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치주-근관 복합병소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3초

하악 전치부에서 발생한 치주-근관 복합 병소의 근관치료 후 조직 유도 재생술을 이용한 치료: 증례보고 (Guided tissue regeneration therapy after root canal therapy for long standing periodontal-endodontic combined lesion in the mandibular anterior area: case report)

  • 권은영;정경화;김소연;전혜미;최윤경;주지영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5권1호
    • /
    • pp.46-54
    • /
    • 2019
  • 치수 질환 그리고 치주 질환이 복합적으로 발생하여 치근단 조직과 변연부 치주 조직이 개통되는 것을 치주-근관 복합병소라 일컫는다. 치주-근관 복합 병소의 치료를 위해서는 근관치료 및 치주 재생 처치 둘 다를 필요로 하며, 이는 치근단 및 변연부 조직 모두의 치유를 위함이다. 본 연구에서는 치주-근관 복합 병소를 나타내는 하악 전치부 치아에서 근관치료 이후 조직유도 재생술을 시행하였으며, 각각의 증례에서 심한 치조골 흡수를 보이는 치아들은 3년이 넘는 경과 관찰기간 동안 발치되지 않고 유지될 수 있었다. 따라서 하악 전치부에서 발생한 치주-근관 복합 병소의 근관치료 후 조직유도 재생술을 이용한 치료는 임상적으로 이점이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상악 측절치에서 발생한 구개-치은구: 증례 보고 (The palato-gingival groove-anatomical anomaly occurred in maxillary lateral incisors: case reports)

  • 김현일;노영신;장훈상;류현욱;민경산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2권6호
    • /
    • pp.483-490
    • /
    • 2007
  • 본 연구는 상악 측절치에서 발생한 구개-치은구로 인한 치수괴사와 치주병소에 관한 임상종례이다. 첫 번째 증례는 심한 골소실로 인하여 발거되었고, 두 번째 증례는 근관치료 후 치주외과적 수술을 통하여 구개-치은구를 제거하고, 합성골 이식 시행 후 흡수성막을 이용하여 치료하였다. 구개-치은구의 진단과 치료는 모두 어려우며, 많은 경우에서 발치가 선택되지만, 근관-치주 복합 치료를 통하여 구개-치은구의 성공적인 치료가 이루어질 수 있다.

임상가를 위한 특집 3 - CBCT를 이용한 치주-근관 복합병소 진단 (Dental CBCT aided diagnosis of periapical and periodontal lesions)

  • 이재서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0권4호
    • /
    • pp.196-202
    • /
    • 2012
  • Radiographic diagnosis of periapical lesions is based on many factors, including anatomical limitations such as thickness of the cortical bone; positioning of the apical abscess to the cortical bone; and is complicated by proximity to other anatomical structures and neighboring teeth. With conventional radiographs, these structures are often superimposed. Dental CBCT with its associated geometric accuracy offers accurate visualizations of the complex relationships and boundaries between teeth, related anatomical features, and their associated pathology. Its images also provide us internal tooth morphology, periodontal ligament space, the presence or absence of periapicl lesions in association wi th critical anatomical structures and maxillary sinus involement. Using 3 D imaging makes it easier for clinicians to detect, diagnosis, and develop highly effective treatment plans. Now, 4 cases of periapical and periodontal pathosis with CBCT images are to be presented including periapical abscess, furcation involvement, periapical pathosis involving maxillary sinus, and osteomyelitis. CBCT analyze specific area of interest and provides the highly detailed anatomical information. It also facilitates earlier and more accurate diagnosis, and treatment planning decisions and more predictable outcome.

소아에서의 Garre 골수염 (GARRE'S OSTEOMYELITIS IN CHILDREN)

  • 우세은;김영진;김현정;남순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413-420
    • /
    • 2011
  • Garre 골수염은 혈류 순환 및 영양 공급의 장애로 골이 괴사되거나, 세균 감염이 증가되면 발생한다. Garre 골수염은 치수나 치주 감염에서 시작된 치성계 감염과 이의 진행에 따른 골막 하 농양이 주요 원인이 되며, 외상으로 인한 악골의 복합 골절시 2차 감염, 국소적인 치은의 외상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 상악에서보다 하악에서 많이 발생되며 호발 부위는 하악 제1대구치이다. 임상증상으로 이환 부위의 하악골은 팽창되어 있으나 구강점막은 정상적 색조를 가지며 안면 불균형을 나타낸다. 방사선사진 상 심한 우식증을 가진 치아의 치근단 병소를 관찰할 수 있으며, 자극을 받는 골조직 부위의 치밀골 증가로 골수강은 좁아지거나 폐쇄되며 외양이 불규칙하게 나타난다. 치료 방법으로는 항생제의 투여, 원인치의 발치 또는 근관치료, 절개 및 배농술 등이 알려져 있다. 본 증례는 15세 이하의 소아환자에서 악골 골수염이 발생한 경우, 장기적인 항생제 투여나 항생제 투여 및 근관 치료를 병용하여 성공적으로 치료된 증례이다. 소아 환자의 경우 성인에 비하여 증상이 경미하므로 주의 깊은 병력 청취와 임상 검사를 통한 진단이 요구되며, 증상이 사라진 경우에도 재발을 방지하기 위하여 장기간의 추적 검사가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