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친환경 인증제도

Search Result 149,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친환경농산물과 GAP농산물 인증제도의 올바른 이해 - 'GAP' 인식부족으로 혼돈 '농법 선택'은 소비자 몫

  • Kim, Du-Ho
    • Life and Agrochemicals
    • /
    • s.246
    • /
    • pp.24-27
    • /
    • 2009
  • 1997년에 '친환경농업육성법'을 제정, 시행하고 2001년부터 친환경 농산물 인증제도를 도입, 운영해 오고 있으나 69%가 저농약농산물로 유기 무농약농산물의 보편화는 이루어 지지 않고 있다. 또 2006년에는 농산물품질관리법에 GAP 제도를 반영시켜 시행, 운영해오고 있으나 인증농산물은 아직 초보단계에 머물고 있는 실정이다.

  • PDF

친환경 건축물 관련 국제 규격 제정 현황 ISO TC59/SC17을 중심으로

  • 채창우
    • The Magazine of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 /
    • v.32 no.10
    • /
    • pp.42-47
    • /
    • 2003
  • 친환경 건축물의 건설을 유도$.$촉진하여 건축 분야에서 발생되는 환경부하를 저감시키고 건축물의 환경 친화적인 시공과 사용을 권장하기 위한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가 2002년 12월부터 시행중이다. 본 제도는 우선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시행한 후 주상복합, 업무용, 상업용, 리모델링 건축물가지 단계적으로 확대하는 계획을 가지고 있다. 현재 시행중인 인증제도에서 친환경 건축물 평가지침은 1년 동안의 시범적용기간을 거쳤으며, 적용상 문제점이 노출되어 개정 작업을 준비중에 있다.

  • PDF

제도 & 시행 (3) - 친환경 인증 "모든 신축건축물로 확대"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s.239
    • /
    • pp.28-30
    • /
    • 2010
  • 국토해양부(장관 정종환)와 환경부(장관 이만의)는 6개 용도의 신축건축물에만 가능했던 친환경건축물 인증을 모든 용도의 신축건축물에 가능토록 하는 "친환경건축물의 인증에 관한 규칙" 개정안을 지난 5월17일 개정 공포('10.7.1 시행)했다. 이번 개정안은 저탄소 녹색건축물의 공급을 활성화하기 위해 모든 용도의 신축건축물에 대한 친환경인증[공공건축물(1만$m^2$ 이상)은 의무화, 민간건축물은 자발적 참여로 운영] 평가기준 마련과 인증기관의 전문성 강화 등을 주요내용으로 하고 있으며, 취 등록세 감면 등 인센티브 제도가 원활히 시행될 수 있도록 인증시기 및 절차를 개선하고, 인증등급을 세분화(2 $\rightarrow$ 4등급)하는 내용도 포함됐다. 국토해양부와 환경부는 이번 조치로 민간분야의 경우 본인들이 인센티브를 받기를 원하는 경우에는 친환경건축물 인증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등 민간분야의 친환경설계를 적극 유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으며, "친환경건축물의 인증에 관한 규칙"의 차질 없는 시행을 위해 7월 1일까지 "친환경건축물 인증기준" (국토해양부, 환경부 공동 고시)을 개정할 계획이다. 한편, 내년부터는 기존 건축물도 친환경건축물 인증을 받을 수 있도록 그 대상범위를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 PDF

친환경인증(親環境認證) 바로알기

  • Korea Duck Association
    • Monthly Duck's Village
    • /
    • s.64
    • /
    • pp.68-74
    • /
    • 2008
  • 친환경인증제도란 환경에 농산물(예: 농약을 사용하지 않은 유기농산물), 친환경건축자재, 친환경건축물 등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는 인증제도입니다. 농약의 환경보전 기능을 증대시키고, 농업으로 인한 환경오염을 줄임으로 일반농산물을 친환경농산물로 허위 또는 둔갑표시하는 것으로부터 생산자.소비자를 보호하기 위해 유통과정에서의 신뢰구축으로 친환경농산물 생산과 공급체계를 확립하기 위한 것입니다. 그 동안 증산위주의 고투입농법에 의존해 온 결과 농업환경이 약화되어 지속가능한 농업생산을 위협하고 지나친 농약사용은 토양미생물, 천적감소 등 생태계 교란, 수질오염 및 농산물의 농약잔류문제를 야기하는 등 관련 국제규범이 제정됨으로써 환경보전 및 식품안전에 대한 국민의 관심제고에 적극적인 대응 필요에 만들어 졌습니다.

  • PDF

A Study on the Correlation of Certification system for the Green Building in Korea (국내 친환경건축물관련 인증제도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 Moon, Mi-Seon;Jung, Ji-Na;Ka, Cham-Hee;Lee, Jin-Sook;Tae, Choon-Seob
    • 한국태양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4a
    • /
    • pp.263-268
    • /
    • 2011
  • Presently, various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s are being enforced in Korea. However, people are in confusion and have an aptitude to waste time and money because these certification systems for buildings have very similar criteria. After investigating the foreign certification systems and domestic certification systems for the building, it is required that some of similar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s are integrated.

  • PDF

A Study on the Effect and Improvement Directions of KGBCC based on the Comparison of Green Residents Satisfaction (친환경 주거단지의 거주자 만족도 비교를 통한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 효과 및 개선방향 연구)

  • Kwon, Hyuk-Jin;Yeom, Dong-Woo;Lee, Kyu-In
    • KIEAE Journal
    • /
    • v.11 no.5
    • /
    • pp.79-90
    • /
    • 2011
  • The KGBCC(Korean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riteria), which is the assessment standard of green buildings, is not enough to reflect all the current demands of residents. Therefore, the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certification score and the residents' satisfaction of a promotional green apartment, a awarded green apartment, and a certified green building apartment was carried out to derive improvements of the KGBCC. The residents of selected three apartments were surveyed through the assessment items of the KGBCC. According to the research, the certified green building apartment shows the highest certification score and residents' satisfaction overall, compared with other two apartments. Finally, the improvements of KGBCC were determined through the reason of the residents' dissatisfaction. The KGBCC that is improved by this study can be used for the new assessment standard of green build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