ah Ra;Lee, Jung Ly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201-201
    • /
    • 2015
  •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아무리 강조해서 지나치지 않는 안전을 중요시 하는 우리나라는 각종 재난 사고가 많이 발생한다. 이는 안전의식이 결여되었기에 발생하는 사고들이다. 특히 안전사고와 관련해 다사다난한 일들이 많이 있는데 책임감을 비롯한 본인과 타인의 안전의식 결여로 일어난 문제들이다. 우리나라는 재난에 좀 더 현명하고 안전하게 대처하기 위해서 사전의 적극적인 예방과 사고 후의 빠른 조치, 건전한 안전의식 함양이 필요하다. 2014년 4월 16일 세월호 침몰 사고로 수백 명의 사상자를 낸 대형 참사를 계기로 국민들의 해난(해양사고) 안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위기상황 속에서 당황하지 않고 올바르고 안전한 판단으로 신속히 대피 할 수 있도록 미리 체험하는 안전체험교육시설을 통해 체계적인 대비로 인명피해를 줄이기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해난(해양사고)로 인한 인명피해 위험도의 관리기법을 수립하고 재난 관리 체계 중 대비(Preparedness)에 중점을 두고 체험교육을 통해 어떤 효과가 있는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연령대별 체험자들의 반응을 토대로 가상적인 방법을 적용한 인명피해 위험도 저감효과를 분석한다. 국내 여수 해양경비안전교육원에서 올해부터 한국해양소년단연맹과 협업하여 '바다로 캠프' (해양안전 체험 프로그램)를 운영하여 위기 대응 훈련을 실시 할 계획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교육원 대상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Risk Assessment Items and Index for Sunken Ship (침몰선박 위해도 평가항목 및 평가지수 개선에 관한 연구)

  • Lee, Seung-Hyun;Choi, Hyuek-Jin;Suh, Jae-Jo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1 no.6
    • /
    • pp.704-711
    • /
    • 2015
  • In this study, we have conducted a survey of AHP technique through the ocean experts to derive new items and revise assessment items and indices for risk of sunken ships based on the survey results. As a result of the survey, two new items such as accident cause and tidal current are derived. And it shows that existing items such as toxic liquid substance, remaining oil and explosive gas which were evaluated as one group are desirable to be evaluated respectively. Accordingly, we analyze the indices of the new eleven assessment items adjusted from the existing seven assessment items. As a result, the indices are ordered by toxic liquid substance, possibility of leaking, explosive gas, carrying capacity of fuel oil, sensitivity of sea environment, marine traffic environment, cause of accident, tidal current, keel clearance, ship type, and ship size. Especially, as compared with the indices of existing assessment items, the indices of sensitivity of sea environment and possibility of leaking are higher and the index of keel clearance is lower.

A Proposition on Reasonable Termination Procedure in Remaining-oil Recovery Work from a Sunken Tanker in Korean Territory (국내 침몰유조선 잔존유 회수작업의 합리적 종료절차 제안)

  • Kang, Kwang-Gu;Shim, Yoo-Taek;Kang, Sin-Young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38 no.4
    • /
    • pp.379-384
    • /
    • 2014
  • In case of sunken tankers, remaining-oil recovery operation should be conducted due to possible oil spill accident. However, the deep sea operation make difficulties in checking the completion of remaining oil recovery process, therefore the work termination procedure is very important. In this paper, a reasonable work termination procedure through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two cases(Youil No.1 and Osung No.3, Kyung-Shin) which were performed in different method, using disparate equipment. By investigating previously applied methods and techniques, work speed, safety and expenses were compared. The proposed ending procedure of the remaining-oil recovery project is to recover the remaining oil from each cargo tanks and to clean up such tanks whilst an independent surveyor proceeds to a confirmation procedure whereby said surveyor checks out whether any remaining oil exists by putting a stick in each cleaned up tanks and opening up the hatch cover of the tanks or the top place of the tanks to confirm the cleanness of oil. Such procedure shall be done through discussion by the ordering party, contractor and the independent surveyor all together with a flexible application.

Hazardous and Noxious Substances(HNS) Risk Assessment and Accident Prevention Measures on Domestic Marine Transportation (국내 위험·유해물질(HNS) 해상운송사고 위험도 분석 및 사고 저감방안 연구)

  • Cho, Sim-Jung;Kim, Dong-Jin;Choi, Kang-Si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19 no.2
    • /
    • pp.145-154
    • /
    • 2013
  • HNS, including crude oil and products, shipments have increased. The risk analysis of HNS has assumed the importance, especially in maritime transportation area. There are various forms and kinds of HNS and the consequences of an accident are serious. In order to provide practical measures for preventing accidents, this study analyses the potential risks of HNS on maritime transportation accidents at domestic sea by using Event Tree Analysis. This study carries out risk assessment with F-N curve and risk matrix focusing on liquid cargo carriers (Oil and Products Tanker, Chemical Tanker, LPG/LNG Tanker, etc.). Explosion and sinking, suffocation indicate high consequence when on collision represent high probability. Improving human errors should be the main factor to mitigate risk on human lives.

Assessment Module Formulation for the Trapped-Oil Recovery Operations from Sunken Vessels (침몰선 잔존유 회수작업 평가모듈 개발에 관한 연구)

  • Kang, Kwang-gu;Lee, Eun-ba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7 no.1
    • /
    • pp.88-96
    • /
    • 2021
  • When oil tankers, large passenger ships and cargo ships sink under the sea owing to various maritime accidents, the residual cargo oil or fuel oil in the such vessels could pose direct risk to factor for the marine environment and it require safe and rapid removal. Although domestic and foreign salvage companies are adopting various recovery methods and technologies with customizations according to each site during recovery operations studies on reasonable assessment modules for the operation process are relatively insufficient. In this study, the data from trapped-oil recovery operations performed at different site condition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in order to designed an operation assessment module, define the operational process steps in terms of preparation, implementation and completion, and derive key factors for each detailed process. Subsequently, the module was designed in such a way as to construct performance indicators to assess these key factors. In order to exclude subjective opinions from the assessment as much as possible, the assessment each item was constructed with indicators based on data that could be evaluated quantitatively and its usefulness was verified by applying the module to the trapped-oil recovery operation cases. We expect this the method and the technology assessment module for the trapped-oil recovery operation on sunken vessels will help to verify the adequacy of the trapped-oil recovery such operation before or after. Furthermore, it is expected that the continuous accumulation of assessment data and feedback from past or future operation cases will contribute toward enhancing the overall safety, efficiency and field applicability of trapped-oil recovery operation.

Analyzing Disaster Response Terminologies by Text Mining and Social Network Analysis (텍스트 마이닝과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재난대응 용어분석)

  • Kang, Seong Kyung;Yu, Hwan;Lee, Young Jai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18 no.1
    • /
    • pp.141-155
    • /
    • 2016
  • This study identified terminologies related to the proximity and frequency of disaster by social network analysis (SNA) and text mining, and then expressed the outcome into a mind map. The termdocument matrix of text mining was utilized for the terminology proximity analysis, and the SNA closeness centrality was calculated to organically express the relationship of the terminologies through a mind map. By analyzing terminology proximity and selecting disaster response-related terminologies, this study identified the closest field among all the disaster response fields to disaster response and the core terms in each disaster response field. This disaster response terminology analysis could be utilized in future core term-based terminology standardization, disaster-related knowledge accumulation and research, and application of various response scenario compositions, among others.

8년여의 세월호 사고원인 규명활동 결과의 정리와 분석 (1/2)

  • 조상래
    • Bulletin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 /
    • v.61 no.1
    • /
    • pp.16-29
    • /
    • 2024
  • 2014년 4월 18일 오전 8시 48분경 전라남도 병풍도 인근 해역에서 세월호는 전복된 후 침몰하였다. 사고 당시 이 배에는 승객 443명과 선원 및 승무원 33명 모두 476명이 타고 있었고, 이 중 미수습자 5명을 포함하여304명이 생명을 잃었다. 그 동안 공식적인 사고원인 규명활동이 꾸준히 진행되어 이 사고의 원인을 규명하기 위한 조사가 네 차례 있었다. 하지만 아직까지 사고 원인이 무엇인지 명쾌하게 밝혀지지 않고 있다. 이 글에서는 먼저 그동안 있었던 네 차례의 공식적인 세월호 사고원인 규명활동을 정리하였다. 가장 먼저 사고원인 규명활동을 전개한 해양안전심판원 특별조사부는 2014년 사고 직후부터 그해 12월까지 활동하였다. 특별조사부 최종보고서에는 화물의 과적과 평형수 적재 부족으로 인한 선박복원성 기준 미달, 타각의 대각도 조타와 장시간 유지로 인한 부적절한 조타, 화물의 부실한 고박으로 인한 화물의 이동, 수밀문의 관리 부실로 인한 조기 침수와 비상대피장소(muster station)로의 승객대피 조치 미이행을 사고의 원인으로 들고 있다. 2015년 3월부터 2016년 6월까지 활동한 4·16세월호참사 특별조사위원회(특조위)는 '4·16 세월호 참사 특별 조사위원회 청산 백서'만을 간행하고 최종보고서를 제출하지 못한 채 활동을 종료하였다. 세월호 선체조사위원회(선조위)는 2017년 4월부터 2018년 8월까지 활동하였다. 선조위는 세월호 사고원인 규명을 위한 다른 기구에 비해 위원의 구성도 균형이 있었고, 직권사건 위주의 조사방법도 적절하였다. 또한 조타기와 조타 과실 여부, 급선회 항적 및 횡경사와 핀안정기의 물리적 손상에 관한 용역을 국내 여러 기관에 발주하였다. 뿐만 아니라 다양한 해양사고 원인규명 용역에 참여한 실적이 있는 영국의 기술용역회사인 Brookes Bell에 급선회와 빠른 침몰의 원인 조사를 요청하였다. 아울러 세계에서 가장 활발히 수조실험을 수행하고 있는 상업 연구소인 네덜란드의 MARIN에 수조시험과 시뮬레이션도 의뢰하였다. 하지만 아쉽게도 선조위는 서로 다른 사고 원인을 주장하는 두 권의 종합보고서를 간행하였다. 종합보고서로 '내인설' 종합보고서[6]는 타기 솔레노이드 밸브의 고착으로 시작된 급선회를 사고의 직접 원인으로 지목하고 있다. 하지만 '열린안' 종합보고서[7]에서는 수중체와의 충돌을 직접적인 사고 원인으로 밝히고 있다. 마지막으로 가습기살균제 사건과 4·16세월호 참사 특별조사위원회(사참위)가 2019년 3월부터 2022년 9월까지 활동하였다. 사참위는 위원으로 조선해양공학과 항해학 전문가가 포함되어 있지 않아 세월호의 사고원인 규명활동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에는 적절하지 못하였다. 사참위는 주로 조타장치 고장에 따른 세월호 전타 선회현상 검증, 세월호 변형 손상부의 확인 및 원인 조사와 세월호 횡경사 원인과 침수과정 분석을 직권 과제로 추진하였다. 또한 네덜란드 MARIN에 자유항주시험을 추가로 의뢰하였으며, 핀란드의 NAPA group에도 복원성 계산과 침수해석을 의뢰하였다. 사참위는 선조위의 두 가지 사고원인에 대해 '내인설'의 솔레노이드 밸브 고착은 사고원인일 가능성이 매우 낮고, '열린안'의 수중체와의 충돌 시나리오는 근거가 부족함을 확인하였다. 이상에서 정리한 바와 같이 규명활동이 진행됨에 따라 사고원인이 수렴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원인을 시원하게 밝히지 못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사고원인 규명활동을 수행한 네 개 기구의 구성과 활동 내용을 비교하고, 사고조사 위원회의 바람직한 구성과 위원회의 운영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Brookes Bell 보고서에 수록된 출항 당시의 흘수에 근거한 배수량과 선미 램프의 폐쇄 전후의 횡경사각으로부터 도출한 GoM도 소개하고 있다. 아울러 출항 당시의 GoM값으로 추정한 사고 당시의 GoM값도 소개하고 있고, 수중체와의 충돌 시나리오를 후보 사고 시나리오에서 제외시켜야 할 이유도 열거하고 있다. 끝으로 해양사고 원인규명 활동이 보다 과학적으로 그리고 보다 합리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기 위해 그리고 우리 사회의 안전문화 제고를 위한 몇 가지의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세월호 사고로 치른, 아직도 치르고 있는 희생을 딛고 해양안전문화가 한 걸음 더 나아가기 위해서는 세월호 사고의 원인을 반드시 규명해야 한다는 말씀으로 글을 마무리하고 있다.

  • PDF

Asymmetric Bias of the Ferry Sewol Accident News Frame Discriminatory Aspects and Interpretive of Media (세월호 사고 뉴스 프레임의 비대칭적 편향성 언론의 차별적 관점과 해석 방식)

  • Lee, Wan-Soo;Bae, Jae-Young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 /
    • v.71
    • /
    • pp.274-298
    • /
    • 2015
  • Doctoral Candidate, Department of Communic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This study analyzed the political and social significance of the disaster accident news with the frame and bias concept. In particular, this study confirmed theoretically how domestic media biased frame when it presents problem definition, causing interpretation, moral evaluation, and post-prescription on the ferry Sewol accident, In addition, the bias of the frame was analyzed comparing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nservative newspapers and liberal newspaper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n diagnosis of ferry Sewol accident, news slanted fragmentation frame>personalization frame>authority-disorder frame. The Chosun Ilbo focus on fragmentation bias, meanwhile Hankyoreh focus on the authority disorder relatively. Second, in accident evaluation, responsibility frame> moral frame> problem-solution frame. The Chosun Ilbo focus on responsibility frame and moral frame. But Hankyoreh focus on responsibility frame and problem-solution frame. Third, in the matter of responsibility, government frame>personal frame>organizational frame. Chosun Ilbo biased responsibility of the government and individuals, while the Hankyoreh is relatively more emphasis on government responsibility and the responsibility of the organization also showed. Fourth, in problem solving, thematic frame and episodic frame bias appeared as rough and level. Chosun Ilbo showed episodic frame, Hankyoreh showed thematic frame. News frame and bias as well as ideological differences of media on ferry Sewol accident was discussed in the context of the social dimens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