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친환경 주장 유형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7초

환경의식유형과 친환경소비에 관한 연구 - 한국대학생들을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Environmental Awareness Types and Eco-Friendly Consumption Among Korean University Students)

  • 장승옥;신상헌
    • 환경정책연구
    • /
    • 제7권2호
    • /
    • pp.33-48
    • /
    • 2008
  • 본 연구는 환경관련문헌들을 고찰하여 기존연구에서 다루어지는 다양한 주제의 환경의식들을 다섯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이들 환경의식 변수군들이 소비자들의 친환경적/비환경적 소비행태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가를 설명하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연구결과가 환경정책 결 정자들에게 국민들을 친환경적 소비자로 유도하는데 조금이라도 도움이 될 수 있음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조사대상은 설문지의 난이도와 이해정도를 고려하여 약 300여명의 한국 대학생들로 선정하였다. 조사방법은 훈련받은 설문조사자를 파견하여 개인면접방식을 실시하여 이들의 환경의식과 소비행위과정에서 나타나는 환경적 소비를 질문하고 계량적으로 평가하였다. 실시된 설문조사를 통해 310명분의 설문지가 수거되었으며, 통계도구에 따라 다르지만 300부 정도가 주요 분석과 모형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에서 응답자들이 가지는 환경적 소비행태와 더불어 일반적으로 가지는 환경관련의식은 (1) 실천, (2) 습관, (3) 인식, (4) 관심, 그리고 (5) 주장 등의 다섯가지 유형으로 나뉘었고, 이들 유형을 통계변수군으로 설정하여 인구통계변수와 함께 기초분석과 분석모형 도출에 투입하였다. 분석결과 응답자들의 환경의식에서 환경에 관한 주장성향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실천정도는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친/비환경적 소비자들은 다섯가지 환경의식유형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평균차이가 나타났으나, 연구모형에서는 인식이나 주장보다 실천, 습관, 관심 등의 환경의식이 유의한 변수로 도출되었다.

  • PDF

친환경 패션 광고의 친환경 주장 유형과 소비자 언어가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Claim Types and Consumer Vocabulary on Eco Fashion Advertisement)

  • 김민영;전은하;고은주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66-179
    • /
    • 2017
  • Fashion industry have been emphasizing on eco-friendly business to enhance their public image. Due to the lack of consumers' awareness and experience of eco fashion advertising, this have resulted in adverse outcomes. Therefore, it is required to develop eco fashion advertisement that meets the public interest of Koreans. This study aims to obtain practical implications which can be applied to further eco fashion advertising. The study examines the public opinion towards eco fashion using Twitter as big data analysis and the protracted implication was provided to consumers as consumer vocabulary to see the advertising effect of consumer vocabulary. In addition, this study focuses on the environmental claim types to identify the most effective advertisement in eco fashion. The results are as follow. Associative claim types had a more positive influence on advertising attitude than substantive claim types. Substantive claim types had a more positive influence on brand cognition than associative claim types. In addition, the moderating effects of consumer vocabulary on advertising attitude and brand cognition were supported in substantive claim types. Advertisement attitude shows positive effects to both brand cognition and brand attitude. It has been proved that brand cognition leads to positive influence towards brand attitude and brand attitude eventually increases consumers' urge to buy products. This study has implication when providing a guideline for eco fashion advertise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