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치주인대 섬유아세포

Search Result 120,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The Effects of Porphyromonas endodontalis Lipopolysaccharide on Production of Several CC Chemokines by Periodontal Ligament Fibroblast (Porphyromonas endodontalis의 lipopolysaccharide가 치주인대 섬유아세포의 CC Chemokines 성성에 미치는 영향)

  • KO Hyun-Jung;Lee Sang-Yup;Lee Woo-Chul;Baek Seung-Ho;Bae Kwang-Sik;Lim Sung-Sam
    • The Journal of the Korean dental association
    • /
    • v.43 no.12 s.439
    • /
    • pp.799-808
    • /
    • 2005
  • 이 연구의 목적은 치수 및 치근단 조직의 감염의 주요 원인들이 Porphyromonas endodontalis의 LPS가 치주인대 섬유아세포의 MCP-1 MIP-1α 그리고 RANTES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함으로써 치근단 염중의 발병에서 섬유아세포의 역할을 알아보는 것이다. 혐기성 조건에서 배양한 P. endodontalis와 E. coil의 LPS를 추출, 정제한 후, 치주인대 섬유아세포 0.01, 0.1, 1, 10ug/ml 농도의 P. endodontalis와 E. coil의 LPS로 12, 24, 48시간 동안 자극하였다. MCP-1, MIP-1α 그리고 RANTES의 단백질 농도는 ELIS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연구의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P. endodontalis의 LPS로 자극시킨 치주인대 섬유아세포에서 분비된 MCP-1의 수준은 시간과 농도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2.E.coil의 LPS로 자극시킨 치주인대 섬유아세포에서 분비된 MCP-1의 양도 시간에 비례하여 증가함을 보였다. 이는 P. endodontalis LPS보다 통계적으로 유의성있게 많은 양을 나타냈다.(p<0.05) 3. 치주인대 섬유아세포에서 MIP-1α 과 RANTES는 거의 분비되지 않았다. 이 연구에서 세균의 LPS로 자극시 치주인대 섬유아세포 MCP-1의 강한 발현은 만성 치근단 염증의 초기에 단핵세포와 대식세포의 recruitment를 증가시키는 것고 관련되어지는 것으로 보인다.

  • PDF

THE RESPONSES OF GINGIVAL AND PERIODONTAL LIGAMENT FIBROBLASTS OT VARIOUS DENTIN CONDITIONED SPECIMENS IN VITRO (다양한 상아질 처리방법에 따른 치은 및 치주인대 섬유아세포의 반응에 관한 시험관내 연구)

  • Lim, Jae-Hyung;Kim, Jung-Keun;Chung, Chin-Hyung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v.25 no.1
    • /
    • pp.99-110
    • /
    • 1995
  • 치주치료의 궁극적 목표인 치주조직 재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치주조직 재생에 주된 역할을 하는 치주인대세포와 치근면 탈회에 의한 신부착 효과에 관한 많은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광범위한 연구에도 불구하고 어떤 치근면 처리가 신부착 형성에 가장 효과적인지는 아직 논란의 대상으로 남아있다. 이에 저자는 결합조직 부착에 의한 재생에 필수적인 치은 및 치주인대 섬유아세포의 부착 및 증식을 tetracycline-HCL(TC)과 citric acid(CA)로 각각 처리된 상아질 표면에서 비교관찰하여 치주조직 재생에의 기여도를 추정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교정치료를 위하여 본원에 내원한 환자의 제일 소구치의 건강한 치은조직을 채취하고, 발치 후 효소처리에 의한 치주인대세포를 얻은 후 각각 세포배양하였다. 상아질 절편은 $3{\times}3{\times}0.2mm^3$로 준비하고 TC과 CA처리군으로 나눈 후 각각 치은 및 치주인대 섬유아세포를 부착시키고 초기부착은 8시간까지, 증식은 7일까지 고나찰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각 군의 세포 부착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되었다. 2. 모든 군에서 7일째 빠른 증식상을 보였다. 3. 초기 부착시 치은과 치주인대 섬유아세포의 반응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반면에 치은과 치주인대 섬유아세포는 증식속도에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치은 섬유아세포가 좀 더 빠른 성장을 보였다. 5. 치근면 탈회에 따라 초기부착과 증식상에서 모두 유의성 있는 증가를 보였다. 6. CA는 초기부착에서, TC는 증식장에서 더욱 효과적으로 작용했다.

  • PDF

A study on the mechanism of NO-induced apoptosis in human gingival fibroblast (사람 치은 섬유아세포에서 산화질소 유도 세포고사에 대한 연구)

  • Kim, Kang-Moon;Chung, Hyun-Ju;Kim, Won-Jae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v.34 no.4
    • /
    • pp.807-818
    • /
    • 2004
  • 산화질소는 생리적 농도에서 세포내 신호전달자로 작용하지만 높은 농도에서는 세포독성을 일으킨다. 최근 치은 섬유아세포와 치주인대 섬유아세포는 산화질소 합성효소를 가지고 있고 세균의 lipopolysaccharide나 cytokine에 의해 대량의 높은 농도의 산화질소가 합성된다는 보고가 있음에도 지금까지 치은 조직에서 산화질소의 세포독성에 대한 연구는 아직 이루어 지지않고 있다. 본 연구는 사람의 치은 섬유아세포에서, 산화질소유도세포 고사기전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세포 생장력은 MTT 방법으로 측정하였고, 세포의 형태적 변화는 Diff-Quick 염색법으로 조사하였다. Bcl-2 famly와 Fas 발현 정도는 RT-PCR 방법에 의해 확인하였으며, caspase-3, -8 와 -9의 활성은 spectrophotometer로 reactive oxygen species (ROS)는 형광분광계에 의해 측정되었다. 미토콘드리아에서 세포질로 분비된 cytochrome c는 western blot으로 조사하였다. 산화질소 유리제인 sodium nitroprusside (SNP) 처리는 사람 섬유아세포의 생존률을 시간과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켰고, 세포용적축소, 염색사 용축, DNA 절편화를 일으켰다. 또한, SNP 처리로 미토콘드리아에서 세포질로 유리되는 cytochrome c 양이 증가되었고, caspase-9 과 caspase-3 의 활성이 증가되었다. 한편, SNP 처리에 의해 death receptor 구성요소인 Fas 발현이 증가되었고, caspase-8의 활성이 증가되었다. Bcl-2 family 에 대한 RT-PCR 분석결과, 세포고사를 억제하는 Bcl-2 발현은 감소되었으나 세포고사를 자극하는 Bax와 Bid의 발현은 증가되었다. Soluble guanylate cyclase 억제제인 ODQ는 SNP에 의한 세포 생존율 감소를 차단하지 못했다. 따라서, 본 실험의 결과들은 사람 섬유아세포에서 산화질소유도 세포고사에 Bcl-2 family나 ROS가 매개하는 미토콘드리아 의존 및 death receptor 의존 세포고사기전이 관여함을 시사하였다.

The Effect of single Low-Power $CO_2$ Laser irradiation on human PDL fibroblast Proliferation & Differentiation (단일조사 저출력 $CO_2$ Laser가 치주인대 섬유아세포의 세포 증식능과 세포 분화에 미치는 영향)

  • Jang, In-Kwon;Kim, Tae-Gyun;Jung, Ui-Won;Kim, Chang-Sung;Choi, Seong-Ho;Cho, Kyoo-Sung;Chai, Jung-Kiu;Kim, Chong-Kwan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v.35 no.4
    • /
    • pp.1003-1017
    • /
    • 2005
  • 이 논문은 단일조사 저출력 $CO_2$ Laser조사가 치주인대 섬유아세포의 증식과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가장 효과적인 에너지와 파워밀도(power density)를 알아보기 위해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0.5W 출력, 10.6 ${\mu}m$ 파장, 50 Hz 연속형 $CO_2$ Laser를 사용하여, 실험군은 laser tip과 배양된 세포 사이의 거리를 2cm, 3cm으로 나누고, 조사시간을 1초, 3초로 나누어 4개의 군으로 설정하였고 대조군은 laser를 조사하지 않은 군으로 하였다. 치주인대 섬유아세포의 증삭정도와 골모세포로의 분화정도를 보기 위하여 각각 MTT 실험과 ALP activity 실험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Laser를 조사하고 난 후 5일째에, 모든 군에서 유의하게 세포가 증식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조사방법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대조군과 살험군에서 0일째에 비하여 3일째, 5일째, 7일째, 10일째에 통계적으로 유의 하게 ALP activity가 증가하였고, 이중 2cm,1sec 군을 제외하면 3일째에서 가장 높은 ALP activity 값을 보였다. 특징적으로 2cm,1sec 군은 3일째부터 10일까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ALP activity가 증가함을 보였다. 7일과 10일째에는 2cm,1sec, 3cm,3sec군에서 다른 군에 비하여 큰 activity값을 보였다. 이번실험에서 저출력 $CO_2$ Laser 조사는 세포의 증식보다는 분화에 더 큰 영향을 끼쳤고, 2cm, 1sec, 3cm, 3sec 군이 치주인대 섬유아세포의 분화에 가장 효과적인 laser 조사방법으로 분석되었다.

Effect of aging on expression of nitric oxide and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 human gingival fibroblasts (노화가 사람 치은섬유아세포의 nitric oxide와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발현에 끼치는 영향)

  • Ji, Suk;Kook, Jung-Ki;Park, Joo-Cheol;Kim, Heung-Joong;Jang, Hyun-Seon;Kim, Chong-Kwan;Kim, Byung-Ock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v.36 no.2
    • /
    • pp.361-373
    • /
    • 2006
  • 치주질환의 진행이 나이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은 알려져 있으나 노화에 따른 치주조직 세포의 기능적인 변화에 관한 사실은 많이 알려져 있지 않다. 노화에 따른 세포의 노화가 치주질환의 진행에 어떠한 여향을 끼치는가를 아는 것은 중요하다. 염증 상태에서 nitric oxide (NO)는 조직 파괴에 관여하는 인자로 작용하여 치주질환의 진행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사람의 치은에서 배양된 치은섬유아세포를 이용하여 세포의 노화에 따른 NO와 이의 합성효소인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의 발현을 알아봄으로써 세포의 노화가 치주질환의 진행에 끼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10세의 환자와 55세의 환자에서 각각 채취한 치은에서 배양된 세포와 10세의 환자에서 채취한 세포를 계속적인 계대배양을 통해 얻은 실험실 상 노화된 세포를 포함하여 총 3 종류의 치은섬유세포를 실험에 이용하였다. Hot phenol-water extraction을 통해 추출된 Porphyromonas, gingivalis ATCC 33277 lipopolysaccharide (LPS)와 재조합 $IFN-{\gamma}$ 를 세포에 적용시켜 Griess assay를 통해 조건화된 배지에서 NO를 측정하였다. 20세와 55세의 환자에서 채취된 치은 조직과 총 3 종류의 배양된 세포에 NOS-II 항체를 적용시켜 iNOS 단백질 발현을 관찰하였다. Total RNA를 추출하여 RT-PCR를 통해 iNOS mRNA의 발현을 분석하였다. 치은섬유아세포에서 NO는 자발적으로 발생되었고, 이러한 발현은 젊은 세포보다 노화된 세포에서 강하였다. P, gingivalis LPS와 제조합 $IFN-{\gamma}$는 치은섬유아세포에서 NO의 발현을 증가시켰고, 이러한 발현은 젊은 세포보다 노화된 세포에서 강하였다. 면역조직화학 염색에서 iNOS 단백질은 젊은 사람과 노화된 사람의 치은 조직 모두에서 치은섬유아세포와 상피의 기저층 세포와 염증세포에서 발현되었으나 노화에 따른 발현의 차이를 구별할 수는 없었다. 세포의 면역염색에서 iNOS 단백질은 노화된 세포에서 강하게 발현되었고 이러한 발현은 LPS와 $IFN-{\gamma}$ 에 의해 강화되었다. LPS와 $INF-{\gamma}$ 의 조건이 주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iNOS mRNA는 젊은 세포에서보다 노화된 세포에서 강하게 발현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세포의 노화가 NO와 iNOS 발현을 증가시킴으로서 치주질환의 진행에 영향을 끼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