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친수공원

Search Result 47, Processing Time 0.045 seconds

Research on creating information map for water-friendly facilities based on RS/GIS (RS/GIS 기반 친수시설 정보맵 작성 연구)

  • Kim, Seong Jun;Kim, Chang 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222-222
    • /
    • 2021
  • 도시 내 하천 친수공간은 레저 및 여가를 위한 공간과 더불어 자연경관 및 생태체험 등의 다목적으로 활용되어 지역사회에 있어 중요한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과거 4대강 사업으로 국가하천 내 휴식공간을 조성하였다. 그 후 친수지구 중에서 이용도가 저조한 곳을 해제하였으며, 현재 297개의 친수지구를 중점으로 관리하고 있다. 이러한 친수지구를 유지하는데 필요한 보수 비용들을 지자체에서 담당하고 있으나, 상당한 비용이 소요되므로 친수지구 지정 후 운영단계에서 지역 주민들의 특성 및 요구를 정확히 파악할 필요가 있다. 하천 친수공간에 대한 정보구축은 조사원 조사, 유지관리 기관 조사 등 인적 조사 방식을 통한 데이터 수집으로 많은 비용이 필요할 뿐만아니라 DB 갱신 부분에도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RS/GIS를 기반으로 친수시설에 대한 정보맵 작성 방안 연구와 친수시설 뿐만 아니라 유역조사 시 하천공간에서 수행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지역은 대저생태공원과 삼락생태공원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해당 지역 항공영상의 정합 및 전처리를 실시한 후 QGIS를 활용하여 LSMS(Large-Scale Mean Shift) 기법으로 시설물 분류를 실시하였다. 공원 내 친수시설 분류를 위해 공간 반경(Spatial radius)를 10 ~ 25까지 변화시키면서 최적 분류 결과를 도출하는 공간 반경을 찾았으며 친수시설 규모와 시설의 특성에 따라 공간 반경을 조절하여 친수시설 분류맵을 작성하였다. 친수지구 내 친수시설 분류맵과 친수지구 내 친수시설 현황 및 친수시설별 코드와, 위치정보(위도, 경도 및 표고), 면적 및 관리현황으로 분류하여 입력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 구축한 친수시설 자동분류 알고리즘을 통해 전국 단위 통합 하천관리체계 구축 및 친수시설에 대한 정보맵을 작성할 수 있는 기반 마련이 가능할 것이다.

  • PDF

설문조사를 통해본 친수 공간 조성계획에 관한 연구

  • Lee, Myeong-Gwon;Lee, Han-Seok;Yu, Gyun-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07.12a
    • /
    • pp.145-147
    • /
    • 2007
  • 본 논문의 대상지는 주변 환경이 불량하고 미활용 방치되고 있어, 이에 대한 환경 정비와 적절한 활용대책이 시급하다. 따라서 방문객들의 설문조사를 토대로 지 역의 특성을 활용한 친환경적인 수변공원을 조성하고 친수문화공원을 확보하여 지역민의 휴식공간창조와 지역 Amenity 향상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 PDF

Study on Development of Flood Information Service System in Waterfront (친수지구 홍수정보제공체계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 Oh, Chang Yeol;Lee, JunHo;Choi, Kyu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212-212
    • /
    • 2017
  • 친수공간은 하천주변의 가치를 적극 활용하고자 공원, 캠핑장, 관광 및 레져시설 등으로 조성된 친환경적 하천공간을 말한다. 그러나 이러한 친수공간은 주로 제외지의 고수부지에 조성되어 있음에 따라 중규모의 강수량에도 불구하고 쉽게 침수될 가능성이 상존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영산강과 섬진강수계를 대상으로 공원 캠핑장 자전거도로 등 하천 내 친수지구를 안전하게 관리하기 위해 침수도표 및 침수정보를 제공하고, 언제 어디서나 홍수정보를 쉽게 제공받을 수 있도록 홍수정보제공체계를 구축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 대상 수계에 대하여 자료수집 및 현장조사를 실시함으로써 친수지구내 시설물 현황을 파악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4대강사업이후 여건변화를 반영한 최신 지형정보 활용하여 침수예측모형을 구축하였다. 다만 친수지구 예측모형의 정확도 및 효율성 향상을 위해 친수지구 특성을 고려한 수치표고모델의 격자크기 및 해상도를 달리하였으며, 친수지구 예측모형의 정확도 검 보정을 위해 홍수흔적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기존 홍수예보시스템의 수행능력을 개선하고, 친수지구에 대한 침수도표 및 침수정보 등의 홍수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써 홍수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침수예측모형 및 홍수정보제공시스템을 구축하고 이를 검증 및 보완하여 공간 홍수예보를 실현함으로써 홍수예보 모형의 정확도 및 활용성을 향상시켰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더불어 본 연구의 결과는 하천업무 담당자의 업무추진 효율성이 증대가 되고, 공간홍수예보 실현으로 친수지구를 이용하는 국민의 안전이 담보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Estimating the Method of the Number of Visitors of Water-friendly Park Using GPS Location Information (GPS 위치정보를 활용한 친수공원 이용객 수 추정방법 연구)

  • Kim, Seong-Jun;Kim, Tae-Jeong;Kim, Chang-Sung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v.7 no.3
    • /
    • pp.171-180
    • /
    • 2020
  • With the increase in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scarcity of space for leisure life has become an important issue. Opportunities such as natural scenery and ecological experiences provided by waterfront spaces around streams are fundamental factors in the development of the community and creation of a hydrophilic park. In the past, on-site surveys have been conducted using human resources to quantify the number of river visitors, but the accuracy of the results was not sufficient owing to limitations in expenses, manpower, space, and time. In this study, to overcome this problem, we estimated the number of visitors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related to hydrophilic parks. The study areas were Samrak Ecological Park and Daejeo Ecological Park located downstream of the Nakdong River.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pattern of the visitors by using the large communication data and the visiting pattern based on GPS location information. The GPS location information is based on Google Popular Times and Kakao visitor data. When the GPS location data were used, the pattern for weekday and weekend visitors was clearer than when the large communication data were used. Therefore, it is expected to be similar to the result of GPS location information if the number of visitors is extracted under the condition of precision of pCELL size and residence time of 30 minutes or more when using future communication big data. In addition, if revisions such as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are made to extract more accurate data, by estimating the number of visitors based on GPS data, more accurate indicators of the number of visitors can be derived.

An Analysis of Flooding Range due to the Outflow of Paldang Dam at Hangang Parks (팔당댐 방류량에 따른 한강 시민공원 침수범위 분석)

  • Lee, Jae-Joon;Kwak, Chang-Jae;Lee, Sa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580-1584
    • /
    • 2008
  • 친수환경으로서의 수변공간의 활용은 위락공간 및 자연환경으로서 도시민의 삶의 질 향상에 매우 큰 의미를 지닌다. 서울시민의 대표적인 친수환경 공간인 한강시민공원은 조성 이후 이용자에게 위락 및 자연공간으로서 그 역할을 다하여 왔으나 최근에 급증하고 있는 이상기상현상과 국지적 집중호우의 증가에 따라 도시지역 및 상류지역의 홍수 발생시에는 한강시민공원의 폐쇄와 함께 이용자의 접근을 사전통제하거나 신속하게 대피시켜 안전을 도모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강시민공원이 침수되는 상황을 모의분석하기 위해 필요한 각종 기본 자료와 매개변수에 대한 고찰을 실시하였고, 팔당댐 방류량에 따른 1차원 및 2차원 수치모형을 통한 한강시민공원의 홍수위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결과는 홍수 발생시 한강시민공원의 합리적인 이용 및 관리와 이용자의 안전 및 비상대처계획 등의 수립에 있어서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Social Factors and the Use of Hydrophilic Facilities by Age Group - Case Study at the Samrak and Daejeo Ecological Park (사회적 요인 및 연령대별 친수공원 이용에 관한 상관관계 분석 - 삼락과 대저생태공원을 대상으로)

  • Choi, In-Ho;Lee, Min-Young;Yoon, Hee-Ra;Kim, Seong Jun;Kim, Chang Sung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v.8 no.4
    • /
    • pp.273-280
    • /
    • 2021
  • In the past, the government made a total of 357 hydrophilic districts into parks to create rest areas in the national river with the four major river projec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urvey, 60 water-friendly districts with low utilization were lifted in January 2017, and 297 water-friendly districts are currently being managed. Local governments are in charge of the maintenance costs necessary to maintain these hydrophilic districts, which require considerable costs, so it is necessary to accurately grasp the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local residents at the operation stage after designation.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residents in the hydrophilic district were analyzed by correlating social factors with river users, crawling social network data to analyze visit patterns, and derived related Keywords,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hydrophilic district. The study target areas are Samrak and Daejeo Ecological Park, located downstream of the Nakdonggang River. Social factors analyzed real estate transaction price data, economic activity income, households, stress perception rate, and pet breeding status through public data provided by Statistics Korea, and analyzed user visit patterns and image keywords on weekends.

Waterfront Development Policy of International Logistics Hub-Port;The Case of Gwangyang Port (국제물류 거점항만의 친수공간화 정책방향;광양항을 중심으로)

  • Jeong, Bong-H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7a
    • /
    • pp.313-342
    • /
    • 2007
  • 본 논문은 국제물류 거점항만인 광양항을 사례로 하여 항만친수공간의 개발정책을 다루고 있다. 연구의 목적은 항만친수공간의 기본이론과 개발실태의 실질적 분석을 토대로 광양항에 항만친수공간을 개발하기 위한 종합적인 정책방향을 계획 ${\cdot}$ 제도적인 시각에서 제시하는 것이다. 본 논문의 주요내용은 항만친수공간의 개념과 유형/외국 항만친수공간의 개발사례/항만친수공간 개발의 문제점/광양항의 항만친수공간화 정책방향 및 결론 등으로 구성되고 있다. 광양항 친수공간의 실제 대상지는 컨테이너항 지구와 묘도지구이다. 컨테이너 항만의 부지에는 이용자 및 시민에게 쾌적한 공간을 제공하는 녹지공간의 조성과 함께 친수성 항만공간의 확보가 중요하다. 묘도지구는 해안매립과정에서 소실된 자연생태계를 복원하여 자연친화적인 지속가능한 자연의 이용방안을 마련하며, 이의 일환으로 해양생태공원을 조성한다. 이와 더불어 광양항 친수공간의 개발전략들에는 항만시설의 개방과 홍보활동의 강화, 선항만 개발과 항만재개발시 친수공간확보 의무화, 항만친수공간 확충목적의 관련제도 정비, 항만친수공간 기본계획의 수립, 항만친수공간 지구의 지정, 항만친수공간 관련제도의 정비, 항만친수 행적기관조직의 정비 등으로 제시할 수 있다.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comprehensive waterfront activity index through complex monitoring in waterfront (하천 친수공간 복합모니터링을 통한 친수활동 종합지수 개발 연구)

  • Jung, Woo Suk;Gwon, Si Yun;Lee, Su Jeong;Kwon, Jae 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90-490
    • /
    • 2022
  • 국내 대하천 및 중·소규모 하천의 홍수터 공간을 활용하여 체육시설 및 공원 등과 같은 친수 시설물을 조성하여 친수공간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시민들의 친수활동 빈도는 증가추세에 있다. 특히 하천 내에서 수상 레크레이션 활동 등과 같은 다양한 친수활동이 증가하고 있으며, 하천친수에 관한 정보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나 체계적인 공급은 미흡한 수준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친수공간 조성 및 유지관리에 대한 측면과 친수공간에서의 쾌적한 친수활동을 위한 정보제공 목적으로 하천 친수공간에서의 복합모니터링을 이용한 친수활동 종합지수를 산정 방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센서 기반의 시계열 데이터 구축을 위해 하천 수질, 수리인자의 복합모니터링을 진행하였다. 수리인자(수위, 유속, 수면폭 등)와 수질인자(탁도, Chl-a, pH 등), 기상학적 인자(자외선 지수, 미세먼지 등) 등급에 따른 허용기준을 설정하여 각 등급 별로 수리인자의 값을 0~1 사이 값인 소속도로 변환하여 소속도의 합성 및 친수활동 등급을 결정하였다. 최종적으로 수리, 수질, 기상 인자별 소속도 함수 산정을 통한 퍼지합성 이론 기반의 친수활동 종합지수를 산정하였다. 그리고 친수활동 종합지수를 예보하기 위한 모델 적용을 위한 방향성을 정립하였다.

  • PDF

Efficient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Waterside Parks by Promoting Ecology Awareness of Visitors (이용객 생태 인식 증진을 통한 수변공원의 효율적인 보전 및 관리)

  • Choi, Jong Yun;Kim, Seong-Ki;Kim, Jeong-Cheol;Yun, Hak Jong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33 no.2
    • /
    • pp.237-251
    • /
    • 2019
  • This study evaluated the ecological value of waterside parks by investigating the animal distribution and ecological feature in 92 waterside parks and analyzed the change of ecological awareness by users and non-users of waterside parks through ecological education and promotion based on the investigation results. The result confirmed inhabitation of various animals including 9 endangered species (Pernis ptilorhynchus orientalis, Accipiter soloensis, Falco subbuteo, Charadrius placidus, Felis bengalensis euptilura, Lutra lutra, Kaloula borealis, Polyphylla laticollis manchurica, and Leptalina unicolor) in waterside parks. Although waterside parks were constructed to be hydrophilic areas for human use, some of them with high natural characteristics are valued as biological habitat. We investigated user status in 5 areas (Daejeon, Sejong, Cheongju, Kongju, and Buyeo) located at Guem river basin to evaluate people's perception of waterside parks and carried out the ecological education and promotion based on the investigation result. The survey of 200 people showed that there were more users of waterside parks than non-users and that people in their 40's showed the highest use rate. The use frequency of waterside parks located in Daejeon and Cheongju was lower than in other areas (Sejong, Kongju, and Buyeo). We considered it was because Daejeon and Cheongju were urban areas and had relatively more leisure areas such as sports facilities and cafe than other areas, and thus the residents had a lower reliance on waterside parks. Moreover, users used waterside parks more frequently when they were nearer to users' residence. It is because most users perceived waterside parks as the leisure sports facility and thus preferred them to be within walking distance. The users' perception of waterside parks as the ecological space "to be preserved" increased after the ecological education and promotion. The change of the perception was higher among users (80%) than non-users (38%). Therefore, ecological education and promotion were potentially more effective to people who user waterside parks and thus had a higher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and specification. In conclusion, 1) although waterside parks were constructed for human use, some parts had high ecological value for the distribution of endangered species and outstanding natural beauty, and 2)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perception of waterside parks from the hydrophilic attribute to the conservation attribute. Such change of perception would contribute to establishing waterside parks that feature both hydrophilic and conservation attributes in the management or upgrading plan of waterside parks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