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치주인대 배양세포

Search Result 119,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In Vitro Assessment on Viability of Human Periodontal Ligament Cells after Storage in Chlorophyllin-added Medium (클로로필린이 첨가된 탈구치아 보존액에서의 치주인대 세포 생활력에 대한 연구)

  • Chung, Won-Gyun;Kim, Jin;Lee, Eun-Ju;Lee, Seung-Jong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v.27 no.6
    • /
    • pp.600-611
    • /
    • 2002
  • 본 연구의 목적은 클로로필린이 치주인대 세포 생활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데 있다. 치주인대 세포는 건강한 사람에서 발치한 소구치의 치주인대 조직으로부터 채취하여 배양하였다. 비교 기준을 설정하기 위하여, HBSS 내에서 $37^{\ circ}C$로 보관한 치주인대 세포수의 50%가 생존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MTT 분석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6시간이었다. HBSS에 클로로필린 10, 100, 500 nM이 각각 첨가된 3군의 실험 보존액과 F-medium, ViaSpan, Likorol 등 모두 6군의 실험 보존액을 96-well plate에 접종한 후, 치주인대 세포를 동일한 수로 분주하였다. 이를 6시간동안 보관한 후, 각 실험군 보존액에서의 세포 생활력을 MTT 분석법으로 측정하였다 또한, HBSS와 F-medium 및 클로로필린 500 nM이 첨가된 HBSS군의 세포들에 대해 유식세포 계측을 시행하여 각각의 세포주기를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클로로필린 500 nM이 첨가된 HBSS에서 보관한 세포들이 가장 높은 생활력을 나타내었으며, 클로로필린이 첨가되지 않은 HBSS에 비해서 유의하게 양호한 세포 생활력 유지 능력을 보였다. 클로로필린으로 처치한 세포들은 클로로필린의 농도가 커짐에 따라 세포 생활력이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유식세포 계측 결과, HBSS와 F-medium 및 클로로필린 500 nM이 첨가된 HBSS에서 보관한 세포의 77~80%가 G0-G1 단계의 세포 주기로 측정되어, 대부분의 세포들이 안정된 세포 대사 상태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클로로필린 처치는 치주인대 세포의 생활력 유지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The effects of continuous and intermittent compressive pressure on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of Periodontal Ligament cells (지속적 및 간헐적 가압력이 치주인대 배양세포의 Alkaline Phosphatase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 Kwon, Suk-Yee;Bae, Seong-Min;Kyung, Hee-Moon;Sung, Jae-Hyun
    •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 /
    • v.27 no.4 s.63
    • /
    • pp.599-605
    • /
    • 1997
  • The pro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cellular activity on PDL cells dependent on intermittent and continuous compressive force by determining the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An intermittent and continuous compressive forces were applied on PDL cells at the confluent stage. The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was measured on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every 24, 48, 72hours. The experimental group were consist of continuous and intermittent compressive group which were compressed by $300g/cm^2$ of diaphram pump. The intermittent compressive group was connected by timer which was worked on 10 minutes and off 10minut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of intermittent compressive group was lower than control group at 24 hours(P<0.05). 2. The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between each group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at 48hours. 3. The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of continuous compresssive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control group at 72 hours(P<0.01).

  • PDF

The Effects of PDGF and LPS on the Viability of Human Periodontal Ligament Cells (PDGF와 LPS가 치주 인대 세포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Heo, Jeong;Lim, Jeong-Hyun;Kim, Sang-Cheol
    •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 /
    • v.28 no.1 s.66
    • /
    • pp.143-153
    • /
    • 1998
  •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PDGF) and lipopolysaccharide(LPS) may be the important regualtors of bone metabolism Exogenous PDGF is recognized to have a stimulating effect on bone resorption in organ culture but to stimulate the formation of new bone ultimately. LPS is known to be a stimulating agent on the osteoclastic activ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and the interaction of PDGF and LPS on periodontal ligament(PDL) cells which have important roles in bone remodeling. Cultured human periodontal ligament cells were ten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 or PDGF and/or LPS. The cellular viability was measured by Microtitration(MTT) assay according to the lapse time of culture.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viability of PDL cells was not different from the con01 in 0.1ng/ml of PDGF, bu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to be over the level of control in 1ng/ml of PDGF at the second day of culture, and in 10ng/m1 of PDGF at the second and the third day of culture. 2. The cellular viability was decreased in $0.5{\mu}g/ml$ or $5{\mu}g/ml$ LPS at the third day of culture. 3. Incubation with both 1ng/ml or 10ng/ml of PDGF and $0.5{\mu}g/ml$ of $5{\mu}g/ml$ of LPS resulted in the increased cellular viability at the third day, which was greater than LPS only treated group. It was greater than even the control group in 10ng/m1 of PDGF. From the above findings, we could summarize that the admixture of PDGF and LPS could not less increase the viability of the human periodontal ligament cells than PDGF only.

  • PDF

The Inhibitory Effect of Metronidazole and Doxycycline-HCl on proMMP-3 Production in Gingival Fibroblast (치은섬유아세포에서 proMMP-3 생성에 대한 metronidazole과 doxycycline-HCl의 억제효과)

  • Kim, Hak-Joo;Lim, Ki-Jung;Kim, Sang-Mok;Kim, Byung-Ock;Han, Kyung-Yoon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v.30 no.2
    • /
    • pp.335-347
    • /
    • 2000
  • 치주질환의 진행에 따른 치주조직파괴에 있어 치주조직내 다양한 세포외기질성분을 분해하는 matrix metalloproteinase-3(MMP-3)는 염증반응에 관여하는 세포들로부터 분비된 interleukin-$1{\beta}$(IL-$1{\beta}$)에 의해 유도될 수 있다. 이전 연구에서 치주인대세포에서의 MMP-3 생성이 tetracycline 및 tetracycline 유도체에 의하여 억제될 수 있음이 보고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metronidazole 및 doxycycline-HCl을 적용한 후 치은섬유아세포에 IL $1{\beta}$를 적용하여 MMP-3의 생성을 유도한 후 이들 약물들이 치은섬유아세포의 MMP-3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한 것이다. 건강한 성인으로부터 치주질환이 이환되지않은 상악 제2대구치 후방의 건강한 치은결합 조직을 절취하여 치은섬유아세포를 배양한 후 다양한 농도의 metronidazole (10-$200{\mu}g/m{\ell}$) 및 doxycyline-HCl(10-$200{\mu}g/m{\ell}$)을 각각 적용하여 1시간 배양하고 proMMP-3의 활성화를 유도하기 위하여 25ng/ml의 IL-$1{\beta}$을 투여한 후 24시간 배양하여 배양된 세포의 상층 배양액을 추출하고 proMMP-3 ELISA kit를 이용하여 비색정량하였다. 비색정량을 통하여 얻어진 자료들은 독립 t-test와 일원분산분석(ANOVA) 및 사후검정으로 Duncan test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Metronidazole 경우 10-$200{\mu}g/ml$의 모든 농도군에서 proMMP-3의 활성도가 억제되었다(p<0.05). 2. Doxycycline-HCl의 경우 $100{\mu}g/ml$ 이하의 농도군에서는 proMMP-3의 활성도가 억제되었으나(p<0.05), $200{\mu}g/ml$ 농도에서는 proMMP-3의 활성도가 상승되었다(p<0.05). 3. Metronidazole과 doxycycline-HCl의 대조군에 대한 각 실험농도군의 proMMP-3 생성의 감소비율 비교시 모든 농도군에서 metronidazole이 doxycycline-HCl보다 더 높은 감소율을 보였다. 이상과 같은 결과는 metronidazole(10-$200{\mu}g/ml$)이 doxycycline-HCl($100{\mu}g/ml$ 이하) 보다 더 광범위한 혈중농도에서 IL-$1{\beta}$의한 인체치은섬유아세포내 MMP-3의 활성도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 PDF

The effect of Actinobacillus actinomycetemcomitans lipopolysaccharide on rat periodontal tissues (Actinobacillus actinomycetemcomitans 내독소가 백서 치주조직에 미치는 영향)

  • Kim, Chong-Cheol;Cui, De-Zhe;Kim, Young-Joon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v.37 no.sup2
    • /
    • pp.297-310
    • /
    • 2007
  • 치조골 흡수는 파골세포와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에 의한 골의 무기질과 유기질의 파괴로 일어나는 과정이다. 세균성 산물, 주로 내독소는 치은조직 내에서 염증세포의 유주, 사이토카인 생산, 조직파괴 효소 분비 및 파골세포 활성 등의 국소 면역반응을 유도한다. A. actinomycetemcomitans는 급진성 치주염의 원인 균주중 하나로 그 내독소는 치조골의 흡수와 관련된다. MMP-13은 세균성 산물이나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자극에 의해 분비되며, 최근의 연구 결과들은 MMP-13이 치주질환의 진행과 골 흡수 과정에서 일정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으나, A. actinomycetemcomitans 내독소와 MMP-13과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는 미미하다. 이에 이번 연구에서는 A. actinomycetemcomitans 내독소에 의한 MMP-13의 발현과 파골세포 형성을 세포배양을 통하여 관찰하였고, 백서 구개부 치은에 A. actinomycetemcomitans 내독소를 주입하여 흡수가 진행되고 있는 치조골에서 파골세포의 분화와 MMP-13의 발현을 TRAP 염색, 면역조직화학적 방법 등을 통해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MMP-13 mPNA의 발현은 A. actinomycetemcomitans 내독소 (1ug/ml)로 24시간 자극한 마우스 치주인대 섬유모세포에서 생리식염수로 자극한 세포에 비하여 약 2.6배 증가하였으며 마우스 대식세포에서는 TRAP 양성 세포가 대조군보다 더 많이 나타났다. A. actinomycetemcomitans 내독소를 주입한 백서 치주조직에서는 대조군보다 더 심한 골소실을 보였다. TRAP-양성 다핵 파골세포 유사세포는 치주염군과 대조군 모두 치조골에서 관찰되었다. TRAP-양성 다핵 파골세포 유사세포는 치주염군에서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많은 숫자가 관찰되었으며, 치주염군에서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많은 숫자가 관찰되었다. MMP-13 면역양성 반응은 치주염군에서 거친 골연을 갖는 치조골상에 배열된 조골세포와 그 인접한 치주인대에서 관찰되었으며 대조군에서는 MMP-13 면역 양성 반응이 치조골 표면에서만 일부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A. actinomycetemcomitans 내독속가 MMP-13의 발현을 증가시키며 파골세포의 활성을 통하여 치조골의 흡수를 유도함을 시사한다. 또한 A. actinomycetemcomitans 내독소 투여에 의한 실험적 모델은 백서에서 중등도의 골 소실을 동반한 만성 치주염 모델로 향후 치주질환 치료제의 효과를 평가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Biocompatibility of bioaggregate cement on human pulp and periodontal ligament (PDL) derived cells (사람의 치수 및 치주인대 세포에 대한 Bioaggregate 시멘트의 생체적합성에 대한 연구)

  • Chung, Choo-Ryung;Kim, Eui-Seong;Shin, Su-Jung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v.35 no.6
    • /
    • pp.473-478
    • /
    • 2010
  •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biocompatibility of newly introduced Bioaggregate on human pulp and PDL cells. Materials and Methods: Cells were collected from human pulp and PDL tissue of extracted premolars. Cell culture plate was coated either with Bioaggregate or white MTA, then the same number of cells were poured to cell culture dishes. Cell attachment and growth was examined under a phase microscope after 1,3 and 7 days of seeding. Cell viability was measured and the data was analyzed using Student t-test and one way ANOVA. Results: Both types of cells used in this study were well attached and grew healthy on Bioaggregate and MTA coated culture dishes. No cell inhibition zone was observed in Bioaggregate group.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of viable cells between bioaggreagte and MTA groups. Conclusions: Bioaggregate appeared to be biocompatible compared with white MTA on human pulp and PDL cells.

THE RESPONSES OF GINGIVAL AND PERIODONTAL LIGAMENT FIBROBLASTS OT VARIOUS DENTIN CONDITIONED SPECIMENS IN VITRO (다양한 상아질 처리방법에 따른 치은 및 치주인대 섬유아세포의 반응에 관한 시험관내 연구)

  • Lim, Jae-Hyung;Kim, Jung-Keun;Chung, Chin-Hyung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v.25 no.1
    • /
    • pp.99-110
    • /
    • 1995
  • 치주치료의 궁극적 목표인 치주조직 재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치주조직 재생에 주된 역할을 하는 치주인대세포와 치근면 탈회에 의한 신부착 효과에 관한 많은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광범위한 연구에도 불구하고 어떤 치근면 처리가 신부착 형성에 가장 효과적인지는 아직 논란의 대상으로 남아있다. 이에 저자는 결합조직 부착에 의한 재생에 필수적인 치은 및 치주인대 섬유아세포의 부착 및 증식을 tetracycline-HCL(TC)과 citric acid(CA)로 각각 처리된 상아질 표면에서 비교관찰하여 치주조직 재생에의 기여도를 추정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교정치료를 위하여 본원에 내원한 환자의 제일 소구치의 건강한 치은조직을 채취하고, 발치 후 효소처리에 의한 치주인대세포를 얻은 후 각각 세포배양하였다. 상아질 절편은 $3{\times}3{\times}0.2mm^3$로 준비하고 TC과 CA처리군으로 나눈 후 각각 치은 및 치주인대 섬유아세포를 부착시키고 초기부착은 8시간까지, 증식은 7일까지 고나찰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각 군의 세포 부착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되었다. 2. 모든 군에서 7일째 빠른 증식상을 보였다. 3. 초기 부착시 치은과 치주인대 섬유아세포의 반응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반면에 치은과 치주인대 섬유아세포는 증식속도에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치은 섬유아세포가 좀 더 빠른 성장을 보였다. 5. 치근면 탈회에 따라 초기부착과 증식상에서 모두 유의성 있는 증가를 보였다. 6. CA는 초기부착에서, TC는 증식장에서 더욱 효과적으로 작용했다.

  • PDF

Virulence of Cultured Supernatant in Porphyromonas gingivalis W50 under Hemin- and Menadione-Limited Culture Condition (헤민과 메나디온 제한 조건에서 배양한 Porphyromonas gingivalis W50의 배양 상청액의 병독력)

  • Kim, Kang-Ju;Kim, Eun-Cheol;Kim, Ki-Gyung;Lee, Hyun-Ok;Jang, Seon-Il;Chung, Chong-Pyoung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v.27 no.3
    • /
    • pp.515-524
    • /
    • 1997
  • 헤민과 메나디온 제한에 의한 Porphyromonas gingivalis(P. gingivalis) W50의 병독력의 변화를 검색하고자, 실험관내 병독력을 NIH 3T3 세포의 세포활성 변화로 관찰하였고, 생체내 병독력은 배양상청액을 ICR mouse 피하조직에 주사한 후의 염증반응을 관찰하였다. 헤민 존재 하에 배양한 P. gingivalis W50 배양상청액에 의한 mouse 3T3 세포의 세포활성은 헤민과 메나디온 없이 배양한 세포의 활성보다 낮았다. 헤민과 메나디온을 첨가하지 않고 배양한 세균의 생체내 병독력은 중등도의 염증세포 침윤과 울혈에 의한 출혈, 미약한 세포간질의 부종과 근육 파괴를 보였다. 메나디온 존재 하에서 배양한 세균은 미약한 염증세포의 침윤, 울혈에 의한 출혈 및 근육의 파괴가 관찰되었다. 헤민 존재하에서 중등도의 울혈에 의한 출혈, 미약한 세포간질의 부종, 염증세포의 침윤 및 근육파괴가 관찰되었다. 헤민과 메나디온 존재 하에서 배양한 세균은 심한 염증세포의 침윤과 중등도의 세포간질의 부종 및 울혈에 의한 출혈을 보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 P. gingivalis W50 배양 상층액의 병독력은 헤민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Effects of compressive stress on the expression of M-CSF, IL-$1{\beta}$, RANKL and OPG mRNA in periodontal ligament cells (압박력이 치주인대 세포의 M-CSF, IL-$1{\beta}$, RANKL 및 OPG mRNA 발현에 미치는 영향)

  • Kim, Ji-Woong;Lee, Ki-Soo;Nahm, Jong-Hyun;Kang, Yoon-Goo
    •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 /
    • v.39 no.4
    • /
    • pp.248-256
    • /
    • 2009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if human PDL cells can produce osteoclastogenic mRNA and examine how compressive stress affects the expression of osteoclastogenic mRNA in human PDL cells. Methods: Human PDL cells were obtained from biscupids extracted for orthodontic treatment. The compressive force was adjusted by increasing the number of cover glasses. PDL cells were subjected to a compressive force of 0.5, 1.0, 2.0, 3.0 or $4.0\;g/cm^2$ for 0.5, 1.5, 6, 24 or 48 hours.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levels of M-CSF, IL-$1{\beta}$, RANKL, OPG mRNA expression. Results: Human PDL cells could produce M-CSF mRNA. Human PDL cells under compressive stress showed increased M-CSF, IL-$1{\beta}$ and RANKL mRNAs expression in a force (up to $2\;g/cm^2$) and time-dependent manner. However, OPG mRNA expression was constant regardless of the level and duration of stress. Conclusions: Continuous compressive stress induced the mRNA expression of osteoclastogenic cytokines including M-CSF, RANKL, IL-$1{\beta}$ in PDL cells. Together with an unchanged OPG mRNA level,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mpressive stress-induced osteoclastogenesis in vivo is partly controlled by M-CSF, RANKL and IL-$1{\beta}$ expression in PDL cells.